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입체도로
2. 축소도시
3. 개발행위허가
4.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 해제 가이드라인 

5. 맞춤형 도시계획
6. KOPSS(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7.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8. 도시통합운영센터
9. 핫스팟 분석기법(Hot Spot Analysis) 

10. 거점확산형 도시재생사업
11. 녹지활용계약
12. 브라운필드(Brown Field)
1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방재지구

 

 

   3 교 시

1. 도시재생 관련 3법의 계획 및 심의체계, 재원확보방법, 사업범위에 대하여 비교 설명 하시오.
2. 「공공주택 특별법」과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의 주요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배경과 주요 내용을 설명하시오. 

4.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자산의 개념과 종류를 설명하시오.
5.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 특례법」의 주요내용을 설명하시오. 

6. 우리나라 용도지역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3 교 시

1. 포스트 개발시대 공영개발사업의 정책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제로에너지 커뮤니티의 조성방안을 설명하시오.
3. 도시정비사업 해제지역의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민간이25만㎡의 녹지지역을 주거지역으로 변경하여주택지를개발하려 한다.
도시·군관리계획에서 정의하는 개발가능 수법 2가지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행정 절차를설명하고,행정절차이행에필요한각종검토및평가등에대하여설명하시오.
6. 도시·군관리계획에서비도시지역의계획적인관리방안3가지를비교하여설명하시오.

 

 

   4 교 시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과 관련하여 시행하는 제도를 모두 설명하시오.
2. 제5차국토종합계획의 수립 여건 및 주요 이슈와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본방향을 설명하시오.
3. KTX 경제권의 특성과 개발 전략을 설명하시오.
4. 도시재생에 스마트시티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시오. 

5. 주거지 재생정책 및 제도의 시대별 변화 특성을 설명하시오.
6. 전술적 도시론 개념 및 계획(설계)의 주요내용, 도시계획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출처 : 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배수(back water)곡선과 지배단면(control se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천 둔치에 나무를 심을 경우 수리계산이 필요 없는 나무심기기준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3. Huff4분위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하천 교량 설계시 교량경간장결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수리특성곡선(hydraulic characteristic curve)을 정의하고, 관의 재질과 관로경사는 변하지 않고관의내경만2배로커졌을때 곡선의변화에대하여설명하시오.
6. 공액수심(conjugatedepth)과대응수심(alternatedepth)을구분하여설명하시오. 7. 원격탐사기법을이용한강수관측기법의 특성과 종류를 설명하고그 활용의예를
쓰시오.
8. 수문설계(hydrologic design) 강수량자료의 연속성(continuity)과 일관성(consistency) 검토의의미와방법을설명하시오.
9. 수리실험에서 Reynolds 모형법칙과 Froude 모형법칙의 원리와 적용대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계획홍수량에따른 제방여유고및 예외 규정에대하여설명하시오. 11.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기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12. 4대강 보에서펄스방류의개념 및 효과에대하여설명하시오.
13. 낙동강하류의녹조현상 발생원인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교 시

1. 최근 이상강우로 인해 증가된 홍수량을 기존의 배수방식으로는 내수처리가 어려워 새로운 하천을 건설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계획수립 단계에서 검토사항 및 신설하천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소하천정비법과 하천법의차이점을설명하고 현재 소하천정비의문제점과 대책에 대하여설명하시오.
3. 지방하천 건천화에대응한수량확보방안을열거하고 장ㆍ단점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설계홍수량산정요령에 근거한 강우분석방법의중점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최근 공포(`17.1.17)된「수자원의 조사ㆍ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반영한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지역수자원관리계획, 특정하천유역치수계획의 주요내용을설명하시오.
6. 저수지의목적별수위및용량배분(홍수기,비홍수기)을그림으로작성하고설명하시오.

