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암연구소의 최신 표적 장기별 발암성 요인분류는 사람에게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과 제한된 근거가 있는 것으로 분류하고 있다. 조혈기계암을 유발하는 유해인자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사람에게 충분한 근거가 있는 유해인자 3가지 나. 사람에게 제한된 근거가 있는 유해인자 3가지 2. 위해성평가에서 아래 항목에 대하여 영문 원어(Full name)를 쓰고, 의미(뜻)를 설명하시오.
가. NOAEL 나. LOAEL 다. NOEL 라. LD50 마. LC50 3. 직업병 인정기준에 있어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에서 설명하는 업무상 질병 종류 13종 중 10가지를 설명하시오.
4. 산업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 취급으로 특수건강진단 대상작업에 해당할 때, 특수건강 진단실시 및 사후조치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중 치과의사에게 검사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 5가지 나. 건강진단 실시결과 직업병 유소견자(D1), 일반질병 유소견자(D2)로 판정받은 근로자의 업무수행적합여부판정시구분과내용 5. 다음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임시작업과 단시간 작업에 대한 설명이다. A~E에 들어갈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6. 후드는 유해가스를 포위하는 방식에 따라 포위식, 외부식, 레시버식으로 구분한다. 각 포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종류를 2가지만 쓰시오.
7. 전체환기장치 및 국소배기장치 등 산업환기 설비를 설치할 경우,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른 배기구의 설치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국소배기장치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정해진 시기에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국소배기장치 검사가 필요한 시기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9. 외부식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할 경우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플랜지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환기량이 어느 정도 적어질 수 있는지 식을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단, 원형 혹은 직사각형 후드에 플랜지가 붙고 이 후드가 공간에 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10. 단체급식 시설 종사자에게서 폐암이 발생하여 단체급식 시설종사자의 질병을 예방 하기 위하여 「단체급식시설 환기에 관한 기술지침」을 제정하였다. 이 기술지침에서 규정한 아래 용어의 정의에 대하여 쓰시오. 가. 단체 급식시설 나. 조리 부산물 다. 조리기구 라. 급기 시설
11. 국소배기장치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후드 및 덕트 내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후드(Hood)에서의 압력손실의 종류 3가지와 덕트(Duct)에서의 압력손실의 종류 4가지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2.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에 있는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중 입자상 물질의 측정 및 분석방법 6가지를 설명하시오. 13. 「산업안전보건법」상 도급인의 안전 및 보건조치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5가지 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의 협의사항 5가지
2 교 시
1. 발암성물질로 널리 알려진 벤젠(Benzene)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분자식, 물리·화학적 특성 나. 생물학적 측정지표 다. 인체 급성영향 라. 인체 만성영향 2. 톨루엔 5,000ppm과 사염화탄소 10,000ppm이 공기 중에 존재할 경우의 공기와 톨루엔, 사염화탄소 혼합기체의 유효비중을 계산하고, 후드의 위치 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톨루엔의 비중은 1.463, 사염화탄소의 비중은 5.7, 공기의 비중은 1.0으로 가정한다.) 3. 국소배기장치 중 후드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푸쉬-풀(Push-pull) 후드의 정의 나. 푸쉬-풀(Push-pull) 후드의 필요 환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 푸쉬-풀(Push-pull) 후드의 장점과 단점 라. 개방조에 설치하는 제어거리에 따른 후드의 구조와 설치위치
