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토교통부는 2024년 9월 10일 수도권 서부지역인 인천, 부천, 김포 지역의 출퇴근길이 최대 46% 빠르게 단축하기 위해서 광역철도와 도로망 신속 구축을 위해 총 7.4억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발표를 하였습니다.

 

서울지하철과 인천2호선, 김포 골드라인 및 인천의 벌말로와 경명대로 확장 등 신도시 연결을 위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2 교 시

 

 

 

 

 

 

 

 

   3 교 시

 

 

 

 

 

 

 

 

   4 교 시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4년 9월 9일 국토교통부는 2024년 민자고속도로 운영평가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매년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민자고속도로 운영평가는 운영실적에 대한 평가를 심도있게 시행하여 결과를 발표하는데, 올해는 부산울산고속도로가 최우수 민자법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민간투자 고속도로 운여평가 결과는

도로안전성 분야, 이용편의성 분야, 관리적정성 분야 등으로 나누어 최우수 기관 및 우수 기관을 선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우수 민간투자 고속도로 법인을 선정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민자고속도로 운영평가 결과
- 최우수 법인으로 “부산울산고속도로” 선정… 이용자 편의성 개선방안 지속 마련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전국 21개 민자고속도로의 ’23년 운영실적에 대한 ’24년 운영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민자고속도로 운영평가는 도로 이용자의 편의 및 안전성 향상, 관리 효율 증진을 위해 운영기간이 1년 이상 경과한 민자고속도로의 운영 실적을 평가하며, 지난 2012년부터 매년 실시해오고 있다.


□ 운영평가 결과, 부산울산고속도로가 ‘최우수’ 민자 법인으로 선정되었다.
분야별로 도로안전성에 부산울산고속도로, 이용편의성에 수원광명·인천공항 고속도로, 관리적정성에 대구부산고속도로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ㅇ 평가에는 도로, 교통, 안전, 회계 등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 운전자, 소비자 단체 등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평가의 신뢰성 확보하고 이용자 측면 에서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 이번 평가결과 교통사고시설물 관리 등 사전예방 중심의 노력과 교통 안전 및 상습 지정체 개선 등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 향상을 위한 노력은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부산울산) 상습 지정체구간 선형 개선, 휴게소내 보행자 동선 고려한 안전시설 개선, (수원광명) 지·정체 돌발상황관리체계 운용 능력 강화, (인천공항) 중차량 휴게장소 제공

□ 국토교통부는 우수 운영사례를 공유하고 미흡사례는 조속히 개선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민자고속도로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현행 시설물 안전 위주로 연 1회 평가하는 체계에서 안전 외  편의 · 서비스 부문까지 평가범위를 확대하고 정밀-일반 평가의 2단계 연중 평가 체계로 확대
*하여 관리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 정밀평가 : 소비자단체, 도공 등 외부위원을 위촉하여 상세 점검(연 1회) 일반평가 : 지방청ㆍ협업기관 점검반을 구성하여 약식 점검(분기 1회)
ㅇ 한편, 도로 운영개선의 성과를 유인하고자 최우수 및 우수 법인, 전년 대비 관리수준이 가장 많이 향상된 법인에게 장관표창 및 포상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 국토교통부 이우제 도로국장은 “민자고속도로의 운영·관리 수준은 향상 되고 있으나 앞으로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어 지속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ㅇ “더 안전하고 더 편리한 민자고속도로가 되기 위해 선진기술의 도입을 장려할 것이며, 이용자 입장에서의 도로 편의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 국토교통부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화재감시자를  지정하여  배치해야  하는  장소,  업무,  지급해야  할  장비 

2.  안전사고와  재해
3.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  작업의  종류 

4.  ‘산업안전보건법’상  양중기의  종류
5.  안전설계기법의  종류와  Fool  Proof의  중요  기구
6.  건축물  해체의  신고  및  허가  절차
7.  착각현상
8. 와이어로프 등 달기구의 안전계수 및 와이어로프 폐기기준 