 

 

 

   3 교 시

1.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사 및 유송잡물 등 하류로의 토사유출 감소를 위해 설치하는 침사지의 구성요소와소요용량 결정방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내수배제 계획을 위한 고려사항 및 내·외수위 관계에 따른 내수처리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하천유역에서물수지분석의정의와일반조건 및 절차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다음자료로부터수면경사-면적법으로첨두유량을구하는과정에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과정별 공식, 수치대입예시,암산 가능한 결과 및 설명을 포함한다.)

5. 바람직한 유량관측소위치선정과하천규모(소·중·대하천) 및 유량규모(갈수·저수,
평수,홍수)별 유량측정방법과부자에의한유량측정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6. 하천정비공사실시설계를수행하면서공사시방서에명시할제방흙쌓기재료의공사시방
기준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교 시

1. 수문의종류와기능을설명하고하천에서수문설치시검토사항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갈수대책 수립을 위한갈수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아래 표와 같이 홍수방지시설에 수문경제해석법을 적용하여 최적설계재현기간을 구하는 방법에대하여설명하시오.
(단,행별적용공식,수치대입예시,분수로표현가능한결과값포함)

4. 국토교통부가추진하는댐   희망지신청제의도입배경과주요내용및추진체계(시행근거, 시행및운영관리주체,재원부담)에대하여설명하시오.
5. 국가하천의 하도계획 수립 시 하천지구(보전지구, 친수지구, 복원지구) 지정기준을 세분화하고 예를 들어설명하시오.
6. 국가 및 지방하천의 완성제방구간, 계획제방구간, 무제부구간, 하중도구간, 선형공작물 구간,저류시설구간의하천구역 결정방법을그림을그려설명하시오.

 

출처 : 산업인력공단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교 시

1. 수격작용(Water hammer)
2. 비에너지의 정의와 한계류의 특성 

3. 설계홍수량
4. 하천환경관리의 정의와 기본방향
5. 하천구역내 교량 설치 시 기술적 검토사항 

6. 소하천 유역에서 도달시간 산정방법
7.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작성 시 검토해야 할 기존 방재시설의 종류 

8. 댐ㆍ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9. 하천관리유량
10. 강우자료의 예비적 검토
11. 배수(排水)구조물 주변의 누수 원인과 방지대책 

12. 재현기간과 초과확률의 관계
13. 유역반응시간

 

 

   2 교 시

1. 수제의 종류와 기능, 설계방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2. 유수전환 시설의 형식 선정 시 고려사항과 종류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3. 소하천의 정의 및 특징, 정비방향, 관리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4.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작성 시 재해저감대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본류와 지류가 합류되는 배수구간에서의 제방형태를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6. 하도내 사주의 하천지형 변동 및 식생처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지정권자, 지정권고내용 및 지정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침수취약지구내 지하공간에 대한 침수방지대책 수립 시 고려사항 및 대책, 단계별 계획수립 절차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3. 가뭄의 정의와 대체 수자원개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홍수방어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댐 구조물의 내진설계를위한설계진도및댐형식에따른설계거동한계에대하여각각 설명하시오.
6. 물분쟁의 유형과 물분쟁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4 교 시

1.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 대설 및 가뭄재해 위험지구 선정기준과 위험요인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천의 토사재해 방지시설인 사방댐의 분류 및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우리나라홍수재해특성과기후변화에대응하기위한재난관리개선종합대책에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하천환경정비 사업 시 사업평가를 위한 모니터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통합물관리의 내용 및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하댐을 지상댐과 비교하고, 국내현황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신설하천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홍수터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용수공급 대안 선정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하천구역 결정의 목적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우리나라의건설완료(2019년말기준)된다목적댐의명칭과형식을수계별로설명하시오. 

