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교시

1. 지반조사방법 중 사운딩(sounding)의 종류
2. 아스팔트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토목섬유의 종류
3. 콘크리트의 초음파검사
4. UHPC(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초고성능콘크리트)
5. 동결융해저항제
6. 비상여수로(emergency spillway)
7. 흙의 안식각(安息角)
8. SMR(slope mass rating)
9. 토공의 시공 기면(formation level)
10. 탄성받침이 롤러 (roller)의 기능을 하는 이유
11. 라멘교(rahmen)
12. 종합심사낙찰제(종심제)
13. 공정관리에서 자유여유(free float)

 

 

2교시

1. 정수장에서 수밀이 요구되는 구조물의 누수 원인을 기술하고 누수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강교의 현장 이음방법 중 고장력 볼트 이음 방법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설기계의 선정시 일반적인 고려사항과 건설기계의 조합원칙을 설명하시오.
4. 비탈면 성토 작업 시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토사 성토 비탈면의 다짐공법
2) 비탈면 다짐 시 다짐기계 작업의 유의사항
5. 비 점오염 원(non-point source pollution) 발생원인 및 저감시설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6. 터널 라이닝콘크리트(linning concrete) 균열 발생 원인 및 균열 저감방안을 설명하시오.

 

 

3교시

1. 현수교 케이블 설치 시 단계별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곡선교량의 상부구조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3. 유토곡선(mass curve)을 작성하는 방법과 유토곡선의 모양에 따른 절토 및 성토 계획에 대해 설명하시오.
4.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균열의 진행성 여부 판단방법, 보수보강 시기 및 보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파손 및 보수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하천 제방의 누수 원인을 기술하고 누수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항만공사용 흡입식 말뚝(suction pile) 적용성 및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2. 기존 터널에서 내구성 저하로 성능이 저하된 경우 보수 방안과 보수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3.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의 경우 고강도 콘크리트 타설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고속도로 공사의 발주 시 아래 발주 방식의 정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최저가 입찰방식
2) 턴키입찰방식
3) 위험형 건설사업관리(CM at risk) 방식
5. 홁막이 벽체 주변 지반의 침하예측 방법 및 침하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장경간 교량의 진동이 교량에 미치는 영향과 진동 저감방안을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l 거푸집 동바리 시공 시 고려사항 
2. 도로(지반) 함몰 
3. 교량등급에 따른 DB, DL 하중 
4. 자정식(自徒式) 현수교 
5. 건설기계의 주행저항 
6. 시공상세도 (Shop drawing) 목록 
7. 교면포장의 역할 
8. 얄은 기초의 전단파괴 
9. 확장 레 이 어 공법 (ELCM Extended Layer Construction Method) 
10. 서중 콘크리트 
11 터널의 Face Mapping 
12. EPS(Expanded Poly- Styrene) 공법 
13 이형철근의 KS 표시방법 

 

 

2교시

1. ‘가설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각종 가시설구조물의 종류와 특성, 안전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우기(雨期) 시 도로공사의 현장관리에 필요한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관거와 관거의 연결 및 관거와 구조물의 접속에 있어서 그 연결방법과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량 준공 후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NATM 터널 막장면 보강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콘크리트 표연결함의 형태와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l.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과 동법 ‘시행령’에 따른 시설 의 범위(건축물 제외)와 안전동급에 대하여 설명 하시 오 
2. 흙막이 벽 지지구조 형식 중 스앵커공법 서 어스앵커 자유장과 정착장의 결정 시 고려 사항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설 로봇 및 드론 Drone) 의 건설현장 이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골짜기가 어 바라 설치가 곤란한 산악지역에서 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공법 으로 공할 경우 특정과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도시구조물 공사 시 콘크리트의 탄산화 방지대책 에 대하 여 설명하시오, 
6. 터널 굴착공법 중 굴착단면 형태에 른 굴착공 법을 교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공사착수 단계에서 현장관리와 관련하여 시공자가 조치하여야 할 사항과 건설사업관리기술자에게 보고하여야 할 내용(착공계 작성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요. 
2 사면 붕괴를 사전에 측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아스팔트 포장의 소성변형 발생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방파제 공사를 위하여 제작된 케이슨 진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교량 바닥판의 손상원 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화(耐火)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법의 종류, 특성 및 효과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터널의 편평율
2. Arch교의 Lowering공법
3. 민간투자사업의 추진방식
4. 통수능(通水能(discharge capacity)
5. 부마찰력(Negative Skin Friction)
6. 관로의 수압시험
7. 건설공사의 사후평가
8. 스트레스 리본 교량(Stres Ribon Bridge)
9. 준설선의 종류 및 특징
10. 터널변상의 원인
1. 히빙(Heaving)과 보일링(Boilng)
12. 교량 내진성능향상 방법
13. 포러스 콘크리트(Porous Concrete)

