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교 시
2 교 시
3 교 시
4 교 시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총평 및 조언
제136회 토목구조기술사 시험 분석 및 수험 전략
1. 전체적인 난이도 평가
중상급 난이도 (★★★★☆)
- 이전 회차 대비 실무 중심의 최신 기준 적용 문제 증가
- 단순 암기보다는 개념 이해와 응용력을 요구하는 문제 비중 확대
- 계산 문제의 복잡도가 높아지고 다단계 해석을 요구
2. 출제 경향 분석
문제 유형별 분포
이론 문제 (10점 문제)
- 최신 설계기준 반영: KDS 기준 적용 문제 다수 출제
- 실무 연계성 강화: 건설사업관리, CALS, BIM 등 실무 영역 확대
- 전통적 구조역학: 여전히 핵심 출제 영역 유지
계산 문제 (25점 문제)
- 복합 구조해석: 중공 합성단면, 프리스트레스 등 고난도 해석
- 동역학 문제: 자유진동, 지진응답조합 등 심화 이론
- 최신 해석기법: 스트럿-타이 모델, 소성해석 등
3. 주요 출제 특징
새로운 출제 경향
1) 실무 중심의 최신 기준 강화
- KDS(Korea Design Standard) 기준 대거 적용
- 내진설계, 내구성 설계 등 현행 기준 중점 출제
- 공항시설, 특수구조물 등 특수 분야 확대
2) 융복합 문제 증가
- 단일 분야가 아닌 구조+재료+시공 통합 문제
- BIM, 건설정보화 등 IT 기술과 건설의 융합 영역
- 안전관리와 구조설계의 연계
3) 고도의 해석 능력 요구
- 단순 공식 적용이 아닌 다단계 해석 과정 필요
- 초기조건, 경계조건 설정의 정확성 중요
- 결과의 물리적 의미 해석 능력 평가
4. 분야별 세부 분석
구조역학 분야
- 전통 강세 유지: 여전히 출제 비중 높음
- 복잡도 증가: 부정정 구조, 동적 해석 등 심화
- 실무 연계: 이론과 설계기준의 연결점 강조
콘크리트 구조
- 내구성 설계 강화: 노출등급, 설계기준강도 등 세부 기준
- 프리스트레스: 컨코던트 긴장재 등 고급 이론
- 특수 구조: 스트럿-타이 모델 등 최신 설계법
🔩 강구조
- 피로 설계: 실무에서 중요한 피로 손상 메커니즘
- 좌굴 안정: 복합 경계조건의 좌굴 해석
- 온도 영향: 재료 특성 변화와 설계 고려사항
교량 분야
- 케이블 교량: 목표신뢰도지수 등 고급 설계 개념
- 활하중: KL-510 등 최신 하중 기준
- 특수 교량: 출렁다리 등 관광용 교량 설계
5. 이전 회차 대비 변화점
난이도 상승 요인
- 최신 기준 적용 확대: 암기해야 할 기준의 증가
- 실무 연계성 강화: 단순 이론보다 적용 능력 평가
- 융복합 문제: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적 사고 요구
- 계산 복잡도 증가: 다단계 해석과 정확한 계산 능력 필요
출제 패턴 변화
- 암기 중심 → 이해와 응용 중심
- 단일 분야 → 융복합 분야
- 과거 기준 → 최신 기준 (KDS 등)
- 정성적 설명 → 정량적 해석
6. 수험 전략 및 대비 방안
학습 전략
1) 최신 기준 완전 정복
- KDS 기준서 숙지 (특히 교량, 콘크리트, 내진 분야)
- 기존 기준과의 차이점 명확히 정리
- 실무 적용 사례와 연계 학습
2) 계산 문제 집중 훈련
- 복합 구조 해석 연습 강화
- 다양한 경계조건, 하중조건 해석 능력 배양
- 계산 정확도와 속도 동시 향상
3) 융복합 사고력 배양
- 구조-재료-시공의 통합적 이해
- 이론과 실무의 연결고리 파악
- 최신 기술 동향 지속적 학습
핵심 대비 포인트
필수 암기 사항
- KDS 기준의 주요 수치와 조건
- 내진등급, 노출등급 등 분류 체계
- 안전율, 하중계수 등 설계 정수
필수 계산 유형
- 부정정 구조 해석 (변위법, 힘의 방법)
- 동적 해석 (자유진동, 강제진동, 지진응답)
- 좌굴 해석 (다양한 경계조건)
- 프리스트레스 해석 (2차 모멘트 등)
실무 연계 학습
- BIM, CALS 등 건설정보화 기술
- 건설사업관리 체계와 기술지원
- 안전관리와 구조설계의 연계
7. 향후 출제 전망
예상 출제 경향
- 디지털 트윈,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연계 문제 증가
- 그린뉴딜, 탄소중립 관련 구조설계 고려사항
- 재해 대응력 강화 관련 내진, 내풍 설계 심화
- 유지관리 중심의 생애주기 설계 개념 확대
최종 수험 조언
- 최신 기준 숙지가 합격의 열쇠: KDS 기준서 반복 학습 필수
- 계산 정확도가 당락 결정: 충분한 연습을 통한 실수 방지
- 실무 경험과 이론의 조화: 현장 적용 가능한 지식 체계 구축
- 시간 관리: 100분 내 효율적 문제 해결 전략 수립
결론: 136회 토목구조기술사는 실무 중심의 최신 기준 적용과 고도의 해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는 고난도 시험으로 평가됩니다. 단순 암기보다는 개념의 완전한 이해와 실무 적용 능력 배양이 합격의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토목구조기술사 >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구조기술사 기출문제 제135회(2025.02.08) (1) | 2025.03.11 |
---|---|
토목구조기술사 기출문제 제134회 (2024.7.27) (2) | 2024.07.31 |
토목구조기술사 기출문제 제133회 (2024.5.18) (2) | 2024.05.23 |
토목구조기술사 기출문제 제132회 (2024.1.27) (1) | 2024.01.31 |
토목구조기술사 기출문제 제131회 (2023.8.27) (2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