6. 비상여수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세부수립의 기본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단위유량도법에 의한 홍수량 산정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하천기본계획 수립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계획홍수량별 최소 둑마루폭의 확보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하천관리유량 산정을 위한 계획기준점 선정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하천 수로터널에 발생하는 공동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감조하천 구간에서의 계획홍수위 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교시

1. 유역 및 하천 유사조절계획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홍수위험지도의 활용도 극대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토목기술자가 홍수조절용 다목적댐을 건설하기 위해 재현기간별 홍수로 인한 예상 피해액과 홍수통제용 구조물의 건설비용을 추산한 결과가 표 1과 같을 때 다음 사항에 대하여 답하시오.
(단, 총비용에 대한 구성비와 연초과확률, 비용의 금액(원)은 소수 4자리 이하 버림하여 계산하시오.)
(1) 수경제 분석(hydroeconomic analysis)을 통한 최적설계재현기간을 결정하시오. (2) 예상피해총액과최적설계 총비용 및 이들의총비용에대한구성비를산정하시오. (3) 분석결과에 대한 관계곡선을 작성하시오.

 

 

4. 댐 설계기준(KDS 54 00 00) 중 댐 내진설계(KDS 54 17 00 : 2019)에서 콘크리트 중력댐의 내진설계에 관한 설계거동한계와 정역학적 내진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5. 소하천 하도계획의 기본방향 및 절차에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시설물 능력검토 대상과 검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홍수방어를위한 구조물적대책에대하여설명하시오.
2. 하천기본계획수립시 이수종합계획의 기본방향과계획내용에대하여설명하시오. 

3. 폭10m인직사각형인공수로에52ms의물이흐르고있다.수로의경사는0.002이고, Manning의 조도계수는 0.024이며, 하류에서의 측정 수심이 2m이었다면 이 경우의 수면곡선을 판별하고, 수로경사가 0.004로 바뀔 경우 수면곡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시오.
4. 일반적인 제방의 구조와 명칭을 그림으로 설명하고, 제방의 종류별 설치 목적 및 특징을설명하시오.
5. 댐설계기준(KDS 54 00 00) 중 댐 여수로 설계기준(KDS 54 20 15 : 2016)에서 다음 사항에대하여설명하시오.
(1) 여수로의정의와형식
(2) 여수로의종류

6. 하천설계기준(KDS 51 00 00) 중 설계수문량(KDS 51 14 10)의 홍수량 빈도해석에서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기본개념
(2) 지점빈도해석 (3) 지역빈도해석

 

 

4교시

1. 하천의 하구처리방식 결정 및 하구의 하도계획 결정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개수로에 적용 시 조도계수 n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설명하고, 지하수관리기본계획에 의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방법및 유의사항에대하여설명하시오.
4. 하천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및 수립 주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소하천정비종합계획수립시 포함되어야할 사항에대하여설명하시오.

6. 홍수예보와실시간물관리, 수자원계획수립등하천의효율적인유지관리등에필요한 수문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수문(水文)조사 업무규정(환경부, 2018)에서 다음 사항에 대하여설명하시오.
(1) 조사의 종목
(2) 조사방법
(3) 수문조사시설의점검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하천에 설치되는 어도를 구성하는 도류벽과 노치(Notch)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비홍수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저수지나 하천내의 취수구에서 볼텍스(Vortex)를 발생하게 하는 요인을 설명하시오.

4. 안장댐(Saddle Da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콘크리트 중력댐의 갤러리(Gallery) 종류와 설치 목적을 설명하시오.

6. 하천환경정보도 작성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댐에서의 일정량 공급 방식(Firm-supply)과 부족분 공급 방식(Deficit-suppl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토양수분량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선풍기를 켜면 시원한 이유를 수문학적으로 설명하시오.

 

 

13. 세류침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교시

1. 다목적댐을 기준으로 댐의 수위와 용량의 배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생태하천 복원 사전조사에서 하천 구간 유형화를 위한 변수들을 제시하고, 그 특징 및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댐 붕괴 시 피해액 산정 및 재해위험지구의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비용편익분석에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을 설명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쓰시오.

