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녹색성장시대에 부응하는 도로의 새로운 역할과 패러다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평면선형 설계에서 완화곡선 설치시 효과와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 설계시 유토곡선작성 및 장비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건설의 주요 흙다짐공법과 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개정된 FAA 공항포장설계기준(AC150/5320-6E)의 설계특징에 대하여 개정전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6. 평행유도로에 설치되는 우회유도로의 기능 및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터널 계획시, 위치선정과 선형계획상의 주요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인터체인지(IC) 계획시 배치와 위치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콘크리트포장 도로(또는 공항) 확장 및 선형개량시 신구포장 접속부 처리의 문제 점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포장 구조체에 작용하는 응력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5. 활주로체계의 계획시 사용하는 REDIM 모델의 정의, 기능, 사용방법, 적용효과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기 De-icing 및 Anti-icing 작업 및 시설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성토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계획 및 설계시 검토해야 하는 도로설계 관련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포장 형식선정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 적산설계 단계에서의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분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 시오. 5. 장애물제한표면에 저촉되는 장애물의 제거를 유보할 수 있는 기준 및 분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최근 공항개발의 과제인 민영화, 자유화, 상업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길어깨의 횡단경사 2. 상대강도계수(Layer coefficient) 3. 인터체인지의 접속단 결합 4.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구조 5. Full depth 아스팔트 포장 6. 고속도로의 진입로 신호조절(Entrance ramp control) 7. 곡률과 곡률도 작성 8. 콘크리트 포장의 Dowel-bar와 Tie-bar 9. 교통섬(Traffic island) 10. VFM(Value for money) 11. 비행장의 기준 12. 최저비행고도 13. 공항시설
2 교 시
1. 버스 전용차로의 설치기준과 설치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방재시설 설치를 위한 터널등급 결정시 기준이 되는 터널 위험도지수 평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예비타당성조사와 타당성조사의 차이점과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정지시거의 개념을 설명하고, 여러 가지 도로 환경조건에서의 정지시거 계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유도로(Taxiway)의 설치기준 중 항공기 분류기준 E급 이상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활주로길이 1500m(착륙대등급 D급) 이상의 육상비행장에 대한 장애물 제한표면의 종류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비한 국내고속도로 설계기준 개선 내용 및 향후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설계시 3차원 모델링을 통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추진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고속도로와 국도가 4지로 교차하고 있다. 도로 설계시 주로 검토되는 인터체인지 형식별 특징 및 적용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에서 사용하는 완화곡선의 설치 목적과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항공기 소음평가방법 및 NCR과 WECPNL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우주항공시대를 준비하기 위하여 초음속항공기에 대비한 공항 개발방향을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 설계시 엇갈림구간의 교통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기하구조 요소(형태, 길이, 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계획시 도로공간 기능의 활성화 방안과 교통약자 등을 위한 보행시설물 설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심지내 소형차전용 지하도로를 건설하고자 한다.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량구조물 설계시 도로, 철도, 하천, 해상 등 타 교통시설과의 시설한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 길이 산정요소와 활주로 공시거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신공항 후보지 선정절차와 단계별 선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도로(또는 공항)시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양방향 좌회전차로 설치요건 및 설치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국도노선계획지침(국토교통부)에 규정된 국도와 국도, 국도와 다른 도로와의 교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직선과 원곡선 사이에 설치되는 완화곡선 설치방법을 도시(圖示)하고 완화곡선 생략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에어사이드의 배수계획시 배수시설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의 항공기 소음공해 평가방법 및 소음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의 경관설계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설계속도의 정의와 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M R G (Minimum Revenue Guarantee)의 변화 추이와 도로 민간투자사업의 침체 원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인터체인지에 적용되는 좌우회전 연결로의 형식과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새로운 공항 건설을 위한 계획과정과 과정별 주요 수행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허브앤드스포크시스템 (Hub and Spoke System)의 목적과 입지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제5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2013∼2017)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의 특징과 부도로 평면 교차부의 교통처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예방적 유지관리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심부 침수 예방을 위하여 도로 배수와 하수도를 연계하는 「도시부 도로배수시설 설계 잠정지침」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시오. 5. 