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도 건설국에서는 경기도에서 벚꽃도로 3곳을 추천하였습니다.

경기도에서 추천한 곳으로 벚꽃구경하러 가기에 좋을것 같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는 현재 '제4차 경기도 도로건설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용역을 추진 중입니다. 이 계획은 도로의 원활한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해 5년마다 수립되는 중장기 전략으로, 도내 교통망 개선과 지역 간 균형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도로건설계획은 경기도의 주요 관광지와 자연 명소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가평 삼회리 벚꽃길, 용인 에버랜드 벚꽃길, 과천 서울랜드서울대공원렛츠런파크 벚꽃길과 같은 명소들은 도로 인프라의 개선으로 방문객들의 접근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도는 '서·동부권 SOC 대개발 구상'을 통해 도로 및 철도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시군별 현장 회의를 추진하여 지역별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경기도 내 주요 관광지와 자연 명소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편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경기도에서 추천한 벚꽃 드라이브 코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평 삼회리 벚꽃길: 신청평대교에서 양평군 서종면으로 이어지는 북한강로를 따라 펼쳐진 이 벚꽃길은 가평 청평면 삼회1리 마을회관에서 삼회리 큰골까지 약 4.5km 구간에 벚꽃 터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벚꽃 외에도 개나리와 진달래가 함께 피어나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며, 북한강의 시원한 물줄기가 더해져 드라이브 코스로 인기가 높습니다. ​   

- 위치: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일대. 내비게이션에 '신청평대교 삼거리' 또는 '삼회1리 마을회관'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 용인 에버랜드 벚꽃길: 영동고속도로 마성 톨게이트부터 에버랜드 정문까지 이어지는 약 5km 구간의 '벚꽃 가로수 길'은 차량 안에서 벚꽃을 감상하기에 최적의 드라이브 코스입니다. 특히 호암호수 주변의 왕벚나무 산책로와 호암호수 앞산의 벚꽃림은 에버랜드 벚꽃 감상의 백미로 손꼽히며, 다양한 봄꽃들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룹니다.

 - ​위치: 영동고속도로 마성 톨게이트에서 에버랜드 정문까지 이어지는 약 5km 구간

3.과천 서울랜드서울대공원렛츠런파크 벚꽃길: 서울랜드 외곽순환길에서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이어지는 약 6km의 드라이브 도로와 과천 저수지 순환길 4km 등 총 10km에 걸쳐 3,000그루의 벚나무가 만개하여 장관을 이룹니다. 특히 이 지역은 평균 일조량과 기온이 낮아 벚꽃 개화 시기가 다른 지역보다 늦어, 도심에서 마지막으로 벚꽃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 ​위치: 서울랜드 외곽순환길에서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이어지는 약 6km의 드라이브 도로와 과천 저수지 순환길 4km 등 총 10km 구간.

이러한 코스들은 각기 독특한 매력을 지니고 있어, 봄철 벚꽃 드라이브를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들입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인공리프(Artificial Reef)
2.  관리해안선
3.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4.  기후변화로 인한 해안재해
5.  규칙파의 쇄파(Breaking Wave) 한계조건과 해빈경사와 파형경사에 따른 쇄파의 유형 6.  해빈류  생성과정
7.  친환경  선박연료 벙커링
8.  부유식  해상풍력 부유체의 종류 및  특징
9.  부선거(Floating  Dock)
10.  에이프런(Apron),  마샬링  야드(Marshalling  Yard)  및  컨테이너  프레이트  스테이션 (Container  Freight  Station)
11. 우리나라 연안침식영향평가 방법
12. 미소진폭파  이론의  가정
13. 선류장(船留場)

 

 

 


 

 


 

 

   2 교 시

1.  표사현상으로  인한  연안침식  피해유형 및  대책수립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항만법」에  따라  민간사업자가  전용부두(국가  비귀속시설)를  건설하려고  할  경우의
비관리청 항만개발사업 추진절차를 도시하고,  인허가 단계별로 개별법에 따라 수행하여야 할  주요 협의사항  및  건설사업관리 시행  시 발주청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기후변화로  인한  평균해수면  상승,  대형  폭풍해일  및  고파랑(高波浪)  등이  발생됨에 따라  방파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항주파의  평면형상을  도시하여  파의  전파특성과  영향범위  측정방법을  설명하고, 항주파의 영향과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른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  시  해안재해의  원인  및  각 원인별  위험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서는 항만시설물의 종류를 제1종시설물 및 제2종시설물로 분류하고 있는데, 종별 시설물의 종류와 분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항만배후단지의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제도개선  사항과  민간투자 활성화  저해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방파제  배치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파랑의  예측을  위한  SWAN(Simulating  WAves  Nearshore)  모델의  특성과  동해안 너울성 파랑의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해상풍 자료와 특성을 설명하시오.
4.  조수간만차가 큰 반폐쇄성 해역에서 지속적으로 항로매몰이 진행되고 대형선박이 조수 대기를  통해  입출항하는 항만에서의  적정  항로수심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아래 표는 인천 지역 주요 4대 분조의 조화상수(반조차) 값을 나타낸다. 이를 사용하여 인천  지역의  비조화상수값을 구하시오.