4. 하천의 유량측정 방법으로 일반 유속계, 부자, 전자파 표면 유속계, 희석법, 위어에 의한 유량측정법, 기타 유량측정법이 있는데, 이중 기타 유량측정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천 생태계에서 수생식물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여울의 세 가지 형태를 설치방향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하시오.

6. 도시의 내수침수피해의 특성과 피해원인 및 구조적·비구조적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물관리 일원화 관련 정부조직법 개정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시오.

2. 댐 사고로 국제적 뉴스의 중심에 있는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대체수자원으로써 우리나라의 빗물 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강변여과수의 정의와 취수방법 및 국내사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녹조현상의 원인과 피해 및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근래에 많이 추진되고 있는 물순환 수변도시의 수공학적 핵심개발개념 세 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남북 공유하천 중 북한강을 대상으로 한 협력사업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최근 제정(2018.6.12)물관리기본법의 제정 이유와 주요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주요하천에 설치된 하굿둑의 수문 개방을 통한 하구 생태계 복원을 추진하고자 하는 경우 기술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주요 내용을 설명하시오.

4. 홍수특보(주의보, 경보) 발령 및 해제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낙동강 유역의 하천수질문제 및 지자체간 물 관련 갈등의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하천 제방의 종류와 일반적인 제방구조의 단면(복단면)을 그림으로 작성하고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어떤 지점의 연 최대홍수량 자료가 주어져 있을 때 재현간격(recurence interval)과 재현기간(return period)을 설명하시오.
2. 공간과 시간 및 Froude number에 따른 하천흐름을 분류하시오.
3. 3가지의 수리학적 상사에 대해 한 가지씩의 물리량을 식으로 나타내시오.
4. 점변류(gradualy varied flow)의 수면곡선 계산을 위한 표준축차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Huf 방법의 ① 분위 채택에 따른 홍수량 차이의 정도 및 원인, 분위채택 방법, ② 회귀식에 의한 분포의 끝부분이 심하게 굴곡되어지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6. 저류지 설계 시 연속재현기간기준의 도입 필요성과 실무적용 방안을 설명하시오.
7. 지역 내 저류 방식과 지역 외 저류 방식을 비교하고, 하도 내 저류와 하도 외 저류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8. 확률론적 수문분석기법과 추계학적 수문분석기법을 비교하고, 집체형 매개변수 모형과 분포형 매개변수 모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9. 이수안전도, 갈수기준년도 기준과 신뢰도 기준을 설명하시오.
10. 재해지도를 설명하시오.
1. 도시물순환시스템을 설명하시오.
12. 수자원 예비타당성 조사 시 수자원사업의 편익항목을 설명하시오.
13. 우리나라 수자원 이용현황을 설명하시오.

 

 

2교시

1. 미계측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미계측유역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계측유역의 홍수량 자료로부터 2가지 관계곡선을 작성하여 미계측유역의 홍수량을 구한다. 2가지 관계곡선을 설명하고, 선정한 해당 재현기간에 대한 홍수량 산정 및 지역홍수빈도곡선을 설명하시오.
(단, 연평균홍수량: q233, 첨두홍수량: Qr )
2. 어떤 소유역에서 특정 재현기간에 해당하는 우수관거의 용량을 결정하는 절차, 즉, 관거의 직경을 구하는 절차를 설명하시오.
3. 월류여수로의 설계와 관련하여 다음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접근수로 고려사항
② 조절부 설계 시 설계수두의 결정 방법
③ 미육군공병단 수로실험소(WES) 웨어 종단형상 결정 방법

