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 교통량 하루 평균 16,051대, ’22년 대비 0.4% 증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도로 교통량 조사」 결과를 4월 30일(화) 발표하였다. 
 
□ ’23년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의 평균 일교통량은 16,051대로 전년 대비 0.4% 증가하였다. 최근 10년간(’14~‘23년) 연평균 증가율은 약 1.8%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평균 일교통량) 교통량 조사 대상 지점의 하루 평균 교통량
 
 ㅇ 그 중, 승용차가 11,681대, 버스가 310대, 화물차가 4,060대로 각각 72.8%, 1.9%, 25.3%의 분포율을 보였다. 주요 간선도로 기능을 하는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를 이용하는 차량 중 약 1/4이 화물차에 해당한다.
 
    * 전년 대비 평균 일교통량 증감율: 승용차 0.4%↑, 버스 3.7%↑, 화물차 0.3%↑
 
 
 
 
 
 
 
□ (도로종류별) 고속국도는 평균 일교통량이 52,544대로 전년 대비 0.8% 증가한 반면, 일반국도·지방도의 평균 일교통량은 각각 13,179대, 5,872대로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 전년 대비 평균 일교통량 증감률 : 고속국도 0.8%↑, 일반국도 0.6%↓, 지방도 2%↓
 
□ (시기별)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의 월 평균 교통량을 분석한 결과, 모두 1월이 가장 교통량이 낮았으며, 추석 연휴(9.28~10.1)가 포함된 9월이 가장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락철 이동객이 많은 10월이 그 뒤를 이었다.
 
     * 고속국도 1월(69,153대/일), 9월(79,418대/일) / 일반국도 1월(13,497대/일), 9월(16,437대/일)
 
 ㅇ 또한, 시간대별 분석 결과 주간 시간(오전 7시~오후 7시)에 고속도로는 하루 교통량의 약 73.4%, 일반국도는 하루 교통량의 79.9%가 집중되었다. 
 ㅇ 요일별 분석 결과, 고속국도의 경우 전체 요일 중 주말을 앞둔 금요일에 교통량(요일 평균 대비 109.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국도도 마찬가지로, 금요일에 최대(요일 평균 대비 107.8%) 수치를 보였다.
 
□ (도로구간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높은 구간은 경부고속국도의 신갈-판교 구간(216,982대/일)으로 전년 대비 교통량이 5.2% 증가하며 1위를 기록하였다. 다음으로 하남-퇴계원 구간(215,725대/일)이 뒤를 이었다.
 
 ㅇ 일반국도는 자유로에 위치한 서울시-장항IC 구간(199,960대/일), 지방도는 화성~수원을 지나는 천천IC-서수원IC 구간(121,035대/일)이 가장 혼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차종별로는, 승용차는 노오지IC-서운JC 구간(170,350대/일), 버스는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으로 진입하는 길목인 금토JC-양재IC 구간(18,350대/일), 화물차는 서울, 경기권역의 물류센터가 집중되어 있는 하남IC-퇴계원IC 구간(54,382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디지털도로팀 김상민 팀장은 “국토교통부는 ‘도로 교통량 통계연보’를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연구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소, 대학 등 여러 기관에 배부할 계획”이라고 말하며,
 
 ㅇ “교통량 데이터는 교통 수요 분석 등 타 도로교통 분야 연구의 기반이 되는 기초 데이터인 만큼, 추가적으로 빅데이터 분석 등 여러 분야에 활발히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ㅇ 이 자료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교통량 정보 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국토교통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토교통부에서 2023년 4월 18일 '도로터널 결로 대책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보령터널에서 개통 초기에 발생한 결로 문제로 많은 방송에서 누수가 아니냐는 의문으로 상당한 이슈가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의 검토 결과 결론은 누수가 아닌 결로라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도로터널에 대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 가이드 라인을 발표한 내용입니다.

도로및공항 기술사를 준비하는 분들은 반드시 명심해야 할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서 발주한 T/K 턴키 사업인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이 본격적으로 착수하게 되었네요^^

지난 5월 17일 DL이앤씨 컨소시엄이 실시설계 적격자로 선정되었기 때문인데요..

2023년 올해, 연내에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토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아요^^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5월 17일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 실시설계 적격자로 DL이앤씨 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ㅇ 지난해 6월 입찰공고 이후 DL이앤씨, 롯데건설 및 포스코이앤씨 등 총 3개 컨소시엄이 입찰에 참여하였으며, DL이앤씨 컨소시엄은 터널본선 외에 남해군 북측으로 추가적인 연결로를 설치하는 설계를 제안하여 가장 높은 기술점수를 받아 실시설계 적격자로 최종 선정되었다.

 

 

 

 


 

 


 

 

 

 


□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은 전라남도 여수시 신덕동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까지 영호남을 연결하는 총 8.085㎞
(해저터널 5.76㎞)의 4차로 국도를 신설하는 사업으로 국비 6,974억원이 투입된다.

 

 


ㅇ 해저터널이 개통되면 여수~남해 간 이동시간이 1시간 30분에서 10분 으로 대폭 줄어들고, 여수시와 남해군의 산업
관광자원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지역의 경제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사업은 연내 착공을 목표로 즉시 상세설계에 착수할 계획이며 이후 8년간의 공사를 거쳐 2031년에는 해저터널이 개통될 것으로 전망된다.
□ 국토교통부 이용욱 도로국장은 “이 사업은 영
호남을 연결하는 상징적 사업으로 지역 간 화합과 서남해안 관광벨트 조성에 마중물 역할을 할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면서,
ㅇ “계획일정에 맞게 해저터널이 개통될 수 있도록 공정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물론 안전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피면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출처 : 국토교통부

 

 

 

 

 

 

 

 

 

728x90
반응형
1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