9.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교육 대상, 교육내용 및 실시 주체
10.  강재의  취성과  연성
11.  가설구조물  비계(飛階)의  종류  및  벽이음
1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원인  및  대책 

13.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옹벽의  안정조건

 

 

 

 

 

 

 

 

   2 교 시

1.  콘크리트  균열의  발생  원인,  대책  및  보수·보강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건설현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위험성 평가 방법과 그 종류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건설공사 발주자의 산업재해 예방조치를 계획단계,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각  단계별로  작성해야  하는  안전보건대장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을 설명하시오.
4. 교량의 내진성능 평가 시 내진 등급을 구분하고 내진성능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재해조사 순서 4단계, 재해조사 방법 5가지,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 재해조사 항목 및  재해발생  시  응급조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의  안전보건  확보 의무  4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콘크리트  내구성  등급과  내구성  저하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건설용  유해·위험기계에  대한  안전조치  사항  중  방호조치,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설공사  현장에서  밀폐공간작업  시  산소농도  저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밀폐공간 작업프로그램에  따른  안전절차  및  안전점검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산업안전보건법’,  ‘건설기술  진흥법’  및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에서  정의하는  안전점검의  목적,  종류  및  점검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피로로  인한  능률  저하의  유형,  피로의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및  동바리 붕괴사고  예방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기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 단계별 검토사항, 공사관계자별 주요 역할(책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건설현장에서  굴착작업  시  지반의  종류별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을  설명하고  굴착작업 계획수립 및 붕괴재해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강관비계의  설치기준과  조립,  해체  및  점검  시  준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설현장 발파작업 시 발파책임자의 업무와 화약류  취급소 운용 시 안전준수사항,  전기 발파와 비전기발파, 전자발파의 안전기준 및 천공작업 시 준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PSC  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  공사  중  사고  예방을  위해  PSC  거더의  응력 변화와  긴장작업 시  주의사항  및  시공  단계별  안전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건설현장에서  용접·용단  작업  시  화재사고의  위험요소,  화재발생  원인과  방지대책 및  점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인간공학에서  실수의  종류,  이에  대한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오차전파
2.  지자기측량
3.  네트워크  RTK
4.  지구중심좌표계
5.  수치표고모델(DEM),  수치표면모델(DSM)
6.  적외선  칼라영상에서  식생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 7.  기본수준면(Datum  Level)
8.  공간필터링
9.  국가공간정보기본법
10.  우리나라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KOMPSAT) 11.  재해지도의  종류
12.  도엽번호  체계  상  [NJ  52-7]의  의미
13.  수치지도의  품질검사  항목

 

 

 

 

 

