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주철의 용접이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시오. 2. 「방사선 안전관리 등의 기술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 (방사선관리구역)에 의한 허용선량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곳에 대한 출입자의 방사선 장해방지 조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자분탐상검사에서 결함 검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약 290℃의 가압수가 흐르는 저탄소강 배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함과 예방대책을 설명하시오. 5. ASME sec. Ⅴ 또는 KEPIC MEN 기술기준에서 규정하는 다음 비파괴검사 용어의 정의를 설명하시오. (1) Discontinuity(불연속) (2) Indication(지시) (3) Flaw(결점, 흠) (4) Defect(결함)
6. 초음파탐상검사에서 수침용 탐촉자의 특성을 설명하고, 수침법의 장점을 설명하시오. 7. ASME sec. Ⅴ,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에 따른 직접육안검사 및 간접육안검사 기법과 VT-1, VT-2 및 VT-3의 육안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탄소당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누설검사에서 발포검사법의 종류 및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초음파탐상검사의 음압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정의된 데시벨(dB)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엑스선 발생장치 구조 중 양극 후드(Anode Hood)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홀효과의 정의를 설명하시오. 13. 와전류탐상검사에서 표피효과와 위상지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금속의 결함 중 (1) 고유결함 (2) 제작 및 가공 중 결함 (3) 사용 중 결함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연강판을 아크 용접할 때 용접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예열과 후열처리 목적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열교환기 비강자성 튜브의 와전류탐상검사에서 교정대비시험편으로부터 절대기법의 응답(20% 평저구멍, 100% 관통구멍, 내면 홈)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4. 알루미늄 합금 주물 - 방사선투과검사 및 투과 사진의 등급 분류(KS D 0241)에 따른 (1) 필름관찰 장치 구조 요건 (2) 투과사진의 상질을 평가하기 위한 투과도계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펄스 에코법에 의한 금속 재료의 초음파탐상검사에 대한 일반 규칙(KS B 0817)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 결과의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액체침투탐상검사에서 분류되는 아래 지시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관련지시(Relevant Indication) (2) 무관련지시(Non-relevant Indication) (3) 허위지시(False Indication)
3 교 시
1. 초음파 펄스 에코에 의한 두께 측정(KS B 0536)에 따른 검사 후 측정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위상배열(Phased Array) 초음파 탐상검사의 원리와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음향누설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열거하고, 음향누설검사의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방사선투과사진 필름현상 처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필름상의 인공결함의 종류별 발생원인 및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초음파탐상검사 수행 시 용접부의 결함종류별로 나타나는 결함에코 추정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자분탐상검사의 극간법에서 사용하는 자석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 영구자석 요크의 특징 및 장·단점 (2) 전자석 요크의 특징 및 장·단점
4 교 시
1. 방사선투과사진 감도의 선명도와 명암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각 나열하고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와전류탐상검사에서 사용하는 대비시험편의 사용목적, 재료선정 및 인공결함종류별 선정요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방사선투과검사를 위한 증감지의 정의, 사용방법 및 사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자분탐상검사에서 적용하는 형광 자분법과 비형광 자분법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피복아크용접 시 발생되는 저온균열인 수소 기인 균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발생기구 (2) 특징 (3) 원인 및 대책 (4) 용접부 검사 6. 자분탐상검사 결과의 판독지시 신뢰도 향상을 위한 휘도 명암도와 색채 명암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종이의 강도를 높이는 지력증강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골판지상자의 괘선 터짐이 발생하는 원인을 3가지만 설명하시오. 3. 이중양면 골판지상자의 소요면적(㎡)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쓰고, 계산식에서 사용된 숫자들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시오. 4. 유리병의 경량화 지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금속 캔의 Distortion 인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플라스틱 필름의 개질에 사용되는 첨가제 중 발포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주로 통조림에 사용되는 탈기방법에 대하여 2가지만 설명하시오.