 

6.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안전점검·진단 편)」에 따라 잔교식 안벽에 대한 시설물 현장조사를 수행할 경우 점검항목은 크게 수상부와 수중부로 구분할 수 있다. 수상부와 수중부 각각에 대한 주요부재 및 각 주요부재에 대한 점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돌핀의  특성 및  배치  계획 시  주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우리나라  해역의  기후변화  특성을  고려하여  도입하고자  하는  한국형  항만설계기준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최종체절이  종료된  상황에서  준설토  매립  전  임시호안이  붕괴될  경우  발생원인과 대책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사빈해안  전면  해상에  대규모  해안구조물이  건설될  경우  구조물  주변  해역에서  발생 되는  물리현상과 이에 대한  사빈보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해양에너지  중  조류발전의  특징  및  터빈  종류(수평축,  수직축)별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해양  및  항만구조물  설계  시  적용하는  구조물  직경(D)  대  파장(L)의  비(D/L)에  따른 파압  공식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년 여의도 벚꽃축제 일정과 교통통제구간을 알려드릴게요^^

 

 

2025년 여의도 벚꽃축제는 4월 8일(화)부터 4월 12일(토)까지 영등포구 여의서로 벚꽃길(서강대교 남단 사거리에서 의원회관 앞 교차로까지)에서 개최됩니다.

교통 통제 안내:

  • 전면 통제 구간 (24시간 차량 통행 불가):
    • 서강대교 남단 사거리 ↔ 국회 5문 ↔ 국회 3문 ↔ 의원회관 앞 교차로
    • 여의도 한강공원 3주차장 입구 ↔ 여의하류IC 교차로
  • 가변 통제 구간 (특정 시간대에만 차량 통행 가능):
    • 여의하류IC → 의원회관 앞 교차로: 평일 06:00~12:00 통행 가능
    • 국회 3문 ↔ 의원회관 앞 교차로: 평일 06:00~12:00 통행 가능
    • 국회 6문 → 둔치주차장: 평일 06:00~10:00 통행 가능
    • 여의2교 → 국회 3문: 평일 06:00~09:30 좌회전 가능
    • KBS홀 → 국회 3문: 평일 06:00~09:30 직진 가능

교통 통제는 4월 6일 낮 12시부터 4월 13일 오후 10시까지 진행됩니다.

 

주요 벚꽃 구간

축제의 중심인 여의서로 벚꽃길은 국회 뒤편에 위치한 1.7km 구간으로, 서강대교 남단 사거리에서 의원회관 앞 교차로까지 이어집니다.

대중교통 이용 권장:

축제 기간 동안 교통 혼잡이 예상되므로,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이나 5호선 여의나루역을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여의도에서 벚꽃을 감상한 후 다양한 활동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1. 샛강생태공원 산책 여의도 인근의 샛강생태공원은 비교적 한적한 벚꽃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서 자연을 느끼며 조용한 산책을 즐길 수 있습니다. 9호선 샛강역 3번 출구나 1호선 대방역 6번 출구에서 접근이 가능합니다.

2. 여의도한강공원 방문 한강을 따라 조성된 여의도한강공원은 벚꽃 외에도 다양한 봄꽃을 감상할 수 있는 곳입니다. 공원 내에서 피크닉을 즐기거나, 자전거를 대여하여 한강변을 따라 라이딩을 즐겨보는 것도 좋습니다.

3. 63빌딩 전망대 관람 여의도에 위치한 63빌딩의 전망대에 올라가면 서울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봄철에는 벚꽃으로 물든 도시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4. 플리마켓 및 거리 공연 관람 벚꽃축제 기간 동안 여의도에서는 다양한 플리마켓과 거리 공연이 열립니다. 현지 예술가들의 작품을 구경하거나, 라이브 음악을 감상하며 축제 분위기를 만끽해보세요.

5. 인근 맛집 탐방 여의도 주변에는 다양한 맛집이 많습니다. 특히 냉면으로 유명한 '정인면옥'이나, 한식을 맛볼 수 있는 '더미' 등이 추천됩니다.