   2 교 시

1.  UTM-K  좌표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시오.
2.  우리나라  국가기준점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무인비행장치(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이용한  수치표고모형,  수치정사영상 제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공간전방교회법(Space   Intersection)과   공간후방교회법(Space   Resection)을   이용한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하시설물측량의 방법 중 매설관로 탐사방법과 노출관로 측량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수치지도  제작  시  정위치편집과  구조화편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GNSS  오차의  특성과  최소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기본측량  성과의  품질검증  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항공사진측량을  위한  지상기준점  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초분광(Hyper-Spectral)  영상의  정의,  관련  기술  및  활용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디지털트윈국토  구현을  위하여  구축하는  공간정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국토위성(차세대중형위성)의 운영현황과 국토위성정보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국토지리정보원의 GNSS 위치보정정보 서비스인 OSR(Observation Space Representation)과 SSR(State Space Representation)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2.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의 수립배경, 목표 및 주요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원격탐사  분야에서  인공지능(딥러닝)  기술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하천측량을  위한  종단  및  횡단  측량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신속한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국토변화정보 탐지방법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실내공간정보의  세밀도(Level  of  Detail)와  구축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스코트변압기 1차측의 불평형을 저감시키는 원리에 대하여 수식을 이용해서 설명하시오. 2.  전기철도 직류급전방식의 연락차단장치 기본책무 및 기본 요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직류급전방식 전철변전소에서 맥동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류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전차선로  구조물의  지점과  절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철도신호시스템에서  페일  세이프(Fail  Safe)의  정의  및  궤도회로의  적용  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산화아연(ZnO)  피뢰기의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철도차량용  견인전동기의  요구사항(전기적,  기계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전기철도  구조물  부재의  단면성질  중  단면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전기철도에서 AT급전방식의 통신선 유도장해를 감소시키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전력시설물  감리업무수행의  설계도서  등의  검토내용과  전력기술관리법에  의한  설계
도서의 보관의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일반철도의  전철전력설비  유지보수  세칙에서  명시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유지보수  정의
2)  전차선로  설비의  유지보수  종류
12.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의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구간에 고려해야 할 안전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건설정보모델링)  도입목표와  효과에  대하여 발주자,  수급자,  건설사업관리자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급전시뮬레이션의  목적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옥내용 교류 전철변전소 변압기실 통풍방식(자연통풍, 강제통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전철주  종류와  건식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전기철도  중  교류급전방식의  변전소  간격  및  위치  선정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른  전기철도의  안전을  위한  보호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감전에  대한  보호조치
2)  레일  전위의  위험에  대한  보호
3)  레일  전위의  접촉전압  감소  방법
6.  전기철도에서  사용되는  직류  고속도차단기와  교류  차단기의  차단원리  및  차단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자기부상식  철도의  부상방식에서  흡인식과  반발식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2.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  규정된  중성선  단면적  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철도  전력설비에서  사용되는  서지보호장치(SPD)  등급  선정  및  설치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류  전철변전소의  스코트(Scott)  결선  변압기  2대  병렬운전  시  다음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병렬운전조건                    

2)  효과                   

 3)  문제점
5.  전차선로의  눈(雪)에  의한  수직하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전기철도  교류급전시스템에서  스코트(Scott)  결선  변압기의  부하측(전차선로측)으로 환산한  임피던스를  구하시오.
(단, 한전모선 임피던스는 0.01+j0.2[Ω], 154[kV] 송전선로 임피던스는 0.04+j0.3[Ω], 스코트(Scott) 결선 변압기(154/55[kV]) 임피던스는 100[MVA] 기준 10%이고, 변압기의 저항성분은 무시한다.)

 

 

 

 

 

 

   4 교 시

1.  전력용변압기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효율  및  최대효율  조건
2)  손실의  종류  및  특징과  저감  대책
2.  심플 커티너리식(Simple Catenary) 전차선로의 전기적 구분장치 종별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류전철  급전계통에  발생하는  고차  고조파  공진  특성  및  억제  대책을  설명하시오. 4.  원격감시제어설비(SCADA)에서  중앙감시제어장치와  원격소(RTU)  간의  통신제어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전기철도  구조물의  안정  및  불안정,  정정  및  부정정을  기술하고  구조물  판별(부정정 차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철도안전관리체계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정의          

2) 구성          

3) 의미          

4) 철도종합안전심사  제도와  비교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국도로공사는 AI로 만드는 미래고속도로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26일과 29일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온라인 교육 무료 수강 가능하며, 총 상금 730만원이고 수상작은 '2024 스마트건설엑스포'에서 전시할 예정입니다.

 

한국도로공사(사장 함진규)819일부터 918일까지 미래 고속도로와 휴게시설을 주제로 ‘AI로 만드는 미래고속도로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공모전은 생성형AI* 프로그램을 활용해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작해 참여할 수 있으며 미래 고속도로에 대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4차 산업 인재 양성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 프롬프트(명령문)에 대응하여 텍스트, 이미지, 기타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특히, 공모전에 참여하고 싶지만 생성형 AI기술을 활용하기 어려운 희망자를 대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해 무료 온라인 교육을 제공한다.

