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 의

: 시추공에서 채취된 Core로 부터 암반의 절리 및 풍화정도를 추정하여 암질을 표시하는 한 방법

 

2. R.Q.D 산정

: 채취된 Core중 길이가 10Cm이상되는 암편만을 골라 이들 길이를 합하고 이를 전체시추길이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

 

3. R.Q.D에 의한 일반적인 암질분류

R.Q.D(%)

암 질

025

매우불량

2550

불 량

5075

보 통

7590

양 호

90100

우 수

 

 

4. R.Q.D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암질

. 시추장비의 효율성

. 기능공의 숙련도

. Boring공의 크기

. 시료채취기의 종류(일반적으로 2중관 시료채취기)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토질 및 터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의 계측관리  (0) 2020.10.05
NATM공법(New Austria Tunneling Method)  (0) 2020.10.05
터널설계  (0) 2020.05.10
사면안정  (0) 2020.05.10
연약지반 대책공법  (0) 2020.05.10
728x90
반응형

. 개 요

1. 터널은 도로구조형식의 하나로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 내포

. 긍정적인 요인

- 바람직한 도로선형의 확보로 자동차 주행편익 향상

- 자연경관 훼손 및 자연생태계 변화 최소화

- 도시부에서는 생활환경의 보전이나 토지이용 입체적 활용

. 부정적인 요인

- 초기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고가

- 심리적 압박감

- 먼지, 분진, 배기가스 등에 의해 신체에 악영향

- 대형사고 가능성이 크고 구난 등의 응급조치가 곤란

 

 

2. 따라서 터널계획시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측면에서

- 터널을 설치하는 경우와

- 피하는 경우에 대하여 충분한 사전조사와 검토로 바람직한 설계 유도

 

 

. 터널계획시 고려사항

1. 노선 선정시 고려사항

: 터널계획시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측면에서 다음 사항을 비교검토하여 결정.

. 평면선형상 우회와 터널 설치시 비교

. 급한 종단구배 및 오르막 차로 설치시와 터널설치시 비교

. 높은 교각의 교량설치와 터널 설치시의 비교 : 종단상향 조정시

. 상기의 비교시 토공균형과 토공처리 문제 고려

. 특히 문제시 되는 환경적 요인 비교 검토

 

 

2. 실시설계시 고려사항

. 경제적 사항 : 터널시공의 타당성 검토, 터널시공과 대절토 open cat 비교

. 기술적 사항 : 현장조사, 설계, 구조해석, 계측

. 환경적 사항 : 환경파괴측면 검토, 자연과의 미적조화 및 안전성 검토

 

 

. 설계요소 및 고려사항

1. 선 형

. 평면선형

1) 가급적 직선 또는 여유있는 곡선

2) 터널간 중심간격

일반적인 경우 30M(2차선 기준)

완전탄성체인 경우 : 굴착폭의 2

연약지반인 경우 : 굴착폭의 5

. 종단선형

1) 배수영향고려 : 용수가 적은 경우 0.3%이상, 용수가 많은 경우 0.5% 이상

2) 환기영향고려 : 가능한 완만(2%이하), 터널내 종곡선 설치는 가능한 배제

 

 

2. 터널의 내공단면

. 내공단면 결정시 고려사항

1) 차도공간 : 자동차 주행의 안전성, 경제성을 고려

2) 환기필요공간 : 환기량에 의해 결정

3) 건축한계 : 건축한계상부에서 터널 천정까지 여유 20Cm정도

4) 내장에 필요한 공간 : 10Cm

5) 조명설치 공간

6) 측벽부의 여유 : 방재시설 설치공간이 확보되도록

7) 공동구 설치공간

. 터널단면 형상

형 상

장 점

단 점

난 형

구조적으로 안정

양수압에 안정

마제형보다 굴착량이 크다

 

 

원 형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

양수압에 안정

굴착면적이 크므로 비경제적

굴착시공이 공법에 따라 난이

마제형

굴착시공성 양호

시굴량이 적어 경제적

구조적으로 불안정

양수압에 불안정

 

 

 

. 결 론

1. 터널은 도로선형개량, 지하공간 이용, 환경영향 최소화 등으로 이용이 갈수록 증가 경부고속전철의 경우 410Km25%가 터널임.