6. 야간 벚꽃 감상 밤이 되면 벚꽃이 조명과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합니다. 야간 산책을 통해 로맨틱한 분위기를 즐겨보세요

 

봄이 오는만큼 벚꽃거리를 즐기시면서 재미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상수관망의 노후도평가
2.  누수평가지표(ILI; Infrastructure  Leakage Index) 3.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
4.  상수도관의 세척 종류  및 특징
5.  간편법에 의한  유효저수량 산정방법
6.  과불화화합물(PFAS;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7.  TMS(Tele-Monitoring  System)
8.  직접여과(Direct  Filtration)
9.  질소 순환
10. SVI(Sludge Volume  Index)
11.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12. 여과지 성능평가 방법
13. 고도산화공정(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

 

 

 


 

 


 

 

 

   2 교 시

1.  스마트하수도  관리체계 구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수관로의 동수경사선 및 경제적 관경 결정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정수처리 공정도를 작성하고, 주요 시설에 대한 기능 및 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해수담수화 시설의 계획 시  고려사항과 처리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혐기성  소화조  설계 및  운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도송수관로의  복선화  필요성  및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절감  및  자원순환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수저류시설  설치  시  고려사항과 하수저류수 처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상수도  배수(配水)시설 설계  시  계획배수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지하수  취수 시  고려사항 및  수질조사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정수시설의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밀도류의  특성과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상수도  강관의  접합방식 및  그  중  용접  후  검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환경부)에  의한  계획수립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생물학적  고도처리  전환  시  이차침전지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자외선  소독원리 및  영향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부유물의  농도와  입자의  특성에  따른  침강의  형태를  분류하고,  각각의  침전  형태별 단위공정의 적용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기후변화로 인한 물관리의 문제점 및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하수처리시설의 종합시운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원문은 맨 아래 PDF 파일 찹고하시기 바랍니다.

 

 

1 : 방재편

1 통 칙

1.1 목적

본 지침은 도로터널 방재시설의 계획ㆍ 설계ㆍ 시공 및 관리 시 적용해야 할 최소한의 기술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범위

(1) 본 지침은 도로법10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의 터널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본 지침의 적용대상인 도로터널은 자동차의 통행을 목적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지하에 건설한 구조물, 개착공법으로 지중에 건설한 구조물(BOX형 지하차도), 기타 특수공법(침매공법 등)으로 하저에 건설한 구조물(침매터널 등)과 지상에 건설한 터널형 방음시설(방음터널)을 말한다.

(3) 본 지침의 적용대상 도로터널은 전차종이 통과하는 일반 도로터널과 소형자동차만 통과하는 소형차 전용터널을 말한다.<신설>

(4) 본 지침은 터널 내 차로수가 2차로인 터널을 기본으로 하며, 3차로 이상의 대단면 터널에 대해서도 터널의 제원 및 위험도를 고려하여 준용한다.

(5) 내공단면적 및 시설한계가 표준단면과 현저한 차이가 있는 특수공법의 터널은 본 지침의 적용을 예외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지침에서 정하는 방재시설(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대피설비, 소화활동설비, 비상전원설비)의 설치를 계획하여야 하며, 시설별 설치여부 및 시설별 세부설치기준은 개별 터널별로 수치해석, 모형실험, 정량적 위험도평가 등을 수행하여 계획한다.

1.3 용어의 정의

(1) 가압운전모드 : 쌍굴터널, 피난대피터널 및 격벽분리형 대피통로 등의 안전지역 압력을 화재터널보다 높게 유지하여 화재터널에서 발생한 연기가 대피(상대)터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기 운전모드를 말한다.

(2) 가요성 금속피 케이블 : 전선 또는 케이블을 선심으로 인터록 금속(알루미늄, 스틸) 테이프 외장이나 평활 또는 주름진 금속 시스로 외장한 배관배선 일체화 케이블을 말한다.

(3) 개구부 : 터널 상부 또는 측벽에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열린 공간을 의미한다.

(4) 갱구부 : 터널의 갱구부는 터널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말한다.

(5) 경보 : 사고 발생 시 터널관리자나 관련기관에 터널 내의 이상 상황을 전달하고, 터널 내 사용자들이 적절한 행동을 취하도록 통보하는 행위를 말한다.

(6) 개방형 프로토콜(open protocol) :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설비나 정보통신기기들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말하며, 개방형이란 특정 설비만 적용되는 방식이 아닌 범용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말한다.

(7) 고속도로 : 도로법10조 및도로교통법2조제3항 및 시행규칙 제19조에 따른 도로로서 중앙분리대에 의하여 양방향이 분리되고 입체교차를 원칙으로 하는 도로를 말하며, 차량의 운행속도가 최저속도는 50km/h, 최고속도는 80~120km/h로 출입이 제한된 도로를 말한다.

(8) 곡선터널 : 터널의 선형이 직선이 아닌 굽어진 터널을 말하며, 평면선형의 굴곡도는 도로가 평면상 굴곡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단위길이에 대한 교각의 변화나 곡선반경으로 정의한다.

 

(9) 교통환기력 : 터널을 운행하는 차량의 항력에 의한 피스톤효과에 의해서 발생하는 환기력을 말한다.

(10) 구간배연 : 터널연장이 긴 경우에 터널을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배연하는 방식을 말한다.

(11) 구조물 : 교량, 터널, 댐 등과 같이 천연 또는 인공재료를 사용하여 하중을 기초에 전달하고 그 사용목적에 유익하도록 건조된 공작물을 총칭한다.

