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어류양식에서 사료계수 및 비만도의 공식을 설명하시오.
2. 가리비 양식장에서 나타나는 해적생물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어류 및 어패류용 어초와 해조류용 및 패조류용 어초의 시설기준을 설명하시오.
4. 실내 새우양식에서 BFT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C/N 비와 양식장에서 이 비(比)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탄소원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5. 잉어과 어류에서 발생하는 물곰팡이병(수생균병)의 원인균과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온도 구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블루카본의 탄소 흡수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친환경 논 생태양식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금조(金潮, Golden tide)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수산자원을 조성할 때 생태계 교란 등의 이유로 방류해서는 안되는 종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왕우렁이의 산란생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김 양식에서 추아와 동아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김의 각포자 방출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홑파래의 접합자 채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가두리에서 참돔의 양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새우양식장에 사용되는 유용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s)의 정의, 주요 균종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로티퍼의 고밀도 대량 배양시스템의 원리와 배양법, 배양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양식생물 수송의 기본 원리와 활어 수송 방법을 설명하시오.
5. 연어양식 등에 적용되는 RAS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양식김 중 방사무늬김과 잇바디돌김 두 종의 생리와 생태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메기양식을 하기 위한 양성용 종자를 선택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미역양식에서 가이식의 목적과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자연상태의 양식장에서 용존산소 포화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물리적 여과방법에서 거품 부상 분리 여과장치의 모식도 및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냉장 김발의 장점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개체굴 종자생산의 중간육성과정 중 하향식 수류와 상향식 수류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숭어의 축제식 양식장에서 수온관리 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뱀장어양식장에서 아질산염이 많아질 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평균 수심이 1 m이고 넓이가 0.1 ㏊ 양식장에 유효농도 40% 포르말린을 10 ppm이 되도록 살포하려고 한다. 포르말린 살포량을 계산하시오.
(단, 포르말린의 비중은 무시한다.)
4. 영양성이 있는 알테미아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과 채집 시 주광성, 자력(磁力), 난각 제거망을 이용한 채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양식 김에 발병하는 기생성 갯병의 종류를 설명하고 발병원인과 증상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해조류의 개재생장(介在生長)에 대한 내용으로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 개재생장의 의미
- 대표적인 해조류 3종
- 개재생장을 응용한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해조류의 수확방법
- 개재생장을 응용한 바다숲  조성 대상 해조류 모조의 비파괴적 종자생산 방법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산림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림사업의 종류와 정의
2. 채종원, 채종림,  채종임분
3. 침엽수와 활엽수의  대표적인 산림병해
4. 대형산불의  정의와  특성
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의  임연부 조성의 대상지와  작업방법
6. 「사방사업의 설계·시공 세부기준」의  해안침식방지사업의 기본원칙과  시공기준 

7. 「산림조합법」의  임업인의 범위
8. 산림정책 이론의 종류 및  예정조화론
9. 산림경영의  의사결정 요소
10. 임업노동의 특성과 능률  향상방안
11. 홍수위흔적법
12.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의  간선임도·지선임도의  시설기준에  따른 옆도랑, 배수구의  설치
13. 「산지관리법」의 산지전용의  정의

 

 


 

 


 

 