4. NRCS의 유효우량 산정 방법인 유출곡선지수(CN)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NRCS 방법이 실무에서 주로 채택되는 이유
②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된 내용(토지이용형태 구분, 유출곡선지수 기준 수정 및 추가 등)
③ 실무적용상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
5. 수문자료의 계열(series)을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6.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른 재해영향평가제도의 도입배경, 주요내용, 협의대상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2. 배수펌프장의 시설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다목적댐 저수지 용량배분의 수위 구분 및 설정 방법을 설명하고, 용량배분을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4. 침사지겸 저류지의 저류공간 구성 및 제원 결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5. 교량세굴에 대한 안전성평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재해취약성 분석시기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피압대수층에 대한 양수정의 방사상 부정류해석을 위해 Theis 방법을 이용하고자 한다.
T(Transmisivity, 투수량계수)와 S(Storage coeficient 또는 Storativity, 저류계수)를 구하는 절차를 설명하시오.
2. 하천이 습지를 통과하고 있고, 다차원법으로 습지의 홍수조절 편익을 산정하고자 한다.
습지의 기능과 다차원법의 피해항목 및 산정 절차를 설명하시오.
3. 저수지의 퇴사량 및 퇴사위 산정 방법 중 하나인 면적증분법(area increment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법의 한계점을 설명하시오.
4. 단위도의 지속기간 변환 방법인 정수배 방법과 S-곡선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5.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시 우량관측소 선정의 고려사항을 설명하고, 소하천의 기점홍수위 적용 시 정비계획이 미수립된 지방하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경우와 본류하천의 계획홍수위가 매우 높은 소하천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시행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투자우선순위 결정과정, 단계별·연차별 시행계획을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하천환경 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천주변의 폐천 및 구하도의 복원 방향과 설계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하구의 하도 계획홍수위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조압수조의 기능, 종류 및 설계 시 수리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댐을 재료 및 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6. 단파(hydraulic bore)의 종류와 전파속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단위도의 3대 기본가정과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토사포착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지역빈도해석의 기본개념 및 해석 시 기본가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하천시설에서의 수문조사가 필요한 시설과 수문조사기기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하천법상 유역면적에 관계없이 국가하천으로 지정하기 위한 법적요건, 고려사항 및 지정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하천하구시설의 종류 및 설치목적,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내진설계 대상 하천시설 및 내진등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교시

1. 하상유지시설의 계획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천에서 발생하는 국부적 수위상승에 대한 계산방법을 설명하시오.
3. 홍수 시 댐, 저수지 운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가뭄의 정의와 단계별 위기경보 수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통합물관리 이후의 성과 및 향후 정책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배유량의 개념 및 산정방법, 적용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하상변동의 1차원 해석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기후변화로 인한 수자원분야의 영향 및 하천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필댐에 설치하는 계측설비와 계측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증발산의 정의와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비사각형 규칙단면에서의 한계수리수심과 한계유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갈수(渴水)예보의 실시목적, 실시기준 및 설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흐름의 종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하천에서 부정류 해석이 필요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지하수의 생성과정 및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상학적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유형, 지정 및 등급분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도수(hydraulic jump) 전·후의 수심비와 도수현상에 의한 에너지손실 공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하천 유지·보수의 기본개념, 목적 및 법적근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유역경사가 상이한 2개 유역(큰 값, 작은 값)에서 설계강우량, 유역면적 및 유출계수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2개 유역에 관하여 예상되는 설계홍수수문곡선(지체시간, 집중시간, 첨두유량, 기저시간 등)을 비교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작성하고, 설계홍수 수문곡선의 형상이 서로 다른 원인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2. 하도 내 유속분포에 관하여 평면적, 종단적 및 횡단적 분포를 그림으로 표시하고 (평균유속 개념 포함), 에너지 보정계수와 운동량 보정계수를 도입하는 이유와 산정 공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댐 여수로의 설치 목적과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여수로 급경사수로에서 설치하는 공기혼입장치의 설치조건, 종류와 공기혼입장치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예상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의 법적기반, 대상, 고시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하천안에서의 금지행위와 홍수관리구역에서의 금지행위를 각각 설명하시오.