2. NATM 공법은 국내에서도 충분한 기술보유하고 있어

3. 장대터널이 늘어남에 따라 환기 문제 : 연직환기터널(수직갱)설치 필요

4. 피난갱, 연락갱, 터널내 대피차선, 비상연락시설 등이 필요(특히 도시부터널)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토질 및 터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의 계측관리  (0) 2020.10.05
NATM공법(New Austria Tunneling Method)  (0) 2020.10.05
R.Q.D  (0) 2020.05.10
사면안정  (0) 2020.05.10
연약지반 대책공법  (0) 2020.05.10
728x90
반응형

. 개 요

1. 도로교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교량의 상부구조 형식에 대한분류

- 철근 콘크리트교 : SLAB, T형교

- PC : I형교, 박스거더교

- 강 교 : I형교, 박스거더교, 트러스교, 아치교, 현수교, 사장교

2. 지지조건에 따른 분류 : 단순교, 연속교, Gerber

 

. 상부형식에 따른 분류

1. SLAB

. 교량형식중 보의 높이가 가장 낮아 형하공간의 영향을 받는 곳에 적합

. 자중이 무거워 단지간에 적용

. 자중의 문제점을 해결한 유공 SIABPC 또는 RC에서 많이 사용

. 유공 SLAB는 단면이 Slender하고 경간장 20M까지 적용가능

 

 

2. RC T형교

. 바닥편과 철근콘크리트보를 일체로 타설하여 합성으로 작용시키는 형식

. 단순교일경우 경간 10-25M, 연속교의경우 20-30M 적용

. 시공복잡하고 공사비 많이 소요

. 과거에는 많이 사용하였으나 PC교의 출현으로 최근에는 잘 사용치 않음

3. PC I형교

. PC로서 I형 거더를 설치하여 만든 형식

. 형하고가 비교적 높고 경간장이 20-40M에 적용

. 구조적으로 횡방향강성이 작으나 비교적 가벼워 가설이 용이

. 주형 및 바닥판 시공시 동바리 없이 경제적이고 공기도 비교적 짧아 시공성 우수

. 형하공간 제한받는 곳에 부적합

4. Plate Girder(I형교)

. 강교에서 합성거더로 많이 사용

. 인장력에 강한 강재 + 압축력에 강한 콘크리트를 결합 이상화 시킨것

. 가설이 쉽고 단면을 줄일수 있음

. 부재가 얇고 가벼우므로 좌굴에 유의하여야 함.

. 단면이 구조상 단순하여 응력상태가 복잡하지 않으며 유지관리가 용이

5. Box Girder

. 휨강성과 비틀림강성이 크므로 장경간의 교량에 적합

. 폐합단면으로 미관 우수

. 최근 콘크리트 Box Girder가 많이 사용됨

. 적용지간 : ILM 20-60m, MSS 30-60m, FCM 60-250m, PC Segment 40-100m

 

 

6. Arch

. 외관이 우아하고 아름답다

. 최적설계시 재료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 수평반력이 작용되므로 기초지반이 양호한 곳이 가설

. 도로교에서는 양단을 강결한 Tied Arch를 많이 사용

7. Rahmen

. 양단을 강결한 부정정 교량

. 단순미

. 수평반력때문에 기초지반이 좋은 곳에 가설 바람직

. 우각부의 집중응력에 유의해야 함.