(12) 균일배기방식 : 터널내에 덕트를 시설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기구를 설치하여 단위 길이당 배기풍량이 균일하도록 배기하는 방식으로 횡류환기방식의 일종을 말한다.

(13) 관리기관 : 도로관리청, 유로도로관리청, 유료도로관리권자(민자사업자)등 을 말한다.<신설>

(14) 기계환기 : 터널환기를 위해 필요로 하는 소정의 환기량을 교통환기력으로 충족할 수 없는 경우, 환기설비를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환기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15) 내조식 조명 : 표지판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표지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방식을 말한다.

(16) 내진동형 :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진동에 저항할 수 있는 형태의 구조를 말한다.

(17) 대단면 터널 : 3차로 이상의 차로수를 갖는 터널로 시설한계와 유지점검용 통로, 조명, 방재설비, 배수설비 등의 터널부속설비나 환기를 위한 덕트 설치공간 등의 여유 단면을 포함한 터널로 단면적이 일반터널 보다 큰 터널을 말한다.

(18) 대배기구방식 : 횡류환기방식의 일종으로 배기구에 개방/폐쇄가 가능한 전동댐퍼를 설치하여 화재 시 화재지점 부근의 배기구를 개방하여 집중적으로 배연할 수 있는 제연방식을 말한다.

 

(19) 대피 소요시간 : 터널화재 시 화재를 감지하고 안전지역까지 대피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화재 감지시간, 반응/결정시간과 이동시간을 포함한다.

(20) 대형차혼입률 : 설계 연도의 연평균일교통량의 차종별 구성비 대형버스, 중형트럭, 대형트럭 및 특수트럭에 대한 구성비의 합을 말한다.

(21) 데이터 수집장치 : TC(차종별 교통량 계측장치), VI(매연투과율)측정계, CO/NOx측정계 및 풍향풍속계 등 터널 내 교통량 및 환경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계측장비와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말한다.

(22) 망입유리 : 유리액을 롤러로 제판하여 그 사이에 철, 황동, 알루미늄 등의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하여 성형한 유리를 말한다.

(23) 무전기 : 통신설비에서 무선으로 전파를 전송하는 장비를 말하며, 터널 내부에 안테나를 설치하여, 발신 혹은 수신하며 이동자기(마이크로폰이나 호출자기)로 송수신을 행한다.

(24) 물분무소화설비 : 소화수를 헤드 또는 노즐을 통해 고압, 중압, 저압으로 분사하는 시설로, 펌프, 밸브, 배관, 헤드 또는 노즐로 구성된다.

(25) 물분무 헤드 또는 노즐 : 물분무소화설비의 말단에 부착하여 직선류 또는 나선류의 물을 충돌시켜 분무하기 위한 기구이다.

(26) 본선터널 : 차량운행에 상용되는 주된 차로를 말하며, 차량이 주행하는 터널을 말한다.<신설>

(27) 분기터널 : 본선터널에서 차선의 분류나 합류가 발생할 경우, 본선터널과 교차각이 예각 또는 직각으로 연결된 터널을 말한다.<신설>

(28) 배기구 : 터널 환기 시 오염공기를 배기하거나 화재 발생 시 화재연기를 배연하기 위한 개구부를 말한다.

(29) 배연 :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류를 화재지점으로 부터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말한다.

(30) 배연구역 : 터널 천장부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연하기 위해서 배기구를 개방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일정한 범위의 지역을 말한다.

(31) 반횡류방식 : 터널에 급기 또는 배기덕트를 시설하여 급기 또는 배기만을 수행하는 횡류환기방식을 말한다.

(32) 방수압력 : 옥내소화전의 노즐, 물분무소화 헤드 또는 노즐의 선단에서 소화수의 압력(MPa)을 말한다.

(33) 방수 : 방수제 및 방수포를 사용하여 물이나 습기의 투과에 대한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을 말한다.

(34) 방호시설 : 낙석, 붕괴, 파랑 등으로 인하여 교통에 지장을 주거나 도로구조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는 부분에 설치하는 울타리, 옹벽, 기타 설치물을 말한다.

(35) 변전소 :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이를 변성(전압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 또는 전기의 성질을 변경시키는 것을 말한다)하여 부하기기의 사용전압에 적합하게 바꾸기 위한 변압기, 차단기, 배전반, 단로기, 계측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말한다.

(36) 변전실 : 고압 이상의 전기를 수전하여 부하기기의 사용전압에 적합하게 변성하기 위한 변압기, 차단기, 배전반, 단로기, 계측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37) 부압 : 기준압력인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말한다.

(38) 분배기 : 전파의 전송선로 도중에 삽입하여 전파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기구를 말한다.

