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제2차 도로정비 기본계획(2011-2020년)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2. 도로설계분야의 해외진출 필요성과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사업 사후평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바, 이에 따른 도로(또는 공항)에서의 수해유형분석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울릉도 및 흑산도에 경비행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비행장의 개발방안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Gate(계류장의 주기장소)의 수용능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의 오르막 구간에 설치하는 오르막 차로의 운영상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추월차로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대도시 주변 고속도로의 교통량 집중으로 최근 관련도로의 확장공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는 바, 확장설계 시 검토되어야 할 설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노선을 계획함에 있어 교통안전을 고려한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장마철 강우 후 도로(또는 공항)포장에서 발생하는 포트홀(Pot Hole)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의 총괄계획(Master Plan)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시설의 제․방빙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부천고가교 화재사고와 관련하여 이와 유사한 사고를 방지 하기 위한 교량하부공간 관리방법과 상기 사고가 남긴 교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지하도로계획 시 고려사항과 문제점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3. 산지부를 통과하는 도로의 종단선형(터널포함)과 배수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저탄소․녹색성장을 위한 도로(또는 공항)포장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2개의 활주로 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시설은 기능별로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항공기 이․착륙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도로 주행의 안전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면곡선 반지름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을 위한 시험도로 건설 및 계측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3. 오르막차로 설치구간 설정과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설계시 터널구간의 평면선형 결정요소와 병렬터널 계획시 선형분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 분류번호에 의한 착륙대의 설치기준과 정지구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계류장 주기방식과 항공기 등급별 최소 이격거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또는 공항)설계시 흙쌓기구간의 도수로 간격을 결정하는 방법과 배수시설 설계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입체교차로에서 변속차로의 형식 및 본선과의 편경사 접속설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포장수명을 좌우하는 초기거동의 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설계시 연약지반 구간에서 연약지반 판정기준과 처리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 활주로 말단부 설계시 관련시설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6. 공항 활주로상 표지시설(Runway marking)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설계시 터널구간 안전시설중 조명시설의 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평면교차로(신호교차로)의 교통신호기 설치근거 및 기준과 신호시간 산정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포장설계시 암반구간에서의 포장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설계시 비상주차대의 현행 설계기준을 설명하고, 설계기준에 대한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5. 도로(또는 공항)포장의 노면 불연속구간에서 포장파손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포장의 그루빙(Grooving) 설치시 적용기준과 설치 후 유지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2. 포장도로의 공용기간과 설계 해석기간 3. 비동력 무탄소 교통수단 4. 골재의 유효흡수율과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간극율 5. 도로포장 구조설계 등급 결정기준 6. Grooving 및 Rumble Strip 7. 시공단계의 설계 VE(Value Engineering)
8. 도로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운행제한차량
9. 도로의 부속물 10. 휴게시설의 종류 및 특성 11. 다변측정 감시시설(MLAT) 12. 대기지역(Holding Bays) 13. Mooring Point
2 교 시
1.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2011 도로포장구조설계요령)의 특성과 공용성 해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시지역 도로의 횡단구성 요소와 횡단구성시 주요 검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최근 부각되고 있는 환경보전 정책과 관련하여 고로슬래그 등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의 특성 및 도로포장(또는 공항포장) 재활용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4. 도로(또는 공항)계획시 수요 및 공급 교통량 산정과 시설규모 결정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계획의 에어사이드 시뮬레이션 분석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종류, 분석절차, 입력요소, 결과물의 내용 및 결과물의 활용방법 등의 사항을 설명하시오. 6. 공항운영시 발생하는 항공수익과 비항공수익에 대하여 설명하고 수익과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입체교차로의 연결로 접속단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설계속도와 선형요소(평면선형, 종단선형, 시거 등)와의 연계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을 위한 “제3차 중기교통시설 투자계획(2011~2015)”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포장(또는 활주로포장)에서 편측 2차로 시멘트 콘크리트포장(JCP)을 동시 포설 계획할 때 줄눈배치 방법을 도시(圖示)하고 줄눈종류별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시오. 5.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에서 발생하는 소성변형의 원인과 대책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저탄소 친환경 녹색공항 건설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수도권 도시고속도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2. 