8. 스킨포장기법과 블리스터 포장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블리스터 포장 대비 스킨포장의 장점을 설명하시오. 9. 수축포장에 사용될 수 있는 재질과 적용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전자레인지나 오븐에 주로 사용하는 결정화 PE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페트병의 일체형 마개(Tethered cap)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규격이 275mm×206mm×200mm인 골판지상자를 T-11형(1,100mm×1,100mm) 파렛트에 적재하려고 한다. 이때 1단에 적재 가능한 상자의 개수와 평면적재효율(%)을 구하시오. 13.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지침”에서 도포·첩합으로 표시해야 하는 포장재의 종류와 재질·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골판지상자의 가공설비에 대하여 설명하고, 0201형(구 A-1형) 상자와 0435형(오픈형 조립식) 상자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연포장재의 밀봉방식 중 밴드접착기, 임펄스접착기, 불꽃접착기, 고주파접착기, 초음파 접착기의 열접착 원리와 적용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PET병 포장재 스티커 라벨의 “재활용 최우수”, “재활용 우수”, “재활용 보통” 등급에 해당하는 재질·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증착필름은 높은 가스차단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증착 시 베이스 필름(피증착필름)이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하여 3가지만 설명하시오. 5. 근래 기업경영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는 ESG에서 환경경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류의 역할에 대하여 2가지만 설명하시오. 6. 바이오 플라스틱 포장재를 산화생분해 플라스틱(Oxo-Biodegradable Plastics), 생분해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Bio Based Plastics)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포장설계 시 검토사항(check list)에 대하여 각 항목별로 3가지씩 설명하시오. 가. 제품에 대한 검토사항 나. 소비자에 대한 검토사항 다. 유통에서의 검토사항 2. 유리병의 성형 공정에서 B&B(Blow & Blow)방식과 P&B(Press & Blow)방식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3.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 시 요구되는 물성(내열성, 내수성, 열봉함성 및 봉함강도, 충격강도 및 파열강도, 차단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커튼 코터(Curtain Coater)의 종류와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RE100과 CF100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종이 포장재(종이팩 포장재 제외)의 재활용 용이성 평가 방법을 UL(Underwriters Laboratories) ECVP 2485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4 교 시
1. 김치류 포장설계 시 검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 판매되고 있는 김치를 포장형태별로 구분하여 각 형태별 포장재질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최근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40%에 이른다는 통계가 발표되었는데 이는 가정식 편의식품 (HMR; Home Meal Replacement)의 발전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HMR은 “스마트 패키징” 기술이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기술의 기본개념과 용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유리병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3가지만 설명하시오. 4. 정적 완충계수 및 동적 완충계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비대면 유통 물류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사용 후 플라스틱 포장재의 화학적 재활용 방법 중 열분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가정 간편식(HMR)의 6가지 유형 2. 식품위생법상 공유주방의 위생관리 책임자의 직무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상 품질관리인의 직무 3. 건조 블록 형태의 미역국에 뜨거운 물을 부어 섭취하는 경우 식품의 세부 분류와 나트륨 평균값의 기준 4. 개별인정형 원료를 자사 제품의 원료용으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건강기능식품 품목제조신고 대상 여부 5. 밀가루면 제조 중 yellow alkaline noodle의 정의 6. 최근 개정 고시된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GMP)의 제조관리기준서에 신설된 사항 7. 식품에서 열전달(heat transfer) 방법 8. 건강기능식품 위탁 생산 시 제조업소명 및 소재지 표시방법 9. 식품에서 미세캡슐화(Microencapsulation) 10. 식품위생 관련 행정부처와 소관 식품위생 관련 법의 종류 11. 농약 허용물질 목록관리제도(PLS)와 도입 효과 12.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파라미터 중 정밀성(precision) 13. 공액 리놀레산(CLA)
2 교 시
1. 아미노산의 분류와 성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식품 관능검사에서 얻은 데이터들을 특성에 따라 분류한 명목 척도, 서수 척도, 간격 척도 및 비율 척도를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3. 박테리오파아지의 오염 증상과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4. 메디푸드(특수의료용도식품)의 정의, 분류 및 활성화 방안을 설명하시오. 5. 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독성시험의 종류와 검사방법을 설명하시오. 6. 천일염의 용도와 인증 제도를 설명하시오.