7. 중규모 댐 계획에 있어서 표고별 저수용량 곡선, 퇴사량을 고려한 취수탑에서 취수문의 최저표고, 이수용량, 계획홍수수문곡선 등은 결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중규모 댐의 사수위, 관리수위(만수위) 및 계획홍수위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여수로는 자유물넘이식으로 하고 수위별 저수용량 곡선, 댐 측면도 및 저수지의 저수용량을 연계하여 함께 그려 설명하시오.)
8. 홍수방어등급별 하천계획 규모 및 수공구조물의 표준설계빈도를 설명하시오.
9. 비상대처계획 수립 대상시설물 및 계획에 포함될 사항을 설명하시오.
10. 지역빈도해석의 필요성 및 해석 절차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1. 개수로 흐름에서 발생하는 도수에 대해 설명하고 프루드수(Froude number) 크기에 따라 도수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12. 수리모형실험에서 수리학적 상사 및 완전 상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하도 내 분류수로의 유량계산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교시

1. 폐천부지의 처리방안 및 처리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개정된 하천기본계획 수립 지침(2018.12)에 따른 하천기본계획 수립 절차를 설명하시오.
3. 저류시설을 구조형식과 저류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특징 및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4.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에 의한 치수경제성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필댐 붕괴의 원인, 필댐 기초부에서의 침투수량 저감공법 및 필댐 거동 파악을 위한 계측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아래 그림의 A지점과 B지점은 첩수로(cutof) 공사 후 신설하도이다.
1) B지점 상류유역의 특성은 폐하도(구하도)를 제외하고 변함이 없는 것으로 가정할 때 A지점 및 B지점에서 첩수로 공사전·후의 수문학적 환경변화를 수문곡선을 이용 하여 설명하시오.
2) 공사전 B지점 하류구간과 공사후 B지점 하류구간의 하상 변화를 소류력을 활용 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하천환경조사 항목과 조사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자연하천의 유량측정 방법을 설명하고 홍수시 수위-유량 관계 곡선이 lop형인 이유, 곡선식 연장방법을 설명하시오.
3. 단위유량도의 기본가정 및 실측치로부터 단위도 유도 방법, 단위도 지속시간 변환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하천공사 설계실무 요령(2016년)을 바탕으로 하천공사 실시설계 흐름도와 표준절차를 설명하시오.
5. 유역개발에 따른 하천환경변화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도시화 전·후 수문학적 환경변화를 수문곡선을 작성하여 설명하시오.(수문환경변화의 내용, 수문환경변화의 원인, 환원방법 등)
2) 평상시 도시하천수량의 변화를 도시화 전·후로 설명하고 하상계수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수문환경변화에 따라 하도 단면의 변화를 도시화 전·후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6. 댐 설계 및 시공 시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댐 시공을 위한 유수전환 계획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2) 댐 설계기준(2014년)에서 제시하고 있는 댐 축제 재료에 따른 유수전환대상 홍수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필댐 시공을 위한 가물막이 및 가배수터널로 구성된 일반적인 유수전환방식의 평면도를 작성하고, 필댐공사 과정에서 가물막이 및 가배수터널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하상퇴적토 준설 시 기준수위에 따른 준설방법과 준설계획 시 고려사항(여굴, 여쇄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하천에 설치되는 보의 종류 및 고정보 설계 시 단면결정, 물받이 설계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시오.
3. 다음 그림과 같이 가정하여 내경이 1.0m인 우수관거에 절반만 물이 흐르고 있고 우수관거 상단으로부터 1.0m의 물이 고여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물의 단위중량은 9.8 kN/m3이고 관의 길이는 10m, 관두께는 15mm임.)

4. 하천관련 법령체계를 열거하고 각 법령에 속해 있는 법정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하천제방의 손상유형과 현장 점검 항목을 설명하시오.
6. 수로폭 및 유량이 일정한 직사각형단면 수로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수문을 열었을 때,
1) ①, ② 및 ③ 지점에서의 흐름의 종류를 적으시오.
2) 비에너지곡선과 비력곡선을 작성하고, ①, ② 및 ③ 지점에서의 비에너지와 비력의 변화를 설명하시오.

반응형
12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