교차로 설계시 교통사고 방지 및 교통류의 원활한 처리를 위한 도로교통 안전시설의 종류 및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 공항)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원인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연약지반에서 도로축조시(공항건설시) 필요한 계측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의 게이트소요는 일반적으로 Horonjeff 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지만, 공항의 운영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현실과 부합된 게이트소요를 산출하기 위한 고려사항, 입력요소의 결정방법, 공항특성 반영내용, 산출결과 보정 등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6. 최근 군비행장 이전과 관련한 법률제정이 진행되고 있다. 군비행장 이전시 고려사항,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제7차 국가교통안전 기본계획(2012∼2016)중 안전한 교통인프라 구축을 위한 도로분야의 중점추진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선형설계시 평면곡선부에 설치되는 편경사와 횡방향미끄럼마찰계수의 분배 방법을 도식화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계획시 자동차의 주행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도로접근관리의 원칙 및 도로의 기능에 따른 접근관리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다차로도로 (6차로 이상 )에서 편경사를 이용한 수막현상 최소화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항 부지조사에 있어서 운영적, 사회적, 비용적 고려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또는 도로)계획시 장래 수요예측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이상기후에 대비한 도로선형 고려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악지대나 해안지역을 통과하는 도로설계시 주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풍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중차량이 많은 도로에서 소성변형 최소화를 위한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유 동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최근 개정된 도시부 도로 배수설계기준 주요내용과 설계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여객터미널 계류장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비행장 포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구역별 포장단면 변화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4 교 시
1. 세갈래 입체교차로의 방향별 교통량에 따른 분기형식과 설계속도차이에 따른 도로 구조적 안전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의 선형설계 기본방침과 선형설계의 일관성을 검토·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비탈진 원지반에서 흙쌓기시 고려사항과 땅깍기, 흙쌓기경계부의 부등침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노선버스가 통행하는 도로에서의 버스정류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 , 계류장 , 여객터미널 , 항공교통관제업무에 대한 처리용량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6. 기존 공항(또는 도로)의 용량증대를 위한 교통체계관리기법(TSM)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1. 길어깨의 횡단경사 2. 상대강도계수(Layer coefficient) 3. 인터체인지의 접속단 결합 4.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구조 5. Full depth 아스팔트 포장 6. 고속도로의 진입로 신호조절(Entrance ramp control) 7. 곡률과 곡률도 작성 8. 콘크리트 포장의 Dowel-bar와 Tie-bar 9. 교통섬(Traffic island) 10. VFM(Value for money) 11. 비행장의 기준 12. 최저비행고도 13. 공항시설
2 교 시
1. 버스 전용차로의 설치기준과 설치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방재시설 설치를 위한 터널등급 결정시 기준이 되는 터널 위험도지수 평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예비타당성조사와 타당성조사의 차이점과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정지시거의 개념을 설명하고, 여러 가지 도로 환경조건에서의 정지시거 계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유도로(Taxiway)의 설치기준 중 항공기 분류기준 E급 이상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활주로길이 1500m(착륙대등급 D급) 이상의 육상비행장에 대한 장애물 제한표면의 종류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비한 국내고속도로 설계기준 개선 내용 및 향후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설계시 3차원 모델링을 통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추진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고속도로와 국도가 4지로 교차하고 있다. 도로 설계시 주로 검토되는 인터체인지 형식별 특징 및 적용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에서 사용하는 완화곡선의 설치 목적과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항공기 소음평가방법 및 NCR과 WECPNL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우주항공시대를 준비하기 위하여 초음속항공기에 대비한 공항 개발방향을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 설계시 엇갈림구간의 교통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기하구조 요소(형태, 길이, 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 계획시 도로공간 기능의 활성화 방안과 교통약자 등을 위한 보행시설물 설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심지내 소형차전용 지하도로를 건설하고자 한다.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량구조물 설계시 도로, 철도, 하천, 해상 등 타 교통시설과의 시설한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활주로 길이 산정요소와 활주로 공시거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신공항 후보지 선정절차와 단계별 선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도로(또는 공항)시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양방향 좌회전차로 설치요건 및 설치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국도노선계획지침(국토교통부)에 규정된 국도와 국도, 국도와 다른 도로와의 교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직선과 원곡선 사이에 설치되는 완화곡선 설치방법을 도시(圖示)하고 완화곡선 생략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에어사이드의 배수계획시 배수시설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항의 항공기 소음공해 평가방법 및 소음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의 경관설계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설계속도의 정의와 