8. 사장교(Cable Staged Bridge)

. 주탑에서 늘어뜨린 Cable에 의해 인장지지되는 교량

. 외관이 아릅답고 경간장 400m까지 적용 가능

. 내풍 안전성에 유의

. Cable의 형상에 따라 방사형, Half(평형형), Fan형이 있음

9. 현수교

. 바닥틀을 HangerAnchor Block을 통해 Tower에서 지지하는 교량형식

. 횡하중에 의한 모멘트에 약하므로 보강형 Truss를 사용하여 변형과 진동 방지

. 외형이 수려하며 형하공간이 충분한 장점

. 경간장이 40m 이상인 경우 사장교 형식보다 경제적

 

 

10. Truss

. 축방향 인장대와 압축재를 조합 휨에 저항하는 구조

. 짧고 가벼운 부재의 조합으로 구조해석이 간편

. 연속교, Gerber교로 할 수 있다

. 계시는 전체의 좌굴 및 진동에 유의

 

. 지지방식에 따른 분류

1. 단순교

. 장 점

1) 제작시공시 변형에 대한 영향이 적다

2) 단순보의 형식

3) 응력분포가 간단하며 설계가 쉽다

4) 구조역학상 부등침하에 유리

. 단 점

1) 연속교에 비해 Girder높이가 커진다

2) 각경간의 이음부마다 신축장치가 필요

3) 사용성이 낮고 보수가 많다

4) 한 교각에 두개의 받침을 설치해야 한다.

2. 연속교

 

 

. 장 점

1) 단면이나 Girder높이가 작아 경제적이다

2) 중간에 받침이 하나로 교각폭을 줄일 수 있다

3) 연속구조로 지진시 낙교가 작다

4) 신축장치가 적어 주행성 및 유지보수가 유리

. 단 점

1) 중앙지점에 부모멘트에 대하여 보강해야 함

2) 지진시 교축방향에 대한 고정슈의 응력검토 필요

3) 지진이나 부등침하시 큰 응력 발생

4) 기설이나 시공시 정확하지 않으면 Girder에 불리하게 작용

3. Gerber

. 장 점

1) 휨 모멘트는 연속구조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단순교에 비하여 경제적

2) 부등침하의 영향이 적다

. 단 점

1) 진동이 크다

2) 힌지점에 구조적 약점

 

. 결 론

1. 강교보다 콘크리트교가 유지관리상 바람직

2. 경제성에 너무 치우치지 말고 미관을 고려한 형식선정 필요

3. 현수교, 사장교 늘어날 전망

4. 주행의 쾌적성을 고려하여 연속교나 라멘형식 검토.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콘크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화재료  (0) 2020.12.12
교량내진설계  (0) 2020.05.10
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 배합설계 순서  (0) 2020.05.09
728x90
반응형

*내진설계에 대한 개념만 보시면 되고, 오래전 내진설계에 대한 검토사항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개 요

1. 지진의 안전지대로 생각해왔던 우리나라는,

- 일본 고베시 지진('95.1)을 계기로 점차 내진설계 대한 인식이 고조되었으며,

- 최근 터키 및 대만의 지진으로(사망자수 45천명, 유엔추정) 지진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하고 있다.

2. 우리나라는 1992부터 도로교표준시방서에 내진설계편을 재정하여,

지진에 대비한 구조물설계를 시행하고 있으나,

 

 

3. 내진설계로 인한 추가공사비가 막대하게 투입되고,

한반도 지진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외국의 내진설계를 여과없이 적용하고 있어,

우리나라현실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 따라서, 여기서는 현행 내진설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기술해 보고자 한다.

 

. 내진설계란

1. 정 의

: 내진설계란,

- 발생되는 지진하중에 의하여 구조물의 일부 부재는 손상을 입을 수 있으나,

- 지진발생후에도 구조물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붕괴될 확률이 매주 낮도록 설계하는 것.

 

 

2. 내진설계의 기본원칙

. 소규모의 지진 발생시 구조물 부재가 탄성 영역내에서 저항하여 심각한 손상을 받지 않아야 하며,

.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시 교량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붕괴되어서는 안된다.