3 교 시
1. HACCP 계획의 검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식품가공에서 이용하는 효소의 종류 및 이용 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서류를 제출하고자 할 때 제출 자료를 표준화, 기능성, 안전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4. 식품위생법상 허위표시, 과대광고 및 과대포장의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GMP공장의 위생적 설계를 고려할 때 기계장치, 파이프 및 배관을 포함한 식품과 접촉하는 표면의 조건을 설명하시오. 6. 육류의 사후경직과 자가분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무균화 포장(Aseptic Packag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SOD(Superoxide dismutas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복합원재료를 많이 사용한 순서에 따라 5가지 이상의 원재료명을 표시할 때 6순위 원재료가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경우 원재료명 표시 및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방법을 설명하시오. 4. 식물성 대체육을 설명하고, 제도 개선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설명하시오. 5. 식품산업에 스마트제조 도입 시 장애 요인과 활성화 대책을 3가지만 설명하시오. 6. 푸드테크의 개념을 설명하고 푸드테크 혁신기술의 사업화 촉진 방안에 대하여 3가지만 설명하시오.
1. 밀식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수목병의 삼각형 및 수목병의 사면체 5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수목병의 다범성과 단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각 3종 기재하시오. 4. 2차 해충(Secondary insect pest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입목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지위지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동령림 경영에서 요구되는 결정인자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산지사방에서 기초공사의 공종을 설명하시오. 10. Matthews의 최적임도간격이론을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11. 우리나라 임업기계화의 문제점 및 저해요인을 설명하시오. 12. 산림의 녹색댐 기능과 그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조림수종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 시
1. 수목 종자의 결실 주기성과 개화 결실 촉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른 도 시 숲등 의 주 요 기능 과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고성능 임업기계(다공정 임목수확기계)에 의한 목재수확작업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야계사방사업에서 계류보전사업 및 계류복원사업의 시공요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산림조사에 있어 토양형을 5가지로 구분하고 각각 설명하시오. 6. 수치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모수작업과 보잔목작업의 갱신형태 및 갱신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참나무시들음병의 병징 및 방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산불진화임도 시설기준에서 대상지와 설계지침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업별 공사별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물순환 과정에서 산림 생태계의 역할을 산림수문학적 입장에서 설명하고, 산림수문현상과 관련하여 산림 식생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산성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임업생산의 3요소를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수형목 지정 요령과 지정 기준, 지정 해제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정성간벌, 정량간벌, 도태간벌, 기계적간벌을 각각 설명하시오. 3. 빗물침식(우수침식)에서 침식의 진행과정 및 침식작용의 형태 등에 따라 구분하고 설명하시오. 4. 기계화작업을 통한 벌채 및 반출작업에서 작업비용에 미치는 영향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우리나라 임업경영의 특성 중 임업의 경제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산림의 기능구분 중 산지재해방지림 조성 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항만법에 명시된 기본시설을 분류하고 각 시설별 특징을 설명하시오. 2. 항내정온도의 평가기준 및 향상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수리모형실험 계획 및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재해완충공간을 확보하는 ‘국민안심해안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기존 항만시설의 내진성능평가 방법 및 내진설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항만계획 및 설계 시 고려해야할 인자 중 자연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항만공사의 시행방법을 적용법령 및 시행주체를 기준으로 설명하시오. 3. 준설토 투기장 호안의 피해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연안재해의 종류와 주요원인(고조, 쓰나미, 부진동 등)별 피해사례 및 대응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국내외 해양치유정책 동향 및 여건과 해양치유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만시설물별 유지보수 원인 및 유지보수 시 주의사항과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컨테이너부두의 주요시설 배치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선박의 대형화가 항만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적인 대응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항만개발 시 시행하는 선박조종시뮬레이션 수행 시 영향요소 및 한계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자갈(몽돌) 및 사빈(모래)해안의 침식 및 퇴적 특성과 대책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국내 마리나항만의 개발 및 운영 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항만재개발사업의 정의 및 추진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재개발 사업 시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농어촌용수구역의 설정 및 관리 2. 