여객터미널 배치방법(집중식과 비집중식)의 장·단점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2011년 국토교통부에서 개정한 『도로안전시설및관리지침(2011.11)』 중 차량방호 안전시설 설계지침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친환경 • 인간중심의 도로건설 및 운영을 위한 국가도로 정책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 노선계획시 선형설계의 기본 방침과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의 일반 방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시가로지구 흑은 신호교차로가 연속적으로 위치한 간선도로에서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한 선호연동요건과 신호연동을 위한 공통주기 설정 및 신호연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항공교통 대중화 및 전방위 항공노선망운영 등으로 항공운영환경이 매우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국내 공역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미국에서개발한국가공항통합시스템계획(NPIAS:NationalPlanofIntegratedAirportSystem)과국내공항시스템계획에대하여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또는공항) 깍기구간의 비탈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공법 종류와 현행 보강공설계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기존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에 신규 아스팔트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설계의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공항) 축조공사에서 연약지반개량 공법 선정시 유의사항과 장기침하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 종단경사가 완만한 터널구간 내 물고임 현상의 발생 원인과 물고임 처리방안을 기하구조적으로 설명하시오. 5. 대규모 공항 에어사이드에서의 용량과 자연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교통관제시설인ILS(InstrumentLandingSystem)와 MLS(MicrowaveLandingSystem)의 각 구성요소 및 기능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의 평면 곡선부 설계시 편경사 접속설치(접속설치율,설치길이)와 평면곡선부가 배향곡선(원곡선-완화곡선-원곡선)으로 구성된 구간에서의 편경사 설치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시오. 2. 고속도로와 접속되는 일반도로 구간에서 최근 녹색도로 교통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회전교차로(RoundAbout)의 적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의 길어깨부에서의 노면 배수불량으로 인한 물고임 구간의 발생 원인 및 처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동절기 폭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도로의 제설시설 중 제설작업 시설과 방설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대형공항에서의 항공등화시설 기준과 표지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기의 제빙시설(De-icingFacilitie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중앙분리대 개구부 설치길이 2. 부체도로 3. 도로의 출입제한 중 완전출입제한과 불완전출입제한 4. 평균주행속도와 시간평균속도 5. 지진파의 종류 6. 복합포장 7. 설계강우강도 8. 차선반사도 9. 보행자우선도로 10. CLSM(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11. 잔류 침하량 12. Taxiway 13.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 교 시
1. 소형차도로의 설치목적과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경관도로의 필요성과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산지부 및 도심부 초장대터널 설계 시 고려사항과 교통안전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의 휴게소 계획 시 시설규모 산정방법과 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도로(또는 공항) 예정지에 연약지반이 존재할 경우 설계 시 유의사항과 처리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신공항 건설 시 항공의 안전성, 정시성 확보를 위한 입지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단순입체 교차로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비탈면 낙석의 크기 증가에 대비한 도로안전성 강화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하 고속도로 상부 공간의 대중교통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 계획 시 저촉가옥(마을)을 위한 이주대책 시행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안전한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에어사이드 시설별 포장특성과 적정한 포장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교면포장의 파손유형과 보수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확장공사 구간의 교통안전 강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대도시 및 하천변에 지하도로(차도) 설치 시 문제점과 침수예방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의 편경사 접속방법 및 편경사 설치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국지성 집중호우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도로(또는 공항) 설계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의 여객청사 계획 시 고려해야할 구성요소와 규모결정방법, 배치형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교통수요의 Ramp-up 현상 2. 도로투자부문 경제성평가에서의 민감도분석 및 위험도 분석 3. 차도부 시설한계(Clearance) 4. 연속좌회전(PDLT)설치 시 고려사항 5. 관리주체에 따른 도로분류 체계 6.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블리스터링(Blistering) 7. 콘크리트포장의 고기능성 표면처리공법(NGCS) 8. 교통수요예측에서 사용되는 노드(Node)와 링크(Link) 9. 회복탄성계수(Resilient Modulus, Mr) 10. 모듈러 교량 11. FOD(Foreign Object Damage) 12.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3. 계기비행 방식(Instrument Flying Rule)