 

3. 지진피해 유형

1) 상판의 연단거리 부족으로 인한 탈락 및 붕괴

2) 연결부의 붕괴

3) 교대, 교각의 상대적 변위에 의한 붕괴

4) 휨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전단 강도에 의한 기둥의 좌굴

5) 휨강도 및 유연성 부족으로 인한 파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현행 설계적용 현황

1. 지역구분

: 지진발생 빈도 규모에 따라, 1등급 지역, 2등급지역으로 구분

2. 지역구분에 따른 지진가속도계수

: 각각 0.07g0.14g로 나누어 적용

3. 해석 방법

1) 2등급교와 단경간교 : 사하중의 20%를 수평력으로 산정

2) 1등급교 및 연속경간교

- 단일모드 스펙트럼에 의한 해석 방법을 원칙으로 하고,

- 다중모드 스펙트럼 등 정밀해석 시행

3) 연속 경간장이 200m 넘는 큰 교량

- 납보강 탄성받침, 기초분리장치 면진장치 사용

5. 소성힌지 영역

: 심부구속철근을 띠철근 또는 격자망 형태의 Cross tie를 사용하여 설계

 

 

. 현행 설계의 문제점

1. 정책상 문제점

. 내진설계로 인한 막대한 추가공사비 소요

ex) ‘99년 한국도로공사의 조사에 의하며,

- '95년이후 설계한 교량(1,600여개)의 공사비는 10조원 정도이며,

- 이중 8,500억원(8.5%) 정도가 내진설계로 인한 추가 공사비로 조사됨.

. 외국의 내진설계를 여과없이 적용하고 있어, 한반도 지진특성이 미반영됨.

2. 시방서상 문제점

. 시방체계와 상이

- 도로교 표준시방서 하부구조편 : 일본 도로교 표준시방서 적용

- 도로교 표준시방서 내진설계편 : 미국 AASHTO-시방서 적용

. 하중조합계수간 상이

- 도로교 표준시방서 공동편 : 하중조합 1.30+1.7H+1.3Q+1.3E

- 도로교 표준시방서 내진설계편 : 하중조합 1.0(b+H+Q+E)

. 교각 높이가 낮아 기둥이 탄성영역으로 거동하는 경우에도

연성거동에 의한 심부 구속철근을 배치토록 되어 있어 예산낭비 및 시공성 저하

. 원형교각의 심부구속철근 산정시, 띠철근에 의한 환산단면식을 사용하도록 되어있어, 과대한 철근 배치로 콘크리트 타설 곤란

. 기존교량 단순확장하는 경우 기존 교량의 내하력 평가방법 부재

 

 

. 개 선 방 안

1. 최적화 내진설계

. 국가경쟁력 및 경제성을 고려한 지진재현주기 결정

. 모든 교량의 일률적으로 내진설계 적용하기보다는

교량의 규모, 주변여건 등을 고려하여 내진설계 적용범위결정.

 

2. 한반도 지진에 대한 연구 선행

: 내진설계에 앞서 한반도의 지진활동, 발생가능한 최대 잠재지진 규모, 발생확률 등에 대한 연구시행으로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내진설계변수 정립.

 

3. 시방서 정비 필요

. 하부구조와 내진설계 시방체계 정비

. 하중계수정비

. 탄성설계 허용

. 면진장치 등의 해석방법과 품질확보 방안 마련

. 기존 시설물에 대한 내하력 평가 방법 마련

 

 

. 결 론

1. 해마다 내진설계로 고속도로 공사에서만 2,000억원이상의 추가 공사비가 소요되므로 최적화된 내진설계 적용방안 마련이 시급한 현시점에서,

2.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지난해 4월 관련분야 종사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토목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의 적용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바 있으며,

3. 설문조사 결과,

내진설계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 보완 필요 제기

1) 최적화 내진설계를 위해 경제성을 고려한 지진재현주기 결정 필요

2) 모든 교량의 일률적인 내진설계 적용보다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에 대하여만 적용

3) 내진설계에 앞서 한반도 지진활동, 발생가능한 최대 잠재지진 규모, 발생확률 등에 대한 선행연구 시행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내진설계변수 마련

4. 또한, 내진설계부문 시방기준 정비시 설계기준은 최소한의 기준만을 제시하고, 발주자 및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세부설계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용범위의 완화가 필요함.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콘크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화재료  (0) 2020.12.12
교량의 형식별 특성  (0) 2020.05.10
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 배합설계 순서  (0) 2020.05.09
728x90
반응형

. 서 론

1. 도로토공시 생성되는 자연사면, 절토사면, 성토사면에서는

,외적 불안전요인에 의해 사면의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 내적 불안정 요인

1) 진행성 파괴

2) 풍화작용(동결융해, 건조수축 등)