   2 교 시

1.  수형목의 정의와 선발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벌작업의 정의와 대면적 작업 시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의  자연휴양림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동령림과 이령림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산사태복구에 사용되는 정지작업의 공종 종류와 각각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임도의  종단선형에서  설치하는  종단곡선과  시거에  대하여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정의와 지정 구분  및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불예방 숲가꾸기 대상지를  선정하는 의사결정 흐름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산림경영계획  작성  시  산림구획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우리나라 임업경영 특성 중 임업의 기술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임도시공에 적용하는 비탈면안정공법에서 옹벽의 형식과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임목수확장비  중에서  ‘하베스터’와 ‘프로세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생물다양성 협약의 정의와 나고야의정서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시숲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국유림경영계획의 일반현황조사와  임황조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임업이율의 고저를 좌우하는  요인과  임업이율의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조재  및  집재 형태에 따른 목재수확작업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산림복원 시 적용하는  땅속흙막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무절연  가청주파수(AF,  Audio  Frequency)  궤도회로  장치의  제어거리  및  단락감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정거장에서 열차의 과주에 의해 다른 열차 또는 차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를 대비한 과주 보호 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신호  제어  설비  계획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신호  제어  설비를  선정할  때  중점  고려사항  중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연동장치의  접근  쇄정  및  해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연동장치  결선도를  작성할  때  일반적인  작성  원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Platform  Screen  Door  개폐장치의  구성과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스마트  메트로  관제(SMCC,  Smart  Metro  Control  Cent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철도안전법 시행규칙」의 철도용품에 대한 형식승인 신청절차 및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신호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이즈의  종류와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전송망  구성형태인  Linear형,  Ring형,  Mesh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SG 0069-19(R)(도시철도용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의 정상 모드(Mode)  달성을 위한  목표성능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무선 통신 방식인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방식과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고속철도  구간에서  작업책임자가  작업  차량  이동  또는  작업과  관련하여  분기기  수동 취급  시  선로전환기(MJ81형)의  수동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레이저  레이더  건널목  지장물  검지  장치의  기본성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ATO(Automatic  Train  Operation)의  주요  기능과  ATO와  관련된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ATC(Automatic  Train  Control)
(2)  TWC(Train  to  Wayside  Communication)
(3)  TCMS(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4.  고속철도 구간 지진감시설비의 구성 및 설치기준과 지진발생시 열차운행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한국철도표준규격  KRS  SG  0070-22(일반  및  고속철도용  열차제어시스템)」와 관련된  다음  사항의  적합성  평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일반원칙
(2)  기능  및  인터페이스
(3)  RAMS  요구사항
(4)  환경시험

6.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의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보안  전송  유니트(STU,  Security  Transmission  Unit)의  기능 

(2)  RBC(Radio  Block  Center)-지상  STU간  인터페이스
(3)  KVC(Korean  Vital  Computer)-차상  STU간  인터페이스

 

 

 

 

 

 

 

   3 교 시

1.  철도건설사업에서 발주방식 중 「기타 공사방식」에 대한 사업 시행 단계별 추진내용을 설명하시오.
2.  통신  기반  열차제어장치(CBTC,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의  제어원칙과 지상에서 차내로, 차내에서  지상으로 전송되는 각각의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네트워크 보안시스템인 Packet Filtering Firewall, Application Gateway, Stateful Packet Inspection에 대하여 각 세대별 네트워크 참조모델 OSI 7계층과 연계하여 설명하시오.
4. 광전송망 구성 방식 중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철도 현장에서 열차 안전 운행과 유지보수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설치한 안전설비
현황과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일반철도  복선구간  A역(신호장)에서  B역으로  반대선  운전(하행→상선)을  위한  52 입환신호기의 진행 현시 조건을 순서대로 설명하고, A역에 대한 연동도표를 표기하시오.

 

 

 

 

 

   4 교 시

1.  국토교통부의  철도  관제  시스템  고도화  기본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경부고속철도 스마트락(Smart-lock) 전자연동장치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IP(Internet  Protocol)  기반  전자연동장치  연동논리부의  부정  출력  차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시스템에서  열차의  위치  검지  방법  중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발리스  또는  태그
(2)  유도루프
(3)  GPS
5.  주신호기의  종류와  신호기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네트워크  보안  방법  중  VPN(Virtual  Private  Network)  및  암호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PR(Precision  Recall)  곡선과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  비교 