농지배수계획 수립 시 설계강우량 자료 선정 기준 3. 토양침식 중 수식(水蝕)의 종류 4.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생태·자연도의 구분기준 및 활용대상 5. 수원공, 수리답 면적, 수리불안전답 면적 6. 농지배수 유지관리에서 배수펌프장의 관리 계획 7.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시설물의 종류 및 안전등급 기준 8. 조정지 설치목적 및 장점 9. 농지배수계획 수립 시 매립(복토)량 결정 10. 용수로 수로 조직의 구성 및 기능 11. 포괄보조금제도 12. 논의 공익적 기능 13. 배수장 위치 결정 조건 및 고려사항
2 교 시
1. 배수개선사업 추진방향과 시행체계 및 조사설계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천법에 의한 자연친화적 하천조성을 위한 보전지구·복원지구·친수지구 지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대구획 논의 구획계획, 포구와 경구의 형상 및 크기를 각각 설명하시오. 4.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및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의 사업비 변경원칙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수리시설개보수 사업대상지 선정기준 및 우선순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시설 구성요소와 적용범위 및 형식별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저수지의 홍수단계별 조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농촌지역에 적합한 하수처리시설 조건과 하수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농어촌용수의 효율적인 이용·개발과 보전·관리를 위해 수립하는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의 기본목표와 계획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방수제 보호를 위한 수제의 설치 목적, 설치 위치, 수제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5. 배수로 사면보호를 위하여 설치하는 호안공법의 종류와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농도(農道) 설계 시 생태이동통로의 유형과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밭작물 용수공급을 위한 관개방법을 분류하고 선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물관리기본법 시행에 따른 농업용수 분야의 문제점과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개간지의 유지관리 계획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필댐(Fill Dam)의 파괴 원인 중 하나인 저수지 누수의 원인과 문제점 및 원인별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배수개선 침수분석 결과에 따라 배수계획을 수립할 때 홍수배제 대안별 검토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농촌공간정비사업 계획수립 및 대상지구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흐름영역에 따른 침강속도 계산방법 2. 생물활성탄(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3. 호소내 퇴적물에서 인의 용출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와 용출 방지기법 4. 기온과 수온 사이의 이력현상(hysterisis) 5. 조류의 광합성 증가에 따른 pH 변화 기작 6. 산화환원 전위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7. 생태계를 유지하는 2가지 주요 동적 흐름 8. 수처리공정 중 호기성,혐기성,무산소 조건에 대한 비교 9. 유기물 지표항목의 종류와 특징 10. 호수 수질모델에서 인과 클로로필을 모의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작 11. 하상계수(유량변동계수) 12. BTEX와 MTBE 13. Microcystin—LR과 Microcystin-RR의 차이
2 교 시
1.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UE)을 제시하고 영향인자를 설명하시오. 2. 호수에서의 성층현상(Stratification)과 역전현상(Turn ov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2012년 11월 개정된 환경정책기본법에는 수질환경기준에서 총유기탄소가 생활환경 기준에 추가 도입되었는데,그 배경과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 4. 하폐수 처리장 배출수 수온이 담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제도적 및 기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시오. 5. 배출허용이 적용되는 기술수준인 BAT, BPT, BCT, PSES, NSPS, PSN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호소의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영양염류 중의 하나인 질소를 수처리 공정을 통해 제거하고자 할 때 물리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을 각각 2가지만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인공습지를 흐름형태별로 분류하여 설명하고,오염물질 처리기작과 인공습지의 가치를 설명하시오. 2.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수질오염총량관리에서 비점오염원 관리방향 2)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3. 물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 적용 중이거나 적용 가능한 관리 제도를 설명하시오. 4. Ecological Integrit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국내 산업폐수 관리에 대한 제도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생물학적 수질판정의 종류와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하수처리시설에서 인(phosphorus)처리를 위한 고도처리에 약품을 사용하려고 한다. 이때 아래의 조건에서 이론적 슬러지 발생량을 산정하시오.