3) 물의 침투에 의한 침식작용(융해에 의한 침식, Pumping )

. 외적 불안정 요인

1) 지형의 기하학적 변화(인위적인 절토, 유숭에 의한 침식 등)

2) 하중의 제거(침식, 절토 등)

3) 충격 및 진동

4) 함수비 증가

 

 

2. 이러한 불안정 요인을 감안하여

- 도로설계시에는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한 안정검토를 시행하고 적절한 비탈면 보호공법을 적용하여야 하며,

- 사면붕괴시에도 이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적용공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 조 사

: 예비조사, 현지조사, 본조사 순으로 시행

1. 예비조사

. 자료수집

. 지형도 및 항공사진 검토

. 기존 시공자료 검토

2. 현지조사

. 기존 절토 및 성토 비탈면 조사

. 인근 현장의 시공방법 조사

3. 본조사

. 물리탐사(탄성파 탐사, 전기탐사)

. Boring Sounding

. 토질 및 암석시험

. 지하수 조사

. 성토재료 시험(흙의 다짐, 강도 특성 등)

 

 

. 비탈면 구배결정시 유의사항

1. 안정검토

여기서 Fs : 안전율

W : 절편의 중량(t/m)

θ : 경사각()

Φ : 내부마찰각()

μ : 단위면적당 공극수압(t/m2)

C : 흙의 점착력(t/m2)

L : 절편의 원호길이(m)

위식에서 안전율(Fs)1.2이상이면 사면은 안정하다

 

2. 성토비탈면 : 안정계산에 의해 구배 결정

. 점착력이 없는 사질토 구배

: 구배 변화부에 침식방지를 위한 배수구 또는 표면피복

. 2종이상의 재료성토시

- 상부 : 조립재

- 하부 : 세립재

 

 

3. 절토비탈면 : 표준구배 적용

. 풍화가 심한 비탈면 절토(붕적토 등)

: 대규모 절토, 지하수위 저하, 옹벽에 의한 토류벽 설치, 활동방지 말뚝공 등

. 침식하기 쉬운 비탈면 절토(사질토 등)

: 비탈면 상단과 하단에 배수시설, 소단배수 시설

. 균열이 많은 암

: 비탈면구배를 완만하게 처리

. 비탈면이 활동면으로 되는 경우

: 활동면을 고려하여 완만하게 처리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 지하배수시설, 집수정 설치

 

 

. 비탈면 보호공법

1. 비탈면 시공법

 

2. 붕괴시 대책공법

 

. 결 론

1. 사면이 불안정하여 붕괴할 경우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여

- 설계시에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하여 사면안정 검토를 시행하고

비탈면의 구배 결정 및 사면보호공법을 적용해야함은 물론,

- 공용시에도 수시로 법면조사를 통하여 사전에 붕괴를 막고 조기에 대책을 강구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토질 및 터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의 계측관리  (0) 2020.10.05
NATM공법(New Austria Tunneling Method)  (0) 2020.10.05
R.Q.D  (0) 2020.05.10
터널설계  (0) 2020.05.10
연약지반 대책공법  (0) 2020.05.10
728x90
반응형

. 개 요

1. 연약지반이란,

- 점성토나 사질토 같은 퇴적층으로 구성된 지반을 말하며,

점성토의 경우 N치가 4이하,

사질토지반 10이하인 지반을 가르킨다.

2. 연약지반은 지반의 강도가 낮고, 지하수위가 높아

도로건설시 지반파괴 또는 공용중 부등침하 발생

3. 따라서, 설계시 지반안정을 위한 지반조건, 도로조건, 시공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고

시공시 침하량, 침하속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대책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4. 연약지반의 지지력증가, 침하방지를 위한 방법으로는

지반 자체를 치환, 다짐, 탈수, 고결하는 공법들이 있으며,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법을 선택해야 한다.