 

 

2교시

1. 터널 굴착 시 진행성 여굴의 원인과 방지 및 처리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공사 시 비탈면 배수시설의 종류와 기능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하천제방의 누수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초기균열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건설공사의 클레임 발생원인 및 유형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엑스트라도즈드교(Extradosed Bridge)에서 주탑 시공 시 품질확보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일반적으로 댐 공사의 시공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강교의 현장용접 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대책 및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로공사에 따른 사면활동의 형태 및 원인과 사면안정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한중(寒中)콘크리트의 타설 계획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친환경 수제(水制)를 이용한 하천개수 공사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대규모 단지공사의 비산먼지가 발생되는 주요공정에서 비산먼지 발생저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터널 준공 후 유지관리 계측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상수도 기본계획의 수립 절차와 기초조사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화재 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폭렬현상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시 장비선정, 설계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항만공사 시공계획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공정·공사비 통합관리 체계(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의 주요 구성
요소와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숏크리트 및 락볼트(Rock Bolt)의 기능과 효과
2. 차선도색 휘도기준
3. 1, 2종시설물의 초기치
4. 빗물저류조
5. 건설공사비지수
6. FCM Key Segment 시공시 유의사항
7. 거푸집 존치기간 및 시공시 유의사항
8. 횡단보도에서의 시각 장애인 유도블럭 설치방법
9. 부주면마찰력 검토조건, 발생시 문제점 및 저감대책
10. 댐관리시설 분류 및 시설내용
1. 순극한지지력과 보상기초
12. 하수배제방식
1) 합류식
2) 분류식
13. 시설물의 성능평가 항목

 

 

2교시

1.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실시되는 평판재하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노후 상수도관의 갱생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상의 공사도급계약서에 명시해야 할 내용으로 규정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고유동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품질 만족 조건 및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강교현장조립을 위한 강구조물 운반 및 보관시 유의사항, 현장조립시 작업준비사항
및 안전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오수전용 관로의 접합방법과 연결방법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 개념과 시설물별 유지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쌓기 비탈면 다짐방법과 깍기 및 쌓기 경계부 시공시 발생하는 부등침하에 대한 대책
방법을 설명하시오.
3. 터널의 붕락 형태를 다음의 굴착단계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 발파 직후 무지보 상태에서의 막장 붕락
2) 숏크리트 타설 후 붕락
3) 터널 라이닝 타설 후 붕락
4. 공정관리시스템을 관리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콘크리트 비파괴 압축강도시험방법의 활용방안과 각 시험방법별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교량의 안정성 평가 목적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Fil Dam의 안정조건을 설명하고 축조단계별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 측정방법과 유지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하천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무제부(無堤部)에 신설제방을 축조하고자 한다. 시공단계별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쇄석말뚝공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말뚝의 시공조건에 따른
쇄석말뚝의 파괴거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가설하는 PSC 박스 거더 공법을 열거하고 설명하시오.
6. 흙의 동결융해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 형태와 보수 방법 및
파손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지방지역의 자동차 전용도로내 2차선 장대터널(연장 2,000m이상)의 방재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량기초 구조형식 선정과정에서 기초의 종류 및 특징과 형식선정시 검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관광지내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을 계획할 때 미관을 고려한 교량형식 선정방안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 터널계획시 환기방식의 종류와 방재시설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5. 터널 설계시 고려해야 할 안전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도로터널 갱문의 위치 선정시 고려사항과 갱문의 형식별 특징을 설명하시오.

7. 교량의 종류를 형식별로 분류하고 그 적용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8. NATM공법으로 터널시공시 계측 및 시험의 중요성과 각 계측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교량하부 구조형식을 열거하고 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교량형식을 중심으로 국내 기술현황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논하시오.