4. 국소배기장치의 공기정화장치(Air cleaning devices)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공기정화장치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 4가지 나. 입자상 물질의 공기정화장치 종류 5가지와 각 집진원리 5. 국소배기장치 설계 시 합류점에서 주관과 분지관의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정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관과 분지관의 정압을 균등하게 유지시켜주는 방법 2가지를 설명하시오. 6. 작업장에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설계를 실시하고자 한다. 설계의 수순(11단계)과 단계별 중요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금속물질에 관한 독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금속의 일반적인 독성기전 4가지 나. 금속의 독성 파악 시 우선 고려해야 할 요인 4가지 2. 유해인자의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과 작업환경측정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생물학적 검체의 종류에 따른 내재용량(Internal dose)의 개념 나. 생물학적 모니터링과 비교한 작업환경측정의 장점과 단점 다. 생물학적 모니터링 방법 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관리대상물질 취급작업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유기화합물 취급 특별장소” 8가지
나. 국소배기장치 설비 특례 다. 유기화학물의 설비 특례
4. 작업환경측정에서 예비조사의 중요한 목적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의 특성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예비조사에서 조사되어야 할 내용 나. 유사노출그룹(SEG: Similar Exposure Groups)의 정의, 설정목적, 설정방법 다. 통계적 변이를 고려할 때 SEG의 노출을 대표할 수 있는 최소 시료채취자 수
라. SEG에서 시료 수를 추가하여야 하는 경우 마. 유해인자의 호흡을 통한 노출평가 과정 5. 일반적인 분진작업장의 분진 관리방법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발진(發塵)의 방지(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을 방안) 나. 비산의 억제(발생한 분진의 비산 방지 방안) 다. 근로자에 대한 방진대책(작업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 6.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소음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여러가지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소음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소음작업, 강렬한 소음작업, 충격소음작업 나. 소음 수준의 주지사항 다. 소음 감소 조치 라. 난청발생에 따른 조치 마. 청력보존 프로그램 시행 대상 사업장
4 교 시
1.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의 “Skin” 표시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Skin 표시 물질의 특징 4가지 나. 특별관리물질 중 Skin 표시 물질 종류 5가지 다. 피부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직무스트레스 건강장해 예방조치 6가지와 업무상 질병 중 뇌심혈관질환의 인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유해·위험물질을 분류 및 관리하기 위하여 분류기준을 정한다. 화학물질의 위험성 분류기준 중 건강 및 환경 유해성 분류기준 10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4. 급식실에서 종사하는 조리사들에게 폐암, 피부질환 등이 발생하여 국소배기장치를 재 설치하고자 한다. 「단체급식시설 환기에 관한 기술지침」에서 정한 급식실의 후드 형식(설치기준) 등에 대하여 8가지만 설명하시오.
5. 밀폐공간 내 작업 시의 조치사항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에 포함해야 할 사항 5가지 나.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 확인하여야 할 사항 5가지 다.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자의 자격 라. 밀폐공간 작업자가 받아야 하는 특별교육의 내용 5가지 6. 작업환경측정 시료의 분석을 외부기관에 위탁하는 경우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측정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장비 등을 갖춘 다른 사업장 위탁측정기관이나 작업환경전문연구기관(이하 "분석수탁기관”이라 한다) 등에 시료의 분석을 위탁 할 수 있는 경우 3가지 나. 시료분석 의뢰자가 분석수탁기관에 제공하여야 하는 시료분석 의뢰서에 기재하여야 하는 내용 3가지
영월~삼척 고속도로·인천~서울 지하고속도로,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철도건설 사업 예타 통과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1월 23일(목) 오전 재정사업평가위원회(기획재정부 주관)에서 영월~삼척 고속도로 건설사업과 인천~서울 지하고속도로 건설사업,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철도건설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며 본격 추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이번 사업들은 수도권과 지방을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 확충을 통해 국민 편익을 증진하고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사업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영월~삼척 고속도로 건설사업 >