 

(39) ABC급 화재 : 일반적으로 A급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화재로써 나무, 종이 섬유 등의 가연물에 의한 화재, B급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로써 유류, 가스 등의 가연성 액체나 기체 등에 의한 화재, C급화재는 전기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써 수변전 설비, 전선로(電線路) 등의 화재를 말한다.

(40) 비상전원 : 사고나 고장에 의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한 무정전전원설비나 비상발전설비에 의한 전력공급원을 말한다.

(41) 사각지대 : 화재 및 재해 발생 시 각종 감시장치 및 비상설비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여 상황의 감시가 불가능한 지역을 말한다.

(42) 사갱 : 터널 굴착 시 버력이나 재료의 운반을 위하여 굴착하는 것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진 갱을 말하며, 환기용 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43) 상용전원 : 정상적인 상태에서 한국전력공사 등 외부의 전력회사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전력공급원을 말한다.

(44) 상대터널 : 쌍굴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인접터널을 말한다.

(45) 도로의 설계서비스수준 : 도로를 계획하거나 설계할 때의 통행속도, 교통량과 교통용량의 비율, 교통밀도와 교통량 등에 따른 도로운행 상태의 질을 말한다.

(46) 설계속도 :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기하구조를 설계하기 위하여 정하는 속도로써, 도로설계 요소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조건에서 보통의 운전 기술을 가진 운전자가 도로의 어느 구간에서도 쾌적성을 잃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속도(km/h)이다.

(47) 설계화재강도 : 방재시설 설계 시 시설의 용량산정을 위해 적용하는 차량화재에 따른 발생열량(MW)을 말한다.

(48) 성층화 : 화재연기가 온도차에 의한 부력에 의해 터널 상층부에서 연기층을 형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49) 소방용품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소방시설법이라 한다)에서 규정하는 소방시설 등을 구성하거나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제품 또는 기기를 말한다.

(50) 소실 : 화재로 인해 구조물 및 제반시설이 연소하여 파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51) 소화능력 : 단위 소화기의 소화능력을 표시하는 것으로 소화기마다 검정시험을 거쳐 합격하여야 당해 능력단위를 인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검정시험은 A급화재, B급화재에 대해서 실시한다.

(52) 소화약제 :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성능이 있는 분말상, 액상 또는 기상의 물질을 말한다.

(53) 소화용수 : 소화에 필요한 옥내소화전설비, 물분무소화설비 등 소화설비에 공급을 위하여 수조에 저장하는 용수를 말한다.

(54) 소형자동차 :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2<별표 1>따른 승용자동차와 승합자동차ㆍ화물자동차ㆍ특수자동차 중 경형(輕型)과 소형을 말한다.<신설>

(55) 소형차 전용도로 : 도로법에 따른 도로 중 자동차관리법에서 정한 소형자동차만 이용이 가능한 도로를 말한다.<신설>

(56) 선형 : 도로 중심선에 의해서 입체적으로 묘사되는 형상을 말하며, 이중에서 횡단면으로 본 도로 중심선의 형상을 평면선형이라고 하고, 종단면으로 본 도로 중심선의 형상을 종단선형이라고 한다.

(57) 수직갱 : 터널공사 및 환기나 제연을 위하여 수직으로 굴착된 갱도를 말한다.

(58) 시설 관리자 : 시설물에 대한 물리적ㆍ기능적 결함 정도를 파악하고 시설물에 대한 조사ㆍ측정ㆍ분석을 통하여 각종 결함원인 및 시설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고 기능성 및 안정성 회복을 위한 보수ㆍ보강 방안을 제시하여 사전 재해 예방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ㆍ운영을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59) 신호발신구역 : 터널 내 설치된 비상신호(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 긴급전화, 소화기, 소화전) 경보장치에서 신호가 발생한 지역을 말한다.

(60) 슬림형 제트팬 : 기존 제트팬의 정방향 성능은 현행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역방향 성능은 정방향 대비 6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팬을 말한다.

(61) 쌍굴터널 : 상하행선을 분리하기 위해 인접하여 평행하게 건설한 2개의 튜브()로 구성된 터널을 말한다.

(62) 안테나 : 무선통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간에 전파를 방사하거나, 또는 전파에 의해 기전력을 유기(誘起)시키기 위하여 공중에 가설한 도선(導線)등의 장치를 말한다.

(63) 안전지역 : 터널 내 화재 및 재해발생 시 터널 이용자의 대피나 소방대원의 소화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화재로 인한 열과 연기로부터 보호되는 안전한 지역을 말한다.

(64) 야간점등회로 : 수광부에 광도전셀(Cds소자)을 이용하여 자연광의 밝기에 따라 터널 조명등을 점등하거나 또는 조명 제어반의 제어장치를 통해 야간에 점등되는 회로를 말한다.

(65) 역류 : 열기류가 부력에 의해서 차량흐름의 반대방향이나 화재 직전에 형성된 주기류의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66) 연기류 :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연기의 흐름을 말한다.