11. 교량설계에 있어서 일반검토사항, 구조설계단면 및 성과품의 작성과정을 흐름도를 그리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용어설명

1. FCM (65)

2. 콘크리트의 중성화 (63)

3. 교량설계하중 (63)

4. 터널의 환기방식 결정기준 (62)

5. 콘크리트 감수제 (61, 54)

6. 무공해 암석굴착공법 (58)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정 의

지반의 침하량과 말뚝의 침하량을 비교하여 지반침하량이 말뚝침하량보다 작은 경우는 상향의 주면마찰력이 발생하지만 지반침하량이 말뚝침하량보다 큰 경우는 말뚝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하향의 주면마찰력이 발생한다. 이와같이 하향의 주면마찰력(Drag Down Force)을 부주면마찰력이라 한다.

 

. 발생원리

1. 지반침하와 말뚝침하

 

2. 중립점

1) 지반침하와 말뚝침하의 량이 같아서 상대적 이동이 없는 지점

2) 굳은 지지말뚝 : n = 1

3) 마찰말뚝 : n = 0.8

4) 모래, 자갈지반 : n = 0.9

 

 

3. 주면마찰력과 부주면마찰력

1) 주면마찰력

중립축 하면

지반침하량 말뚝침하량 인 경우 발생

상향의 주면마찰력이 발생된다.

말뚝의 지지력으로 작용한다.

2) 부주면마찰력

중립축 상면

지반침하량 말뚝침하량 인 경우 발생

하향의 주면마찰력이 발생된다.

말뚝에 하중으로 작용한다.

. 부주면마찰력 발생조건

1. 지반조건

1) 느슨한 사질지반

2) 침하량이 많은 지반

3) 지하수의 변동이 심한 지반

2. 기초조건

1) 표면적이 큰 말뚝

2) 이음부에 요철이 많은 말뚝

3) 표면이 거칠은 말뚝

3. 주변 여건변화(상재하중)

 

 

1) 말뚝 주변에 상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2) 주변공사로 인한 영향(진동) 범위내

 

. 부의주면 마찰력 발생시 예상되는 문제점

1. 말뚝침하 유발 2. 말뚝의 지지력 감소

3. 말뚝의 변형 4. 구조물침하 및 파손

 

. 부의주면 마찰력을 적게하는 대책

1. 조사 - 지반조건(지질, 지층, 지하수) 조사 철저

2. 공법선정 - 표면적이 적은 말뚝 사용(H-형말뚝)

3. 시공대책

1) 말뚝 타입전 큰구멍 뚫고 벤토나이트등의 Slurry를 넣고 말뚝 박어서 마찰력을 감소

2) 선행압밀침하, 지반개량 실시

3) 말뚝표면에 윤활유 도포

4) 말뚝이음부의 요철 제거

4. 주변공사시 대책수립

1) 지하수 변동 억제

2) 진동 차단 대책

 

. 결론

말뚝의 부주면마찰력은 주로 지반침하에 따른 영향에 의해 발생되며 설계시 부주면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말뚝파손까지 이르는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음으로 기초 설계시에는 철저한 선행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설계시에는 부주면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말뚝의 강성 및 지지력을 산정하여야 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혼화재료는 시멘트, 골재, 물 이외의 재료로서 혼합할 때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의 한 성분으로 더 넣는 재료로서 혼화재와 혼화제로 구분한다.

2. 이중 혼화재는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되는 것이고 혼화제는 사용량이 적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되는 것이다.

3. 혼화재로는 플라이애쉬(Fly-Ash), 고로슬래그, 팽창재가 혼화제로는 AE, 감수제, 유동화제, 지연제, 고성능 감수제, AE감수제 등이 있다.

 

. 혼화재(混和材)

1. 혼화재란

혼화재료중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되는 것을 말한다.

2. 혼화재의 용도별 분류

1) 포졸란 작용이 있는 것 : 플라이 애쉬, 규조토, 화산회, 규산백토

2) 주로 잠재수경성이 있는 것 : 고로슬래그미분말

3) 경화과정에서 팽창을 일으키는 것 : 팽창재

 

 

4) 오토클래이브양생에 의하여 고강도를 나타내게 하는 것 : 규산질 미분말

5) 착색시키는 것 : 착색재(着色材)

6) 기타 : 고강도용 혼화재, 포리마, 증량재(增量材)

3. 혼화재의 특성

1) Fly Ash(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개선으로 단위수량 감소

수화열로 인한 온도상승 작고 수축 감소

수밀성과 화학적 침식에 의한 내구성 개선

알카리 골재반응 억제 및 장기강도 개선

2) 팽창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경화수축등에 기인하는 균열발생 저감

화학적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균열에 대한 내력 향상

3) 고로슬래그 분말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증진

수화열 발생속도 저감

화학적 저항성 개선과 알카리골재 반응 억제

 

. 혼화제(混和劑)

1. 혼화제란

혼화재료중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되는 것이다.