2 교 시
1. 교통정온화 개념과 한국형 교통정온화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포장의 공용성 유지를 위한 PMS 및 예방적 유지관리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사고 발생 최소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침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면배수 향상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 용량의 정의 및 용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활주로의 계기착륙장치(ILS)의 기능 및 주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토적곡선과 토공유동표 작성기준 및 토량 배분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접근관리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하도로 설계지침(2023. 2)의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콘크리트포장도로 확장 시 콘크리트 접속구간의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에서 탈출유도로(Exit) 위치의 중요성 및 활주로 말단부터 탈출유도로까지의 적정거리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활주로 소요 길이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터널형 방음시설의 설치ㆍ운영상의 문제점 및 화재 피해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량접속부에 발생하는 부등침하의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차량 및 보행자의 무단횡단 금지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 및 공항 등 인프라 시설을 건설함에 있어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 계획 및 설계 시 활주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편경사 접속설치율과 배수를 고려한 편경사 접속설치방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줄눈무근콘크리트포장(JPCP)의 줄눈과 줄눈부에설치되는 부재의 종류와역할 및 시공 시고려사항에대하여설명하시오. 3. 배수성 포장의 특징,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수도권 지하고속도로 건설의 필요성과사전 해결과제에대하여설명하시오.
5. 활주로 길이를 결정하는데영향을미치는요소에대하여설명하시오. 6. 제3차 항공보안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설계개선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시부 지하도로의노선선정 및 교차로계획과터널 굴착공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박스암거와 같은 지중구조물은 주변 지반과의 강성차이로 인해 포장 파손의 원인이 될수 있는데, 포장파손을방지하기 위한 합리적인 설계방안에대하여설명하시오.
3. 사면의 붕괴원인및 안정성향상대책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터널 및 지하도로 구간을 위험물 운반차량이 운행하게 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과 예방대책에대하여설명하시오. 5. 도로(또는 공항)의 소음예측 과정과 방음시설 설계기준 및 방음시설 설치 시 고려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기와조류 간 충돌 위험의 감소방안에대하여설명하시오.
1. 아스팔트를 개질하는 목적과 개질에 사용하는 고분자 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자율주행차시대를대비한도로설계기준과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관한규칙의변화에 대하여설명하시오. 3. 사고다발구간 산정방법과교통안전을고려한도로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완화곡선 생략이 가능한 경우를 나열하고 완화곡선의 적용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5. 항공기의 대형화 및 운항횟수의 증가로 인한 공항의 소음평가방법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제1차항행안전시설발전기본계획(국토교통부, 2021.11.)의전략과주요내용에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국가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일환인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설명하시오. 2. 반강성포장을 설명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반강성포장을 시공하기 위한고려사항에대하여 설명하시오. 3. 좌회전 차로의 설치기준및설계시유의사항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산지부 도로계획시 고려사항 및 설계 시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설계에 사용되는 항공기 분류방법과 항공기 분류별 공항설계의 적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의시설규모산정에영향을미치는요인과활주로용량증대방안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교 시
1. 터널이운전자에게미치는영향과터널구간교통용량 증대방안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일관성 유지를 위한 도로선형의조합에대하여설명하시오. 3. 어떤지역에서사용할아스팔트바인더의PG등급을결정하는절차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FWD의특징과시험결과의이용 및유지보수에 활용하는방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5. 신공항 건설을 위한 위치선정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포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공항구역별 포장의 특징 및 적정 공법의 선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