 

 

. 조 사

: 예비조사, 현지조사, 본조사 순으로 시행

1. 예비조사 : 자료수집, 지형도 및 항공사진 검토, 기존 시공자료 검토

2. 현지조사 : 연약지반의 표층상태, 지표수 및 지하수상태, 인근현장 시공방법 조사

3. 조사

. 토질조사 : boring, Sounding, STP, CON관입시험

. 원위치 시험 : Vane Test 전단저항 추정, 배수층 분포 파악

. 실내 시험

1) 흙분류 시험 : 입도, 밀도, 소성, 비중, 함수비 시험 연약층 구분

2) 압밀 시험 : 압밀계수 등 파악 침하 시간 추정

3) 전단 시험 : 1, 3축압축, 직접전단시험 지반파괴에 대한 안전성 검토

 

 

. 연약지반 설계시 고려사항

1. 지반조건 : 연약지반의 두께, 성층상태, 토질종류, 배수조건, 강도특성

2. 도로조건 : 도로의 규격, 성토고, 상부구조물의 종류

3.. 시공조건 : 공사기간, 여유부지의 확보조건, 치환재료의 확보가능성, 장비 보유

4. 설계목표치

. 최소 안전율(Fs)

. 암밀침하량(Sc)

. 침하시간(t)

Cv t : 압밀소요시간 Cv : 압밀계수

H : 배수거리 Tv : 시간계수

. 잔류침하량(ΔS)

 

. 연약지반 처리공법

1. 연약지반 처리공법 결정시 고려사항

1) 연약지반 두께

2) 연약지반의 성층상태

3) 연약지반의 토질종류 및 배수조건

4) 도로의 규격, 성토고, 상부구조물의 종류

5) 치환를 위한 재료의 확보 가능성(조건)

6) 개량을 위한 인력, 장비보유

7) 공사 소요기간(교통개방시기)

8) 주변환경에의 영향

9) 지역적 특수성

10) 경제성(비용)

 

 

2. 연약지반 처리공법

. 치환공법

: 연약지반을 사질토등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는 것(간단하며 확실한 시공효과)

1) 종 류

전면 완전 치환법 - 연약층 전부를 기초전면에 걸쳐 치환

전두께 부분 치환법 - 연약층 전두께를 부분적 치환

상부완전 치환법 - 연약층 상부를 전면에 걸쳐 치환

2) 시공법

: 굴착 치환법, 압출 치환법, 폭파 치환법

. 압성토 공법

1) 초 연약층에서 주로 사용

2) heaving 현상 방지

. 재하중 공법(Preloading)

1) 구조물 본체축조전에 미리 하중을 재하하여

2) 압밀을 미리 끝나게 하는 공법

. Vertical Drain 공법

: Sand Drain. Paper Drain., Pack Drain.

. Sand compaction Pile 공법

: 진동을 이용하여 파일재료와 원지반을 다져, 파일재료의 압밀효과를 이용하여 증가시킴

. Vibro flotation 공법

: 수평방향의 진동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다짐 모래 말뚝형성

. 폭파다짐 공법

. 경량성토 공법 : EPS 공법

. 기 타

: 폭파다짐 공법, 경량성토 공법(EPS 공법), 전기화학적 고결, 약액주입공법, 석회안정처리공법, 동결공법, Geotextile를 이용한 공법 등

 

 

. 결 론

1. 연약지반의 분포가 심한 서해안지역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연약지반 시공시 지반파괴와 시공후 잔류침하에 대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2. 연약지반 처리공법 선정시에는

- 1가지 공법처리 보다는 2가지 이상 혼합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 현지상황, 연약층 형성과정, 공기, 공사비, 시공성, 신뢰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합리적 공법 선정하여야 한다.

3. 연약지반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영구적이고 안정된 도로 축조를 위해서 다음과같은 개선노력 필요

- 계측관리 체계화 필요

- 그간 연약지반 처리의 문제점 파악을 통한 개선방안 모색

- 외국의 추세, 개발전망, 개발방향 파악

반응형

'토목시공기술사 > 토질 및 터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의 계측관리  (0) 2020.10.05
NATM공법(New Austria Tunneling Method)  (0) 2020.10.05
R.Q.D  (0) 2020.05.10
터널설계  (0) 2020.05.10
사면안정  (0) 2020.05.10
728x90
반응형

. 개 요

도로건설시 포장의 강도를 크게 약화시켜 포장의 서비스 능력을 감소시키는 동결융해는,

- 동결시에 나타나는 동결작용

- 해빙기에 나타나는 융해작용으로 나눌 수 있다.