(67) 연속터널 : 동일 노선상에서 2개 이상의 터널이 연속하여 시공된 터널로 교통사고나 화재사고시 사고의 영향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터널을 말한다.

(68) 연평균일교통량 : 연평균일교통량(AADT : Average Annual Daily Traffic)1년 동안 도로의 한 지점 또는 일정 도로 구간을 지나는 양방향 교통량을 365일로 나눈 교통량을 말한다.

(69) 열기류 : 화재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높은 공기흐름을 말한다.

(70) 긴급상황 : 터널내부 및 입·출구부 인근에서 화재, 교통사고, 위험물 누출, 침수 등의 사고가 발생되어 교통흐름의 제어가 필요하거나, 안전을 위한 조치가 요구되는 상황을 말한다.

(71) 유해가스 : 화재 시 인체나 주위환경에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연기 등의 연소가스를 말한다.

(72) 위탁관리사업자 : 관리기관으로부터 터널 방재시설 운영 및 관리를 위임받은 사업자를 말한다.<신설>

(73) 위험물 : 위험물안전관리법화학물질관리법따른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물품이나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유해화학물질을 말한다.

(74) 위험물 차량 감시시스템: 위험물수송 차량에 대하여 터널 진입 전에 차량의 이상상태 검지나 화물(위험물)의 열화상 등의 스캐닝을 통해 차량의 터널 진입여부를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75) 위험물 차량 유도시스템: 위험물수송 차량에 대하여 유도차량이나 관리자의 안내에 따라 터널 내에서 위험물 차량 간에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터널을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76) 원격관리 : 통합관리센터, 관리사무소 등에서 인근의 관리소 등의 터널설비에 대한 관리·계측 및 감시 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작하는 관리방식을 말한다.

(77) 원동기 : 에너지를 회전 또는 왕복운동 등과 같은 기계적인 일로 바꾸는 동력장치를 말하며, 수력원동기, 증기원동기, 내연기관 등이 있다.

(78) 임계풍속 : 화재 시 성층화를 유지하면서 열()기류의 역류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최소한의 풍속을 말한다.

(79) 일반도로 : 도로법에 따른 도로로써 그 기능에 따라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및 국지도로로 구분되는 도로를 말한다.

(80) 임피던스 : 교류회로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단위는 Ω, 기호는 Z가 쓰이며, 전압 E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를 I라고 하면 Z=E/I가 된다.

(81) 자기구조단계 : 터널 화재초기에 관리자나 소방대가 터널에 도착하기 전 단계로 대피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대피 등 안전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 단계를 말한다.

(82) 자동절체방식 : ATS(Automatic Transfer Switch)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부하를 한 전원에서 다른 전원으로 자동절체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83) 자동차 전용도로: 간선도로로써 도로법48조에 따라 지정된 도로를 말한다.

(84) 재방송안테나 : 터널 내 설치하는 재방송설비의 안테나로서 방송의 수신이 불가능한 터널 내에 전파를 유도하여 송수신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장치를 말한다.

(85) 재방송설비 :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에 따라 방송수신 장애지역인 터널에 라디오방송 및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할 목적으로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용 무선설비를 말한다

(86) 제연 :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거나 일정 구역에서 배기하는 것을 말하며, 전자를 제연, 후자를 배연으로 구분한다.

(87) 제연보조설비 : 화재발생시 터널상부에서 공기나 물 등의 유체 등을 일정한 각도로 분사하여 연기흐름을 차단하는 제연커튼이나 연기흐름을 지연하는 제연경계벽 등과 같이 연기의 확산을 제어 및 차단·지연하는 설비 시스템을 말한다.

(88) 전기인입 : 옥외 또는 옥측에서 부터 구내의 전기사용 장소로 전기를 수용하는 것을 말한다.

(89) 전광식 : 표지판의 한 방식으로 램프나 LED를 배열하고 각 램프나 LED를 점등하여 소정의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90) 전파의 복사 : 음성, 신호, 데이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것을 말한다.

(91) 전파의 전파 : 음성, 신호, 데이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파가 안테나를 통해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92) 전환스위치 : 두 개 이상의 회로를 전환하는 제어스위치를 말한다.

(93) 정보표지판 : 터널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터널로 진입하려는 주행차량에게 터널 안의 이상 상황을 신속하게 통보하여 진입을 정지시키거나 터널 진입전 차량에게 터널 내 상황을 인식시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는 설비로 전광식, 자막식, 신호식 등이 있다.

(94) 정전 : 전기의 공급이 사고 등으로 정지되는 것을 말한다.

(95) 접지전극 : 피접지물과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한 도체를 말한다.

(96) 접지판 : 접지전극의 하나로 두께가 1.4mm 이상이고, 면적이 0.35이상인 구리판을 말한다.

(97) 종단저항 : 터널 내 화재감지설비의 신호회로에 대한 도통시험을 하기 위해 회로의 말단에 설치하는 저항을 말한다.