□ 영월~삼척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 지역의 접근성을 대폭 개선하기 위해 영월군에서 삼척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총 70.3km의 왕복 4차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 (사업구간)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삼척시 등봉동 (70.3km) (사업규모/총사업비) 왕복 4차로 신설/ 5조 6,167억 (예비타당성조사 기준) ㅇ 이 사업은 ’17년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16~’20), ’22년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1~’25)에 반영된 이후, ’23년 6월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착수하여 이번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ㅇ 이 도로는 국도 38호선을 대체하여 영월군에서 삼척시까지 이동 시간을 약 70분 단축(국도 38호선 120분→사업노선 50분)시킬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물류비용 절감, 시멘트 산업 등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관광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회복 등이 기대된다. ㅇ 특히, 이번 사업으로 국가 간선도로망 동서 6축이 완성*되며, 강원 남부와 수도권 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 미구축 구간(제천~삼척) 중 현재 설계 중인 ‘제천~영월’ 구간에 이어 이번 ‘영월~삼척’ 구간까지 사업 추진이 확정
< 인천-서울 지하고속도로 건설사업 >
□ 인천~서울 지하고속도로는 수도권 서부 지역의 교통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에서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까지 총 연장 15.3km 구간에 왕복 4차로 지하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 (사업구간)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15.3km) (사업규모/총사업비) 왕복 4차로 지하고속도로 신설/1조 3,780억원 (예비타당성조사 기준) ㅇ 이 사업은 ’17년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16~’20)에 민자사업으로 반영되었으나 ’20년 공공성 확보 및 지역요구 반영 등을 이유로 재정사업으로 결정되었다. ’22년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1~’25)에 중점사업으로 반영되었으며, 같은 해 6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를 착수하여 이번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 인천~서울 지하고속도로는 지상부 도로를 지상부와 지하부 도로로 이중화하여 도로 용량을 확대함으로써 경인 고속도로의 상습적인 교통정체를 크게 해소하고, 3기 신도시(인천계양·부천대장) 및 청라 국제업무지구 등 개발계획에 따른 장래 교통량 증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ㅇ 또한, 지하부 고속도로를 완성하게 되면, 지상부 도로의 일부 공간을 공원화할 계획으로, 그동안 고속도로가 도심 가운데를 동서로 관통함으로써 발생하고 있는 도시단절과 도시미관 문제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ㅇ 특히, 올해 말 개통 예정인 제3연륙교(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영종도)와 연계하여 서울~인천국제공항 간 가장 빠른 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 서해선~경부 고속선 연결선 철도 건설사업 >
□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철도 건설사업은 서해선(경기도 평택시)과 경부고속선(경기도 화성시)을 연결하는 7.35km의 철도 연결선을 건설하여 익산에서 군산, 홍성 등을 거쳐 용산까지 214.8km를 고속열차로 운행할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ㅇ ’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사업으로 반영된 이후 ’23년 9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여 사업추진을 확정(예타 통과)하였다. □ 이 사업이 완료되면 서해안권(충남 서부권, 전북권)에서 서울(용산)까지 환승 없이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통행 시간이 기존 2시간 18분에서 1시간 34분으로 약 44분으로 단축된다. * 익산∼서울(용산)간 통행시간 비교 (철도-기존선, 장항선-서해선(대곡)-경의중앙선) 약 2시간 18분 (승용차, 서천공주-익산평택-수도권제2순환 등) 약 2시간 40분 → 사업 후 (철도-연결선) 1시간 34분 ㅇ 특히, 서해안 지역 산업단지와 충남혁신도시 접근성을 높여 지역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토교통부는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철도건설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기 위해 조속히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여 ’26년부터 기본설계, 실시설계를거쳐 이르면 ’28년에 착공하여 ’32년 개통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는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는 국민 편익 증진과 지역 균형발전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계기”라며,
ㅇ 이번 사업들은 주민들의 오랜 숙원 사업이자 지역발전의 주축이 되는 핵심 인프라인 만큼, 지역 주민들께서 빠르게 효과를 체감하실 수 있도록신속하고 차질 없이 후속 절차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앞으로도 국토교통부는 지속적으로 교통망을 확충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할계획이다.