. 동결의 영향

: 0이하의 저온이 지속되면, 지표에 있는 물이 얼어서 서릿발이 생기며,

서릿발은 모관수의 흡입작용이 증대되면서 점점 체적팽창을 일으키게 되고,

최적팽창으로 인해 노면의 융기현상 발생

. 융해의 영향

: 해빙기인 봄에는 지중의 서릿발이 녹은 융해수가

하부의 동결층에 의해 배수가 방해를 받음으로서

노상 및 보조기층이 포화상태가 되고, 지지력이 저하하게되며

이때 중차량 통과시 국부적 침하와 거북등 균열이 발생

 

 

. 동결 지배요소

1. 동결의 영향요소

. 포장층과 노상재료의 세립자 함유비율

. 포장구조내 수분공급원의 존재유무

. 포장구조의 배수능력 등에 의해 영향

. 동결시 대기온도

. 해빙기의 융해진행속도 및 형식

 

2. 동결을 일으키기 위한 조건

. 토 질

1) 실트질(0.074mm 이하의 세립토)을 함유한 흙

2) 토립자의 입도, 흙의 밀도, 소성한계, 투수계수, 열전도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3) 토립자의 입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

. 토양중의 함수비

1) 수분()의 공급이 충분한 경우

2) 함수비가 클수록,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동결이 쉽다.

. 온 도

1) 온도가 0이하일 것

2) 지표면의 온도, 지하수의 온도 이외에 흙의 열전도율의 영향을 받는다.

3. 동결깊이의 산식

Z = CF 여기서, Z : 동결깊이(cm)

C : 정수(35)

F : 동결지수(℃․)

(건교부 조사단이 발표한 동결지수표에 의함)

 

. 동상 방지대책

1. 설계방법

. 완전방지법

1) 동결깊이까지 비동상 재료로 설계하는 방법

2) 비경제적임

3) 연약지반 포장설계시 적용

. 감소노상강도법

1) 설계기준 설정에 어려움이 있고,

2) 포장두께가 동결지수와 직접적인 함수관계가 아니므로 잘 사용치 않음

. 노상동결관입허용법

1) 노상 동결을 어느정도 허용하는 방법

2) 동결지수와 직접적인 함수관계인 본 설계방법을 많이 사용

: 세가지 방법중 완전방지법은 비경제적이므로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

감소노상강도법은 우리나라에 설계적용 곤란,

노상동결관입 허용법을 국내도로 설계법에 일반적으로 적용

 

 

2. 동상 방지공법

. 치환공법

1) 소요깊이까지 동상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로 치환하는 방법

2) 포장두께보다 동결깊이가 깊을때

그 차이 만큼 노상동결 관입허용법을 적용 비동결 재료로 치환

3) 동상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

- #4체 통과분중 #200체 통과량이 15%이하인 부순돌

- #4체 통과분중 #200체 통과량이 9%이하인 막자갈

- #200체 통과량이 6%이하인 모래

. 차단공법

1)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거나 성토를 하여 동상에 필요한 공급수를 차단하는 공법

2) 모관수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해 Soil CementAsphalt로 안정처리

. 단열공법

: 포장 바로 밑에 기포콘크리트층으로 단열층을 만들어 흙의 온도저하를 적게하는 공법

. 안정처리공법

1) 동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지표부 흙을 화학적으로 안정처리하는 것

2) Nacl, Cacl2, Mgcl2 등을 혼합하여 화학적 안정처리

 

 

. 결 론

1. 동결융해방지를 위해서는 노상 및 포장층에 용수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 노선선정시 : 햇볕을 많이 받는곳, 배수가 용이한 지형으로 선형계획

. 설계시 : 배수계획 철저

노면수의 침투 및 지하수의 상승 차단토록 설계 (맹암거 설치)

. 시공시 동상을 일으킬 수 있는 깊이는 비동결재료로 치환

. 공용시 배수시설에 대한 도로유지관리를 철저히 시행

. 단열, 차수, 화학약품처리공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필요.