2.  Multimodal  LLM(Large  Language  Model)
3.  요구사항  추적표(Requirement  Traceability  Matrix)
4.  IBN(Intent-Based  Networking)
5.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와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 Response) 비교
6.  실루엣  계수(Silhouette  Coefficient)
7.  개인정보  안심구역
8.  불편추정량(Unbiased  Estimator)
9.  소프트웨어  기술  부채의  유형과  관리  방법
10.  IEEE  802.11bn
11.  팬텀충돌(Phantom  Conflict)
12.  VAE(Variational  AutoEncoder)
13.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측면에서 ANI(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의 필요성

 

 

 


 

 


 

 

 

 

   2 교 시

1.  물리  데이터  모델링  중  반정규화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반정규화  절차
나.  반정규화  유형
다.  반정규화  시  고려사항
2.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livery   or   Continuous   Deployment) 파이프라인에서  DevSecOps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회귀모형에서  오차의  등분산성(Homoscedasticity)과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6G  이동통신기술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서비스  특징
나.  성능  요구사항
다.  주파수  동향

5.  최근  많은  공공기관에서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의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거대  언어  모델  적용을  위한  5가지  고려사항
나.  현재  구현  가능한  5가지  거대  언어  모델  아키텍처
6.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개념  및  특징
나.  플랫폼  구조
다.  기능  및  핵심  서비스

 

 

 

 

 

 

   3 교 시

1.  IT  프로젝트  관리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IT  프로젝트  관리의  개념
나.  IT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다.  IT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  관리,  포트폴리오  관리의  비교
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의   기술   요소와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멀티클라우드(MultiCloud)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개념  및  필요성
나.  시스템  요구사항
다.  주요  기술
4.  양자  암호  기술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양자키분배(QKD  :  Quantum  Key  Distribution) 

나.  양자내성암호(PQC  :  Post  Quantum  Cryptography) 

다.  QKD와  PQC  비교

5.  데이터  거래를  위한  데이터  가치평가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데이터  재화와  데이터  가치의  특징
나.  데이터  가치평가의  모델  및  절차
다.  데이터  가치평가의  활용방안
6.  딥페이크(Deepfake)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딥페이크의  개념  및  핵심  기술
나. 딥페이크의 문제점 다. 딥페이크 대응방안

.

 

 

 

 

 

   4 교 시

1.  확장성  해싱(Extendible  Hashing)기법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개념  및  구성요소
나.  충돌회피  기법
2.  릴레이션  무결성  제약의  유형과  사례를  제시하고,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이항   분포 (Binomial   Distribution)와   포아송   분포 (Poisson   Distribution)를   비교 설명하시오.
4.  빅데이터  시각화(Visualization)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개념  및  절차
나.  방법  및  도구

5.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을  위한  테스트  기법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메타모픽  테스트(Metamorphic  Test)
나.  뉴런  커버리지  테스트(Neuron  Coverage  Test)
다.  안전  반경  최대화  테스트
6.  경계  기반  보안(Perimeter  Security)과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성숙도모델  2.0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고,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도입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Q-system
2.  슬레이킹(Slaking) 내구성 지수
3.  화성암의 구조와 조직
4.  부력(Buoyancy)과  양압력(Uplift  Pressure) 

5.  유도분극(IP)  탐사
6.  사운딩(Sounding)의 종류
7.  암반의  취성파괴 과정
8.  신생대  제3기, 제4기  지층의 특성
9.  암반의  시간의존성
10. 총용존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 

11. 투수성 반응벽체(Permeable Reactive Barrier) 

12. 퇴적소극(Diastem)
13. 석유  생성의  지질  구조적 조건

 

 

 

 


 

 


 

 

 

 