(98) 종류환기방식 : 터널입구 또는 수직갱, 사갱 등으로부터 신선공기를 유입하여 종방향 기류를 형성하여 터널 출구 또는 수직갱, 사갱 등으로 오염된 공기 또는 화재 연기를 배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99) 주행속도 : 도로의 일정 구간을 차량이 주행할 때, 구간의 길이를 주행한 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100) 주행차로 : 편도 2차로 이상의 도로에서 가장 우측차로를 말한다.

(101) 지지금구 : 설비 및 기기, 배관 등의 본체를 구조체 등에 부착하기 위한 금속재, 자기재, 합성수지 등의 지지철물을 말한다.

(102) 질식ㆍ냉각작용 : 화재 주위에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작용(질식), 화재주위에 분사된 물이 증발하면서 주위로부터 연소열을 흡열하여 온도를 낮추는 작용(냉각) 말한다.

(103) 침매터널 : 하저 또는 해저에 미리 터널에 맞게 지반을 형성한 후에 육상에서 이미 만들어진 터널을 수중에서 침설하여 터널을 구축하는 공법으로 건설된 터널을 말한다.

(104) 측벽 : 터널의 우측 또는 좌측의 콘크리트면을 말한다.

 

(105) 축전지 : 화학반응에 의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하며, 2개의 전극과 전해액으로 구성된다.

(106) 터널 관리소 : 터널 내 방재시설 등을 유지관리 및 운전제어를 목적으로 무인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관리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를 말한다.

(107) 터널 관리사무소 : 터널 내 방재시설 등을 유지관리 및 운전제어를 목적으로 관리자에 의해 상시 터널 내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관련시설(전기실, 변전실, 비상발전기실, 중앙제어실 등) 관리시스템을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108) 터널관리자 : 도로관리청 등 관리기관 및 터널 위탁관리사업자에 소속되어 터널 방재시설 등을 효율적으로 유지ㆍ관리ㆍ운영하는 자를 말한다.<신설>

(109) 터널 통합관리센터 : 인근 터널 관리소나 관리사무소 등을 통합하여 2개 이상의 터널 내 방재시설 등을 감시·제어하고, 관리인원이 상주하여 개별 터널들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관련시설 및 관리시스템 등을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110) 터널등급 : 터널에 방재시설 설치를 위한 터널 분류 등급으로 연장등급과 위험도지수 평가에 의한 방재등급으로 구분한다.

(111) 터널형 방음시설(방음터널) : 교통소음을 흡음 또는 차단하여 도로주변의 교통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시설 중 터널과 형상이 유사한 구조의 방음시설을 말한다.

(112) 통보 : 사고 당사자 등이 터널 내의 사고 상황을 다른 도로 이용자나 도로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113) 프로토콜 : 시스템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기종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말한다.

(114) 피스톤효과 : 터널을 운행하는 차량의 공기저항에 의해서 기류가 형성되는 효과로 교통환기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115) 비상방송 :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터널내부 및 입구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자체방송을 하여 터널 이용자에게 비상상황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116) 화재확산시간 : 터널화재 시 화재지점에서 화재연기가 터널 종방향으로 확산되어 화재지점에서부터 피난연결통로, 피난대피터널,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등의 안전한 대피공간으로 탈출 가능한 위치까지 화재연기가 도달되는 시간을 말한다.

(117) 할입방송 : 화재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터널 이용자에게 공용주파수를 이용한 라디오방송 및 지상파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여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118) 환기설비 : 터널 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희석 또는 배기하기 위하여 신선공기를 급기하거나 오염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119) 횡류환기방식 : 터널에 설치된 급·배기 덕트를 통해서 급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으로 평상시에는 신선공기를 급기하고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며, 화재 시에는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를 배기하는 방식을 말한다.

(120) 휘도 : 발광면상의 어느 한 점에서 주어진 방향으로의 휘도는 그 점을 포함하는 미소면적의 주어진 방향의 광도를 미소면적의 그 방향에서 본 겉보기 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121)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입력부(gate)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에 가깝고 출력 C-E 간은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갖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122) RTU (Remote Terminal Unit) : 원격제어반은 논리 연산부, 제어부, 출력모듈, 통신모듈, 전원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중앙조정실에서 원격 주요 지점에 대한 감시제어 및 통계·기록업무가 수행되어야 하고, 전체 설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설비 간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한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개정전문) 도로터널 방재ㆍ환기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일부개정.pdf
1.31MB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인증제도
2.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공사  진척(공정률)에  따른  사용기준
3.  낙하물방지망  설치기준
4.  건축물  기초공사 버림(밑창)콘크리트
5.  철근 가스압접
6.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현상
7.  확대머리(Headed  Bar)  이형철근
8.  철근부식방지를 위한  품질관리방안
9.  철골공사 주각부 앵커볼트(Anchor  Bolt)  시공방법
10. 충전형합성기둥 및  매입형합성기둥
11. 타일의 접착력 검사방법
12. 석재  앵커긴결공법
13.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와 종합사업관리(Program  Management)