2. 또한 단지내 도로, 주차장 등의 포장설계시

동결심도를 감안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함으로 특히, 유의하여 설계할 것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도로배수의 목적은,

- 강우, 강설로 노면이나 법면으로 부터 유입되는 지표수,

- 인접지대로 부터 침투해오는 지하수,

- 지하수면에서 상승하는 물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도로의 연약화를 방지하고, 사면의 세굴붕괴를 방지하는데 있다.

2. 도로의 배수처리는 도로구조의 기능보존교통안전에 매우 중요하다.

배수불량은 포장의 파손 및 도로재해의 원인이 되며,

도로재해의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시 세밀한 배수계획수립이 요구된다.

3. 여기서는 도로배수의 종류와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고 처리계획에 대해 기술코자 한다.

 

. 도로배수의 종류

1. 표면배수

 

 

. 도로표면, 비탈면 및 주변부에 내린 우수로 부터 보조기층, 노상층 보호

. 물고임 등 교통저해요인 방지.

2. 지하배수

. 보조기층 배수 - 동상, Pumping현상 방지

- 포장층(보조기층, 노상층) 보호

. 노상층 배수 : 지하수위 저하, 포장층 보호

3. 비탈면 배수 : 비탈면 붕괴, 침식방지

4. 기타배수 : 시공시 가배수, 옹벽 뒷채움 배수, 교량배수, 터널배수

 

. 배수처리계획

1. 표면배수

. 처리계통

: 횡단경사 측구 배수시설(Pipe, Box) 하천, 하수관

. 설계

: 배수계획유량유출량이 되도록 설계

1) A 4km2인 경우 : 합리식 적용

2) 4km2 A 40km2인 경우 표준유출법 적용

Q = FF ×LF × RF × q

3) A 40km2 수문곡선추적법

. 배수유량

. 설계시 유의사항

- 보통시는 표준횡단경사로 인해 표면수가 측구로 흐른다고 가정

- 곡선부에서는 편경사, 횡단경사, 종단경사 동시 고려 종합적 배수설계

 

 

2. 지하배수

. 처리계통

: 지하수, 침투수지하 배수시설로 유도시켜 포장 보호

. 종 류

1) 보조기층 배수

대상지역 선정

- 노상의 침투계수가 적은 곳

- 인접지역에서 보조기층으로 침투될 우려가 있는 곳

- 지하수가 보조기층까지 상승될 우려가 있는 곳

역 할

: 노상지지력 증대, 동상방지, Pumping방지

2) 노상배수

대상지역 선정

- 지하수위 높은 절토부,

- 도로 인접지로부터 침투수가 침입하는 곳

역 할 : 지하수위 저하 포장층 보호

3. 비탈면 배수

. 비탈어깨 배수구 노면 및 비탈면 배수 목적

. 종단배수구

. 맹암거 : 침투수 집수 및 배수

 

4. 기타 배수

. 시공시 배수 : 토취장, 사토장에 가배수 시설 설치

. 옹벽 뒷채움 배수 PVC관 설치

. 교량배수 : 미관, 안전등을 고려

. 터널 배수 : 입출구부 우수유입에 유의

 

. 결 론

1. 도로 배수는 도로구조의 기능보호 및 교통안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설계시 도로의 특성에 맞는 면밀한 배수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2. 또한 시공중에도 우기시 현장도보답사를 통한 배수시설의 적정성 여부를 조사하고 보완계획을 수립 설계에 반영하여야 하며,

3. 공용중 유지관리시에도 배수불량은 포장의 파손 및 도로재해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명심하여 사전 예방활동에 만전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도로계획 및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설계 절차  (0) 2020.05.11
예비타당성 조사  (0) 2020.05.11
공동구  (0) 2019.12.06
도로의 확장설계시 유의사항  (1) 2019.12.02
안개발생지역을 고려한 도로설계  (0) 2019.12.02
1···21222324252627···5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