전년 대비 교통문화지수 0.81점 상승( '23년79.92점 → '24년80.73점) - 강원 원주, 충남 논산, 충북 영동, 인천 연수, 서울 강서… 우수 지자체 선정
◈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군 단위 1위를 차지한 영동군에서는 보행자 대부분이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고, 거의 모든 차량이 정지선을 준수하고 있다. 이륜차 운전자들도 모두 안전모를 쓰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영동군 주민들의 높은 교통문화의식은 1년 동안 보행사망자 0명이라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은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24년 80.73점으로 '23년(79.92점)보다 0.81점 상승하여 국민들의 교통문화 수준이 지속적 으로 향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승인통계로 매년 전국 229개 시·군·구(인구 30만 이상 시, 인구 30만 미만 시, 군, 구 4개 그룹) 대상, 운전행태·보행행태·교통안전 항목에 대한 지표를 평가하여 지수화
< 조사 항목별 결과 >
□ 전국 운전행태 조사 결과, 최근 5년간 대부분의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륜차 승차자 안전모 착용률( '2293.91%→'2495.99%), 운전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2258.23%→'2463.43%),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 '2281.43%→'2482.12%)은 최근 2년간 꾸준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ㅇ 다만, 방향지시등 점등률( '2376.00%→'2475.59%), 제한속도 준수율( '2366.43% →'2465.47%)은 전년대비 하락하여, 지속적인 홍보 및 단속‧계도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 전국 보행행태 조사 결과, 무단횡단 금지 준수율( '2270.97%→'2474.66%)은 최근 3년간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 '2393.02%→'2492.46%),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2385.48% →'2485.30%)은 전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어 보행자의 교통안전 의식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한편, 지자체 교통안전 관심도 증가로 '교통안전 행정노력도'( '237.38점 →'247.42점) 및 '교통사고 사상자수' ( '239.47점→'2410.03점) 점수가 전년대비 각각 0.04점, 0.56점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자체별 조사 결과 >
□ '24년 교통문화지수 조사 결과, 강원 원주시(90.35점, 인구 30만 이상 시), 충남 논산시(89.32점, 인구 30만 미만 시), 충북 영동군(87.39점, 군 지역), 인천 연수구(85.78점, 자치구)가 각각 1위로 선정되었다.
ㅇ 또한, 전국 229개 지자체 중 전년 대비 교통문화지수 개선율이 가장 높은 지자체로 '서울 강서구'(83.49점, '23년E등급 → '24년B등급)가 선정되었다.
구분 지자체 우수평가 내용 30만 이상 시 (29개) 강원 원주시 ▸운전행태 A등급(안전띠 착용률, 신호 준수율 그룹 1위) ▸민·관 협업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체계 개선 등 보행환경 개선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안전통학로 조성 등 교통안전 예산 연간 270억 투입 30만 미만 시 (49개) 충남 논산시 ▸운전행태 상위(운전중스마트기기미사용준수율3위, 횡단보도정지선준수율4위) ▸보행행태(30위→9위, 무단횡단 금지 준수율 61.32% → 80.19%) 개선 ▸시민 안전 교통문화 조성 등 교통안전 예산 연간 55억 투입 군 (82개) 충북 영동군 ▸운전행태 그룹 1위(이륜차 안전모 착용률 1위, 안전띠 착용률 5위) 달성('23.7~'24.6) ▸교통사고 보행 사망자 및 사업용 차량 사망자 0명 ▸어린이·노인보호구역 개선, 교통질서확립 등 교통안전 예산 연간 10억 투입 자치구 (69개) 인천 연수구 ▸교통안전 그룹 1위(교통사고 사상자수 감소율 1위, 행정노력도 4위) ▸PM주차 패널티존 21개소 지정·운영 등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도로환경 개선, 자전거도로 정비 등 교통안전 예산 연간 86억 투입 개선우수 서울 강서구 ▸운전행태(방향지시등점등률56.61%→79.79%)및교통안전(행정노력도67위→10위) 개선 ▸이면도로 보행자우선도로 조성 등 보행안전 개선사업 추진 ▸보행환경 개선, 어린이·노인보호구역 정비 등 교통안전 예산 연간 40억 투입
조사항목 평가지표 배점 비고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 12 방향지시등 점등률 8 관측조사 신호 준수율 10 운전행태 안전띠 착용률 7 (55점) 이륜차 승차자 안전모 착용률 7 운전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4 음주 운전 금지 준수율 설문조사 제한속도 준수율 4 보행행태 (20점)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 7 횡단보도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7 관측조사 무단횡단 금지 준수율 6 설문조사 지자체 교통안전 전문성 확보 여부 지 자 체 2.5 교통안전 지역교통안전정책 이행 정도 3.5 지자체 행정노력도 지자체 교통안전 예산 확보 노력 2.0 제출자료 교통안전 (11점) 지자체 사업용 차량 안전 관리 수준 3.0 (25점) 교통사고 인구 및 도로연장 당 자동차 교통사고 사상자 수 5 사상자수 인구 및 도로연장 당 보행자 사상자 수 5 교통사고 통계자료 (14점) 사업용자동차대수및도로연장당교통사고사상자 수 4
1. 녹색성장시대에 부응하는 도로의 새로운 역할과 패러다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평면선형 설계에서 완화곡선 설치시 효과와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 설계시 유토곡선작성 및 장비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건설의 주요 흙다짐공법과 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개정된 FAA 공항포장설계기준(AC150/5320-6E)의 설계특징에 대하여 개정전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6. 평행유도로에 설치되는 우회유도로의 기능 및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터널 계획시, 위치선정과 선형계획상의 주요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인터체인지(IC) 계획시 배치와 위치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콘크리트포장 도로(또는 공항) 확장 및 선형개량시 신구포장 접속부 처리의 문제 점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포장 구조체에 작용하는 응력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5. 