2. 혼화제의 용도별 분류

1) 워커빌리티와 내동해성을 개선시키는 것 : AE, AE감수제

2) 워커빌리티를 향상시켜 소요의 단위수량이나 단위시멘트량을 감소시키는 것 : 감수제, AE감수제

3) 배합이나 경화후의 품질을 변치 않도록 하고, 유동성을 대폭으로 개선시키는 것 : 유동화제(流動化濟)

4) 큰 감수효과로 강도를 크게 높이는 것 : 고성능 감수제

5) 응결, 경화시간을 조절하는 것 : 촉진제, 지연제, 급결제, 초지연제

6) 방수효과를 나타내는 것 : 방수제

7) 기포의 작용에 의해 충전성을 개선하거나 중량을 조절하는 것 : 기포제, 발포제

8) 염화물에 의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 시키는 것 : 방청제

9) 유동성을 개선하고, 적당한 팽창성을 주어 충전성과 강도를 개선하는 것 : 프리팩트콘크리트용 혼화제, 고강도프리팩트콘크리트용 혼화제, 공극충전모르터용 혼화제

10) 소요의 단위수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내동해성을 개선시키는 것 : 고성능AE감수제

11) 점성을 증대시켜 수중에서의 재료 분리를 억제시키는 것 :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

12) 응집작용에 의해 재료분리를 억제시키는 것 : 수중콘크리트용 혼화제, 펌프압송조제

13) 기타 : 보수제, 방동제, 건조수축 저감제, 수화열 억제제, 분진방지제 등

3. 혼화제의 특성

1) AE, 감수제, AE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개선

단위수량이 감소

내동해성이 향상

수밀성이 개선

2) 유동화제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콘크리트의 유동성 증대

콘크리트의 펌핑성 증대

수중콘크리트나 연속자중벽등의 시공성 증대

3)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

유동성이나 충전성 개선 목적으로 고성능 감수제나 유동화제 병용

수중에서도 분리가 잘 안되는 성질

4) 철근콘크리트용 방청제

철근 부식 억제

부동태 피막형성형 방청제, 침전 피막형성 방청제, 흡착 피막 형성형 방청제

 

 

. 혼화재료 사용시 주의사항

1. KS규정 품질규격에 의한 양질의 재료 사용

2. 적정량의 혼화재료 사용 계량오차 유발 방지

3. 장기간 저장한 혼화재료나 이상이 인정된 혼화제는 사용전에 시험하여 성능을 확인한다.

 

. 혼화재료의 저장

1. 혼화재의 저장

1) 방습적인 사일로나 창고등에 품종별로 구분 저장

2) 입하의 순서대로 사용한다.

3) 장기저장 혼화재는 사용전 시험품질 확인

4) 혼화재는 날리지 않도록 취급에 유의

2. 혼화제의 저장

1) 먼지, 기타 이물질 혼입되지 않도록 저장

2) 장기간 저장 혼화제나 이상이 인정된 혼화제는 사용전 성능시험 확인후 사용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콘크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의 형식별 특성  (0) 2020.05.10
교량내진설계  (0) 2020.05.10
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 배합설계 순서  (0) 2020.05.09
728x90
반응형

. 서 론

1. 육상 운송체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로의 구성요소중 교량은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물로서 이의 파손시 교통 소통의 불가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은 물론 인사 사고까지 유발시키는 도로 기능을 위한 중요한 부분이라 아니할 수 없다.

2. 때문에 교량은 사용성 및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점검이 요구된다.

이의 평가 점검결과에 따라 적정한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하며, 여기서는 교량 유지보수를 위한 항목들에 대하여 기술코자 한다.