2. 어 느 하 천 으 로 공 장 폐 수 가 방 류 되 고 있 다 . 방 류 점 에 서 는 혼 합 이 이 상 적 으 로 이 루 어 지고 있으며,혼합수의 수질 및 기타 조건은 아래와 같을 때 2일 후의 DO 농도, 혼합 후 최저 DO 농도가 나타나는 시간(day), 이 때 DO의 최저농도를 각각 구하시오.
< 조건〉 • DO 부족량 = 3.2 mg/L • DO 포화농도 = 9.2 mg/L • 최종 BOD = 20 mg/L • BOD 반응율 상수 = 0.1 • 재포기율 상수 = 0.24
3. 공기탈기법으로 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pH를 조절하고자 한다. 수중의 암모니아 중 NH3를 99%로 하기 위한 pH를 아래조건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4. 호 소 의 부 영 양 화 로 인 한 녹 조 발 생 시 남 조 류 등 이 대 량 증 식 하 게 되 는 데 이 때 Microcystin과 같은 독성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독성물질의 특징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아래의 조건으로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저류지를 설계하고자 할 때 수질처리용량을 산정하고,초기침강지와 저류지 규모를 각각 설계하시오.
1. GTL(Gas To Liquids) 2. 액체질소 냉동고 3. 간섭 계 형 가스분석 기 (Interference Type Gas Analyzer) 4. 편위식 액면계 (Displacement Type Level Gauge) 5. 열효율과 전열효율 비교 、 6. 가스전(Gas Field)의 산출시험(Drill Stem Test) 공정 7. 바나듐어 택 (Vanadium Attack) 8. 파열판식 안전밸브 특징 9. 특정고압가스용 실린더캐비닛 10. 킬드강(Killed Carbon Steel) 11. 이동식 부탄연소기와 이동식 프로판연소기 비교 12. 가스용 스털링 엔진(Stirling Engine) 다기능보일러 13. 프란틀 수(Prandtl Number)
2 교 시
1. 일반도시가스사업자의 제조소 및 공급소에 설치하는 가스누출검지 경보장치의 구조, 기능 및 검지부의 설치 금지장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시가스 공급시설에 설치하는 직등식 정압기와 파일럿식 정압기의 용도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국내 천연가스 공급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에너지의 회수원리와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가연성가스 충전소에서 정전기로 인한 사고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공기 분리기(Air Seperation Unit)의 분리공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고,설계 및 운전시 고려해야 할 안전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LPG 지하 암반공동(Rock Cavern) 저장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도시가스 공급시설 설치비용 분담금의 산정기준 및 분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시가스 중압배관 정밀안전진단 대상,추진체계,진단항목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3. 지하에 매설된 LPG 저장탱크를 굴착하여 개방검사를 하고자 한다. 검사의 주요공정과 작업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시가스 사용자공급관을 설치할 수 없는 장소 10개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휴대용 연료전지 중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d Feul Cell, PEMFC)의 기술 및 상용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고압가스시설에서 가스누출에 따른 영향(Effect)과 피해(Damag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시가스 중압배관(0.5MPa,300A)을 하천 횡단하여 매설하고자 한다. 이때 하상폭 양끝단으로 부터 보호시설까지의 이격거리 계산식과 하천, 소하천, 용수로의 매설깊이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매설된 가스배관(연장 20km)의 전기방식을 희생양극법으로 관리하던 중 경전철이 설치, 운행되면서 누설전류가 유입되었다. 경전철 운행 및 미운행 시간대의 효과적인 전기방식 방법과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 축 물 내 부 에 도 시 가 스 배 관 을 설 치 하 고 자 할 때 층 간 이 막 힌 파 이 프 덕 트 ( P i p e Duct) 내부에 저압의 공급관을 설치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최 근 합 성 천 연 가 스 와 바 이 오 가 스 이 용 과 관 련 한 도 시 가 스 사 업 법 이 개 정 되 었 다 . 개 정 된 주요내용과 도시가스사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저장탱크에서 진공이 발생될 수 있는 조건과 부압방지조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석 유 화 학 , 반 도 체 및 첨 단 산 업 분 야 등 에 널 리 사 용 되 고 있 는 독 성 가 스 의 위 험 으 로 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환경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주요 제독방법과 제독설비 설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