활주로체계의 계획시 사용하는 REDIM 모델의 정의, 기능, 사용방법, 적용효과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기 De-icing 및 Anti-icing 작업 및 시설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성토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계획 및 설계시 검토해야 하는 도로설계 관련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포장 형식선정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 적산설계 단계에서의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분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 시오. 5. 장애물제한표면에 저촉되는 장애물의 제거를 유보할 수 있는 기준 및 분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최근 공항개발의 과제인 민영화, 자유화, 상업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제2차 도로정비 기본계획(2011-2020년)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2. 도로설계분야의 해외진출 필요성과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사업 사후평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바, 이에 따른 도로(또는 공항)에서의 수해유형분석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울릉도 및 흑산도에 경비행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비행장의 개발방안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Gate(계류장의 주기장소)의 수용능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의 오르막 구간에 설치하는 오르막 차로의 운영상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추월차로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대도시 주변 고속도로의 교통량 집중으로 최근 관련도로의 확장공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는 바, 확장설계 시 검토되어야 할 설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노선을 계획함에 있어 교통안전을 고려한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장마철 강우 후 도로(또는 공항)포장에서 발생하는 포트홀(Pot Hole)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의 총괄계획(Master Plan)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시설의 제․방빙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부천고가교 화재사고와 관련하여 이와 유사한 사고를 방지 하기 위한 교량하부공간 관리방법과 상기 사고가 남긴 교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지하도로계획 시 고려사항과 문제점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3. 산지부를 통과하는 도로의 종단선형(터널포함)과 배수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저탄소․녹색성장을 위한 도로(또는 공항)포장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2개의 활주로 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시설은 기능별로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항공기 이․착륙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도로 주행의 안전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면곡선 반지름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을 위한 시험도로 건설 및 계측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3. 오르막차로 설치구간 설정과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설계시 터널구간의 평면선형 결정요소와 병렬터널 계획시 선형분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 분류번호에 의한 착륙대의 설치기준과 정지구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계류장 주기방식과 항공기 등급별 최소 이격거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또는 공항)설계시 흙쌓기구간의 도수로 간격을 결정하는 방법과 배수시설 설계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입체교차로에서 변속차로의 형식 및 본선과의 편경사 접속설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포장수명을 좌우하는 초기거동의 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설계시 연약지반 구간에서 연약지반 판정기준과 처리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 활주로 말단부 설계시 관련시설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6. 공항 활주로상 표지시설(Runway marking)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설계시 터널구간 안전시설중 조명시설의 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평면교차로(신호교차로)의 교통신호기 설치근거 및 기준과 신호시간 산정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포장설계시 암반구간에서의 포장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설계시 비상주차대의 현행 설계기준을 설명하고, 설계기준에 대한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5. 도로(또는 공항)포장의 노면 불연속구간에서 포장파손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포장의 그루빙(Grooving) 설치시 적용기준과 설치 후 유지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