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M R G (Minimum Revenue Guarantee)의 변화 추이와 도로 민간투자사업의 침체 원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인터체인지에 적용되는 좌우회전 연결로의 형식과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새로운 공항 건설을 위한 계획과정과 과정별 주요 수행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허브앤드스포크시스템 (Hub and Spoke System)의 목적과 입지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제5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2013∼2017)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의 특징과 부도로 평면 교차부의 교통처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예방적 유지관리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심부 침수 예방을 위하여 도로 배수와 하수도를 연계하는 「도시부 도로배수시설 설계 잠정지침」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시오. 5. 여객터미널 배치방법(집중식과 비집중식)의 장·단점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2011년 국토교통부에서 개정한 『도로안전시설및관리지침(2011.11)』 중 차량방호 안전시설 설계지침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친환경 • 인간중심의 도로건설 및 운영을 위한 국가도로 정책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 노선계획시 선형설계의 기본 방침과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의 일반 방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시가로지구 흑은 신호교차로가 연속적으로 위치한 간선도로에서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한 선호연동요건과 신호연동을 위한 공통주기 설정 및 신호연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항공교통 대중화 및 전방위 항공노선망운영 등으로 항공운영환경이 매우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국내 공역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미국에서개발한국가공항통합시스템계획(NPIAS:NationalPlanofIntegratedAirportSystem)과국내공항시스템계획에대하여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로(또는공항) 깍기구간의 비탈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공법 종류와 현행 보강공설계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기존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에 신규 아스팔트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설계의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또는공항) 축조공사에서 연약지반개량 공법 선정시 유의사항과 장기침하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로 종단경사가 완만한 터널구간 내 물고임 현상의 발생 원인과 물고임 처리방안을 기하구조적으로 설명하시오. 5. 대규모 공항 에어사이드에서의 용량과 자연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교통관제시설인ILS(InstrumentLandingSystem)와 MLS(MicrowaveLandingSystem)의 각 구성요소 및 기능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로의 평면 곡선부 설계시 편경사 접속설치(접속설치율,설치길이)와 평면곡선부가 배향곡선(원곡선-완화곡선-원곡선)으로 구성된 구간에서의 편경사 설치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시오. 2. 고속도로와 접속되는 일반도로 구간에서 최근 녹색도로 교통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회전교차로(RoundAbout)의 적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의 길어깨부에서의 노면 배수불량으로 인한 물고임 구간의 발생 원인 및 처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동절기 폭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도로의 제설시설 중 제설작업 시설과 방설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대형공항에서의 항공등화시설 기준과 표지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공기의 제빙시설(De-icingFacilitie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종묘사업실시요령」에 의한 묘목검사 방법 2.「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에 따른 정량간벌의 정의, 대상지 작업방법 3. 숲가꾸기 표준지의 크기와 조사방법 4. 도시숲 기능 구분 및 각 기능별 정의 5. 컴퍼스 측량의 특징 6. 말구직경자승법 7. 테마임도 조성 기준 8.「임도설치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감리원의 임무 9.「공·사유림 경영계획 작성 및 운영요령」에 따른 산림현황과 임황조사 10.「산림기술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교육·훈련 대상 산림기술자의 범위
11. 수확을 위한 벌채금지 구역 12.「사방사업의 설계·시공 세부기준」에 따른 사방댐의 유형, 기본원칙 및 위치선정
13. 산림기술진흥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2 교 시
1.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림휴양림의 관리목표, 관리대상, 유형별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사방사업법」에 따른 사방사업의 목적과 용어의 정의 및 사방사업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4. 자연적‧인위적인 원인으로 훼손된 산지의 복원사업을 식생복원사업과 기반안정복원 사업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5. 산림기술자가 받아야 하는 교육·훈련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친환경적인 임도 조성을 위한 임도시설 시공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임업경영의 지도원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참나무림 맹아갱신 대상지 및 갱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른 수확을 위한 벌채와 수종 갱신을 위한 벌채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4. 사방사업 타당성 평가내용으로 공통사항과 산지사방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시범림의 조성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섬숲 산림복원 정책여건 및 기본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태간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림보호법」에 따른 생태숲 지정대상지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벌목작업조직을 편성할 때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임도설치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임도의 실시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산사태 대응의 평가·분석 사항 및 절차, 산사태 발생지의 복구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산림문화 및 휴양, 산림치유, 산림교육, 산림복지의 정의와 관련 법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