   2 교 시

1.  암석의  강도를  지배하는 물리․화학적 요소  및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광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대표적인  광상을  생성기구(Mechanism)에  따라  구분하고
보크사이트(Bauxite)의  생성  조건 및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하수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하수영향조사의  항목․조사방법  및  평가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터널의  굴착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암반의  지질구조를  분류하고  페이스  매핑(Face Mapping)의  필요성과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노출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현장조사, 검토방법 및 보강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의  시험  절차,  N값의  보정  항목  5가지를
기술하고  표준관입시험  결과  해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보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점성토의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응력상태에 따른 실내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지각변동의 증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불연속면의  종류를  설명하고,  불연속면의  방향이  터널  굴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터널  설계  시  암반등급도  작성을  위한  지반조사  항목과  수리지질학적  검토사항  및 설계 시  필요한  지반정수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하수위 측정 방법과 변동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액상화(Liquefaction) 현상의 발생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채굴권허가를  위한  광량산출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퇴적광상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석유탐사를 위한 반사법 탄성파탐사의 기본원리와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지하안전관리  업무지침(국토교통부고시  제2022-46호)에  따른  공동(空洞)조사  시  조사방법  및  결과  보고서의  수록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하수  영향  조사에서  사용하는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방법과  각  방법별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점성토에  대한  애터버그(Atterberg)한계를  정의하고,  소성지수(PI)와  액성지수(LI)를 이용한 점성토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와 세계 건설 산업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최근 몇 년간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명목으로 수입 철강, 알루미늄 등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색채를 강화해 왔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야기하며 세계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 압력: 미국의 관세 부과는 직접적으로 철강, 알루미늄 등 건설의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해당 원자재를 수입하는 다른 국가들의 건설 프로젝트 비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나 고층 건물 건설의 경우,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2.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심화: 미국의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흐름을 왜곡하고,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건설 자재의 수급 불안정으로 이어져 프로젝트 지연, 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 국가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높은 건설 자재의 경우, 이러한 위험에 더욱 노출될 수 있습니다.
  3. 건설 장비 및 기술 도입 비용 증가: 미국은 건설 장비 및 관련 기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공급국 중 하나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건설 장비 수입에까지 확대될 경우, 해당 장비를 수입하는 국가들의 건설 프로젝트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기술 제재 등이 발생할 경우, 첨단 건설 기술 도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4. 해외 건설 시장 경쟁 심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다른 국가들의 수출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해외 건설 시장에서 가격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고, 한국 건설 기업들의 수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 건설 경기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미국의 관세 관련 문제는 위에서 언급된 글로벌 건설 산업의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한국 건설 경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건설 원가 상승 및 수익성 악화: 한국은 건설에 필요한 철강, 알루미늄 등 주요 원자재를 상당 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경우, 국내 건설 현장의 원가 부담이 커지고 건설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소 건설업체의 경우, 원가 상승에 대한 대응력이 취약하여 더욱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2. 수입 건설 자재 수급 불안정: 미국의 관세 정책이 장기화되거나 다른 국가로 확산될 경우, 특정 수입 건설 자재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는 국내 건설 프로젝트의 지연이나 공사 중단으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해외 건설 시장 경쟁력 약화: 한국 건설 기업들은 해외 시장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글로벌 경쟁이 심화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어 해외 수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영향력이 큰 중동 시장이나 선진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됩니다.
  4. 국내 건설 투자 심리 위축 가능성: 미국의 관세 정책과 그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는 국내 투자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민간 부문의 건설 투자 감소를 야기하고, 부동산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응 방안 모색의 필요성

미국의 관세 관련 문제는 단기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한국 건설 산업의 경쟁 환경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건설 업계는 다음과 같은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원자재 수급 다변화 및 안정화: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다양한 공급처를 확보하여 수급 불안정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또한, 국내 원자재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도 필요합니다.
  • 기술 경쟁력 강화: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 건설 자동화, 친환경 건설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 해외 시장 다변화: 특정 지역에 편중된 해외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신흥 시장 개척을 통해 수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합니다.
  • 정부 차원의 외교적 노력: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건설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 건설 산업의 체질 개선: 불필요한 규제 완화,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투명한 시장 질서 확립 등을 통해 건설 산업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결론