 

. 교량의 유지관리 분류

1. 자료관리 : 교량 자료의 Data Base

2. 일상관리

3. 점검

1) 일상점검 : 수시로 도로 순찰등을 통하여 하는 점검

2) 정기점검 : 정기적으로 점검표를 작성하여 Check하면서 부분별로 점검

교면 포장상태

난간등의 상태

상판(床版)의 상태

신축장치의 상태

지승부의 상태

기타 배수시설, 도장, 하부공 등

3) 임시점검

4) 추적조사

5) 상세조사

6) 안전진단

4. 보수ㆍ보강 및 신설교체

5. 사후관리

 

 

. 교량의 조사 및 평가

1. 외관에 의한 조사 평가

1) 상부 구조

포장 : 표면의 요철, 배수상태, 균열상태

상판 : 누수, 균열, 철근노출, 공동, 박기, Concrete 품질상태

Concrete Girder : 누수 및 백화현상, 철근노출, 진동 및 처짐, 박리 및 파손, 균열

강재 Girder : 도장상태 및 부식, 연결상태, 진동 및 처짐, 파손 및 변형

신축이음장치 : 이음부 간격 청소상태, 인접부 파손상태

2) 하부구조

받침 : 인접부위 손상상태, 작동상태, 재질상태

교각 및 교대 : 침하, 이동, 부식, 구체파괴, 배면침하, 박리, 균열, 교면 받침면 파손

기초 : 하상세굴, 침식

3) 교량의 기하 형상

4) 구조단면 측정 : 단면, 철근상황 등

2. 처짐,균열측정과 이론 해석에 의한 평가

1) 외관 조사에서 문제가 있는 지점은 재하 차량을 재하시킨 후 균열과 처짐을 측정하여 하중-처짐, 하중-균열 상관도를 작성한다.

2) 처짐과 균열의 이론치와 실제치를 비교

3) 주어진 교량 도면으로 이론 내하력을 구하여 평가

3. 재하 시험에 의한 평가

1) 위 조사시 이상이 발견될시는 재하 시험에 의해 심층분석을 실시

2) 정적, 동적시험에 의해 교량의 거동특성, 균열, 처짐, 변형율, 진동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 문제점 도출, 공용 내하력과 잔존수명 추정

4.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조사된 항목들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판단

 

 

. 교량의 보수

1. 보수계획시 고려사항

1) 보수 및 신설의 경제성 비교

2) 기존교량의 노후도 및 가설년도 검토

3) 기존교량의 구조내용 검토

4) 장래교통량과 기존교량의 폭원, 설계하중

5) 교량전후 도로선형과 도로개량계획

2. 보수설계시 고려사항

1) 강도상의 만족여부(안전성)

2) 시공성을 감안한 설계(시공성)

3) 보수에 의해 기존구조물에 변형 유발여부

4) 경제적인 보수방법(경제성)

5) 보수후의 미관성 감안

3. 교량상부 보수공법

1) 상판 전면치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시공 기간이 필요하며 교통처리가 문제가 된다.

2) 타형식의 상판변경

일반적으로 판두께가 두꺼우므로 사하중이 증가하여 하부구조의 내구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중량이 작게 나가는 형식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3) 강판접착공법

Slab의 인장측에 강판을 Epoxy수지로 접착하는 것으로 교량 하부에서 실시하므로 차량소통에 영향이 적다.

4) 종방향 Girder 증가 공법

Slab를 지지하는 Girder 사이에 새로운Girder를 증가시켜 휨 Moment를 감소시키는 공법

4. 하부구조 보수공법

1) 하부구조의 보수는

세굴에 대한 보강

콘크리트면의 피복보강

지지력 부족에 대한 보강이 대부분이다.

2) 구체의 보수

Epoxy계 수지를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치핑 및 접착제 살포 후 신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보강

큰손상 및 내하력 부족시 강판접착 또는 Prestress 도입

콘크리트 단면확대 또는 기둥증설 방법

 

3) 기초의 보수

기초의 확대 및 말뚝의 증설

기초의 보강

주위지반개량

하중조건의 개선 또는 중간교각의 증설

세굴방지공에 의한 방법

 

 

. 결론

교량의 파손원인으로는 설계 및 시공 실수에서 기인된 요인도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주 원인으로 자동차의 대형화, 중량화(과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의 예방과 대책으로 다음 항목들을 제안한다.

1. 교량의 차량 통과하중 표지판 설치 및 철저한 규제

2. 교량 평가 방법의 체계화

3.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의 체계화

4. 현재 도면이 없는 교량의 안전도 검사

5. 장대 교량은 공용개시 이전에 내하력 평가 정기적인 점검실시(시험)

6. 특수한 장대교는 유지관리 및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계기 부착

7. 폐교량에 대하여 파괴시험을 실시하여 교량 내하력 평가 자료로 활용

 

반응형
1234567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