728x90
반응형

. 개요

엇갈림 구간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대의 차량이 교통통제 없이 서로 교차하는 구간을 말하며, 직진차량만 존재하는 일반구간과는 달리 다소 복잡한 교통행태를 보임.

 

. 엇갈림 교통의 발생위치

합류구간 다음 분류구간이 있을 때, 유출연결로 다음 유입연결로가 있을 때

 

다 엇갈림 구간길이

최대 750m(750m 이상은 독립된 유출입연결로로 분석), 최소200m

 

. 엇갈림 구간의 형태

 

마. 위빙구간의 서비스 수준

 

기준서비스 수준

 

예측서비스 수준

위빙구간의 효과척도는 비엇갈림 구간의 평균통행속도(Snw)와 엇갈림 구간의 평균통행속도(Sw)로 나누어 예측

() Wnw(Ww) 엇갈림 및 비 엇갈림 교통류의 엇갈림 계수

(고려사항) 15분 교통량(첨두교통류율) 이용, 승용차 환산계수(고속도로 기본구간), 최소길이 200m

 

반응형

'교통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S(지능형 교통시스템)  (0) 2021.01.03
TSM(교통체계관리기법)  (0) 2021.01.02
민감도 / 위험도분석  (0) 2020.12.30
교통영향평가 2  (0) 2020.12.27
교통량의 정의  (0) 2020.12.22
728x90
반응형

. 개 요

1.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기 위하여 교통류의 질을 나타내는 데 기준이 되는 요소들을 효과척도(MOE : Measures of Effectiveness)라 하며,

2. 이 효과척도들은 각 도로의 교통운행 상태의 질을 가장 잘 나타내야 한다.

3. 대표적인 효과척도들로는

- 연속류 : 교통량대 용량비, 평균통행속도, 밀도,

- 단속류 : 자동차당 평균 정지지체, 평균통행속도가 있다.

4. 여기서는 연속류의 대표적적인 효과척도라 할 수 있는

교통량, 속도, 밀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효과척도별 특성

1. 교통량대 용량비(V/C)

: 통과교통량(승용차환산대수) 대 교통용량의 비

. 교통량(Q) : 단위시간(, 시간, 15분 등)에 어떤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의 총대수()

. 용량(이상적인 조건시)

- 고속도로 기본구간 : 2,200승용차//차로

- 2차선도로 : 3,200승용차//양방향

2. 평균통행속도(km/hr)

: 일정구간거리를 통행시간으로 나눈 평균값

                          모든차량대수의 운행거리의 합

평균속도(V) = ------------------------------------------------- (km/시간)

                                        총 걸린시간

- 운전자들이 가장 손쉽게 교통류의 질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3. 밀도(승용차/km/차로)

: 어느시간에 단위구간 도로상에 있는 차량대수 (/km/시간)

- 고속도로 통행시 앞뒤차량과의 거리를 나타내므로

고속도로구간의 서비스수준을 나타내는 주요 효과척도임

 

 

. 교통량, 속도, 밀도와의 관계

Q = V× K

Q : 교통량 V : 속 도 K : 밀 도

- 교통량이 일정할때 밀도가 높으면 속도저하 발생

- 3요소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 각 요소의 성격이 규명된다는 가정하에 접근

 

 

1. 교통량과 속도

2. 교통량과 밀도

3. 속도와 밀도

- 도표점 AC 구간

: LOS ALOS D, 서비스수준이 안정류인 부분

- 도표점 CE 구간

: LOS ELOS F, 서비스수준이 불안정류인 부분

 

. 결 론

속도, 밀도, 교통량은 도로의 교통용량이라는 내제적 변수에 의해 제약됨.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서비스 수준이란 주행속도, 주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및 교통안전등 도로의 질적 운행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2. 서비스 수준은 A-F까지 6등급으로 분류하며 교통용량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도로의 기능, 교통특성등을 고려하여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

 

. 서비스수준의 구분

1. 안정류(stable flow) : 차량소통에 약간의 지장은 있으나 큰 혼잡없이 주행가능

2. 불안정류(unstable flow) : 차량소통시 용량초과로 만성적 정체 발생

3. V/C = 1.0 : 용량상태

4. A F까지 6등급 구분

1) 서비스 수준 A : 자유교통류(Free Flow)

2) 서비스 수준 B, C : 안정된 교통류(Stable Flow)

3) 서비스 수준 D : 높은 밀도의 안정된 교통류(Approaching Stable Flow)

4) 서비스 수준 E : 불안정 교통류(Unstable Flow, 용량상태)

5) 서비스 수준 F : 강제류(Forced Flow, 와해상태)

 

 

. 서비스 수준 평가시 고려사항

1. 통행속도와 통행시간 2. 교통차단 및 제약

3. 운전의 자유성 4. 안전성

5. 쾌적성 6. 경제성등

 

. 서비스 수준의 효과척도

교통류 구분

도로의 구분

효 과 척 도

연 속 류

ㆍ 고속도로

- 고속도로 기본구간

- 엇갈림 구간

- 연결로와 접속부

 

밀도, 교통량 대 용량비(V/C)

평균밀도

영향권의 밀도(합류부, 분류부)

다 차 로 도 로

평균 통행속도(신호등 지체 고려)

2차로 도로

총지체율

단 속 류

신 호 교 차 로

차량당 제어지체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

평균통행시간

 

 

. 설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서비스 수준

구 분

지방지역

도시지역

고속도로

C

D

일반도로

D

D

1. 도시지역 도로의 경우

: 운전자가 교통혼잡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은 점을 감안, 낮은 서비스수준 적용

2. 지방지역 도로의 경우

: 장거리 통행이 많은 교통특성을 감안, 높은 서비스수준 적용

 

 

. 설계경험상 건의사항

1. 설계 서비스 수준의 설정은

- 운전자의 쾌적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하여 높게 설정해야 하겠지만,

- 당해 도로에 투자될 수 있는 비용과

-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 타당한 서비스 수준을 선정해야 한다.

2. 짧은 구간에서 서비스수준의 급격한 변화는 이용교통의 안전성을 크게 손상시키므로

가능한 도로의 일정구간내에서 일정한 주행상태가 확보되도록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지방도로의 경우 장거리교통을 감안, 높은수준의 서비스수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4. 전국 도로망의 각 노선에 대한 기능과 서비스 수준 부여가 필요함.

반응형
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