미국의 관세 관련 문제는 글로벌 건설 산업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 건설 경기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불안정, 해외 시장 경쟁 심화 등 다양한 위험 요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적극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정부와 건설 업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한국 건설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BLDC전동기(Brushless DC  Motor)의  구조  및  동작원리,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2.  방폭 전기설비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하시오.
3.  피뢰기의 정격전압과  구비조건을 설명하시오.
4.  정격용량이  P0이고,  사용률이  50%,  100%인  경우  전기용접기  1대에  공급하는  변압기 용량을 각각 산정하시오.
5.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내부의 절연을 위해 사용하는 SF6  가스의 특성과  대체  물질을 설명하시오.
6.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제어반 설계 시 전원부와 배선부, 접지부 노이즈 대책을  설명하시오.
7.  변압기의 등가회로와  절연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열전효과 중  톰슨효과(Thomson  Effect)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톰슨계수가  양(+)인  경우                  

2)  톰슨계수가  음(-)인  경우
9.  광원의  연색성(Color  Rendition)평가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연색성                       2)  평균  연색평가수           3) 특수 연색평가수
10. 축전지의 충전방식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초기충전방식           2)  부동충전방식                 3)  균등충전방식
11. X-선 장치의 고전압 응용  장치에  관한  원리와 종류, 적용분야를 설명하시오. 

12. 전기철도용  주전동기의 구비조건을 설명하시오.
13. 전동기에 사용하는  영구자석의 자력밀도와 보자력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2 교 시

1.  아크차단기(Arc  Fault  Circuit  Interrupter)에  대하여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구성  및  동작  원리                             

2) 아크방전의 종류
3)  필요성
4)  도입의 문제점
2.  CN/CV 전력케이블에 대하여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절연  열화  원인 및  방지 대책
2)  On-Line 및  Off-Line 진단  방법
3.  신재생에너지의 특징과 종류를 각각  설명하시오.
4.  변압기와 전동기의 손실 및  저감 대책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5.  전기철도의 급전 방식에 대하여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직류  급전  방식, 교류 급전  방식
2)  절연  구간(Dead  Section)  발생하는 이유
3)  절연  구간  통과 시  주의 사항
6.  한국전기설비규정의  TN 및 TT 계통에서  고압  또는  특고압  지락  사고  시 접촉전압과 저압  기기의 스트레스  전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2차 회로의 단락보호와 지락보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제어신호의  전달과정을  도형화하여  블록선도(block  diagram)를  그리고,  설명하시오. 

1)  비례  요소
2)  미분  요소
3)  적분  요소
4)  1차  지연  요소
5)  2차  지연  요소
3.  전력계통의  중성점  접지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변압기  단락강도  시험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ANSI/IEEE  규격에  의한  시험방법
2)  국제전기규격(IEC)에  의한  시험방법
5.  차단기  차단  메커니즘(Mechanism)  및  소호매질에  따른  분류를  설명하고,  특성을 비교하시오.
6. 「전력기술관리법 운영요령」의 감리원 배치 방법 중 직선보간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감리원 배치기준에 따라 아래의 조건을 적용하여 직선보간법으로 공사감리원의 인·월수를 산정하시오.

 

 

 

 

 

 

 

 

 

 

   4 교 시

1.  유도전동기의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제어와  벡터(Vector) 제어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단락전류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계산목적
2)  %Z를  이용한  계산
3)  형태  및  종류
3.  엘리베이터  주요기기  및  안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옥내조명의  조도계산시  적용되는  3배광법과  구역공간법(Zonal  Cavity  Method)을 설명하시오.
5.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의  용량  선정시  ‘예비전원설비  설계기준(KDS  32  20  20:  2024)’을 준용하여  설명하시오.
6.  전자파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설명하시오.
1)  전자파  정의
2)  EMC,  EMI,  EMS
3)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와  코로나방전  자외선카메라  특성  비교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1234···176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