 

 

 


 

 


 

 

 

 

 

   2 교 시

1.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개념과  스마트  안전장비  종류  및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심지 흙막이공법이 적용되는 지하층 외벽구조체 공사에서 설계적인 측면과 시공적인 측면에서 검토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철골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데크플레이트   시공   시   사고발생   원인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4.  창호공사 시공  중에 발생 가능한 하자의 유형  및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커튼월  설치에  따른 요구성능과 누수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건축물  해체공사 시  사전조사  사항  및  공해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건축물의 준공  전(前)  이행하여야 할  업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PHC파일 공사 시 말뚝재하시험 종류와 특징,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환경친화형 콘크리트(Eco-Concrete) 중에 환경부하 저감형 콘크리트 및 생물대응형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철골세우기 공사의 세우기 과정과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건축공사  설계변경의  원인과  유의사항,  설계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  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건축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의 개념, 주요 기능  및 활용  저변  확대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건축공사에서  공통가설공사의  주요  항목  및  계획  시  유의사항,  문제점  및  합리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한중콘크리트의 적용범위, 양생 시 품질관리,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내화피복 뿜칠공법의 종류와 시공 시 주의사항 및 품질관리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공동주택 단열공사 시 단열이음공법의 종류와 시공방법 및 결로 취약 부위별 시공 시
중점관리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초고층 건축물 양중계획 수립절차, 검토사항, 양중기계 배치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한   프리컨스트럭션(Pre-Construction)
적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2.  LQ분석(Location  Quotient  Analysis)
3.  생활인구
4.  대심도
5.  래드번(Radburn)  계획
6.  「국토기본법」상  국토관리의  기본이념
7.  수도권정비계획법령  상  대규모  개발사업
8.  도시‧군계획시설  부지의  매수청구권
9.  무상귀속과  기부채납
10.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  NbS) 

11.  프롭테크(Proptech)
12.  공간구문론(Space  Syntax)
13.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2 교 시

1.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도시(Garden  City)  개념  및  계획내용을  설명하고 현대도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령에  따라  지정하는  국가산업단지의  개념,  추진배경, 최근 추진 현황, 계획기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추진배경,  도시건설  이념과  특징,  단계별  추진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시‧군기본계획수립지침」상  도시‧군기본계획  수립  시  목표연도  인구추정  방법 및  인구과다추정  방지에  관한  사항을  설명하시오.
5.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령에  의한  노후계획도시정비  정책의  추진 배경,  해당  법령의  주요내용  및  향후  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국토계획평가제도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계획여건  변화에  따른  용도지역  제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건축자산의 개념, 건축자산진흥제도의 문제점과 제도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기부채납  공공건축물의  운영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1기 신도시 정비 선도지구」지정의 추진배경, 선정 기준 및 절차, 특례 및 지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  관련부처의  사업  및  도시계획 정책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용도지역  간  완충공간  설정  기준  및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치는  대지의  행위제한 적용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국유재산  기부  대  양여  사업  관리체계의  개념,  실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령에  따른  빈집의  정의,  빈집정비계획의  내용 및  활성화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수도권 관리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구역의 유형 중 공간재구조화계획으로 결정하는 용도구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시장  위기의  주요  요인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개발제한구역의  조정을  위한  도시·군관리계획  변경안  수립지침」중  개발제한구역의 조정대상지역과  해제대상지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관계기관 협의사항 및 단계별 의견수렴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및 변경 시 경미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시  홍수흔적 측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댐  설계  시  유수전환 대상 홍수량의 규모 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농업용  저수지  붕괴의  주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재해예방사업의 사전설계검토 대상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표준단면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하천 친수시설의 침수  시 안전관리 3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하천기본계획 변경을 위한  타당성  검토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유형 및  지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하천법」에서  규정하는  하천시설  유형  및  하천시설의  관리규정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댐  건설관리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2024.  1.  30.)에서의  댐  수리권 (댐  사용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하천시설 유지․보수의 목적  및  절차(4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환경개선용수의 개념  및  편익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하천  보(Weir)의  종류, 형식  및  계획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지역빈도해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하천  수해복구  사업의  개선복구계획  수립  시  반영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개요 및 필요성,  국내․외 사례와 공사 진행을 위한 선결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하천  유지․보수  매뉴얼(2024,  환경부)상  호안  보수  시  일반사항  및  호안구조별  보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상유지시설의 종류, 구조  및  계획수립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댐  계획  시  저수지 수위와 용량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하천수로터널의 수리특성 및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도시하천의 홍수유출량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기후대응댐 도입배경  및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제방안정 검토  시 활동, 누수, 침하의 원인  및  보강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배수구간에서  제방고와 둑마루폭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서 침수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설계안전성 검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계획  수립  시  타당성  평가  항목  및  산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다목적댐 비용배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반응형
1234···175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