 

26일과 29일에 온라인 플랫폼(Teams)에서 MS의 코파일럿(Copilot) 사용법을 강의하며, 교육 참여 희망하는 자는 공모전 웹사이트(www.ex-ai.co.kr)에 안내된 링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공모전은 미래고속도로에 관심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5인 이내 팀 또는 개인 단위로 참가할 수 있으며 작품 접수는 918일까지 공식 이메일(koreaex.ai@gmail.com)로 제출하면 된다.


ㅇ 접수된 작품은 심사를 통해 대상(상금 300만원, 1), 금상(100만원, 2), 은상(50만원, 3), 동상(20만원, 4) 등 총 10개 팀에 730만원의 상금 및 한국도로공사 사장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ㅇ 심사결과는 1010일에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며, 수상작은 1120일부터 112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24 스마트건설엑스포행사에 전시될 예정이다.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AI를 활용한 국민들의 다양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기대되는 만큼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붙 임 : 공모전 포스터 1

 

출처 : 한국도로공사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터크만  사다리  모델(Tuckman  Ladder  Model)의  팀  발달  단계별  특징
2.  시장  규모  추정  방법인  TAM-SAM-SOM(Total  Addressable  Market-Serviceable Addressable  Market-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프레임워크
3.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성능지표
4.  형상관리의  개념과  형상관리  기준선(Baseline)
5.  객체  간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정보은닉(Information  Hiding)
6. 이미지 데이터 어노테이션(Data Annotation) 유형과 기법 

7. 정적 SQL(Static SQL)과 동적 SQL(Dynamic SQL) 비교
8.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와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비교 

9.  인터미턴트  컴퓨팅(Intermittent  Computing)
10.  스토리지  가상화(Storage  Virtualization)  유형별  특징 

11.  개인정보  보호  강화기술(Privacy  Enhancing  Technology) 

12.  고대역  초고속  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 

13.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2 교 시

1.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원칙  및  기준
나.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다.  서비스  수준  협약
2.  소비자를  기만하여  이익을  편취하고자  하는  다크패턴(Dark  Pattern)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크패턴의 세부 유형 및 대응 방안을 설명하시오.
3.  IT  거버넌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IT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나.  IT  거버넌스  효과  측정  지표
다.  IT  거버넌스  효과  측정  방법론

4.  대규모  AI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  구축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저지연  기술과  스케일링  확보  기술
나.  DCI(Data  Center  Interconnect)  기술
5.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ESG  경영의  정의  및  목표
나.  ESG  경영의  주요  지표
다.  ESG  경영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기술(IT)
6.  트랜잭션  격리  수준(Transaction  Isolation  Level)  4가지를 사례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배포 전략 및 테스트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소프트웨어  테스트  원리
나.  블랙박스  테스트와  화이트박스  테스트
다.  명세기반,  구조기반,  경험기반  테스트  기법
3.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취약점
나.  SBOM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  방안

4.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설명하고  성능을  표기하기  위한  O-Notation의  개념과  유형  및 유형별  연산시간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5.  다차원  색인구조(Multidimensional  Index  Structure)의  개념,  유형,  활용  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일부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개방형(예: MIT, BSD 등)에서 폐쇄형(예: SSPL(Server Side Public License), BSL(Business Source License)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오픈소스 라이선스 정책 변경의 배경 및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IT  프로젝트  관리에서  리스크  대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리스크  대응  계획  수립  절차
나.  위협에  대한  대응  전략
다.  기회에  대한  대응  전략
2.  딥러닝에서  대규모  신경망을  효율적으로  훈련하기  위한  멀티  GPU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멀티  GPU  기술의  개념과  장점
나.  멀티  GPU  환경  구축  시  고려사항
3.  AI  시스템에  대한  법적  이슈,  윤리적  문제,  기술적  문제에  대하여  설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시오.

4.  개방형  API(Open  API)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정의  및  특징
나.  SOAP  및  REST  구성요소
다.  취약점  및  대응  방안
5.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단계별  감리  방법과  검토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군집분석  기법인  SOM(Self  Organizing  Map)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SOM  정의  및  특징
나.  SOM  구성요소
다.  SOM과  신경망  분석기법의  차이점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1···3456789···17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