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개 요

분리막은 줄눈이 있는 무근콘크리트 포장, 철근콘크리트 포장에서 콘크리트슬라브와의 절연과 양생중 콘크리트중의 수분이 보조기층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 분리막이 구비해야할 재료의 성질

1. 보통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하고 두께는 120μm가 적합

2. 부설이 쉽고 흡수성이 작을 것

3. 잘 찢어지지 않고 보관이 쉬울 것

4. KSM 3509, KSM 7501에 적합할 것

 

 

. 분리막의 역할

1. 콘크리트 슬래브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따른 슬래브의 팽창적용을 원활하게 하도록 마찰저항 감소

2.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가 공극이 많은 보조기층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

3. 보조기층 표면의 이물질이 콘크리트로 혼입되는 것 방지

 

 Ⅳ. 분리막 설계, 시공, 저장

1. 연속철근 콘크리트에서는 기층면과 슬라브바닥사이의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팽창을 구속시켜야 하므로 분리막을 사용하지 않는다.

2. 겹이음시 세로방향 10cm 이상, 가로방향 30cm 이상 겹침 이음

3. 분리막은 창고내에 깔판을 깔고, 덮개를 덮어 저장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폴뎁스 아스팔트 포장이라는 것은 일반 아스팔트의 포장에서 노상위의 모든 층에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하는 포장을 말한다. 이 포장의 특징은 포장두께의 설계에서 소요 지지능력만을 만족시켜 주면 되므로 포장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점과 이로 인해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풀뎁스 포장의 용도

1. 노면높이의 제약을 받아 통상의 아스팔트 포장에서는 목표로 하는 두께를 확보하는 일이 곤란한 장소

2. 지하매설물의 매설위치가 얕고 포장시공시에 지하매설물의 보전에 대해서 특히 주의가 필요한 장소

3. 공사 기간의 단축이 특히 요구되는 장소

 

 

. 구조설계

1. 일반 아스팔트 포장두께 설계방법에 의한다.

2. 구간의 CBR2미만의 경우에는 풀뎁스 아스팔트 포장을 적용하지 않는다.

<풀뎁스 아스팔트의 구성과 각 층의 명칭>

 

3. 포장의 두께설계는 TA 또는 AASHTO 설계법 적용

4. 설계 CBR24일 경우에는 노상의 일부를 모래, 부순돌 등의 입상재료로 치환한 노반의 시공기반을 설치.

5. 두께는 설계 CBR2인 경우에는 30cm를 표준으로 하고 설계 CBR3 또는 4인 경우에는 15cm를 표준으로 한다.

 

 

 

. 재료 및 배합

1.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하는 재료의 품질규정은 아스팔트 포장재료에 준한다.

2. 표층 및 기층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중 선정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

3. 노반에는 역청안정처리 혼합물을 사용

4. 배합설계는 표층 및 기층에 대해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노반에 대해서는 가열아스팔트 안정처리기층에 각각 준해서 실시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폼드아스팔트 공법은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할 때 가열한 아스팔트를 거품(foam)상태로 만들어 믹서속에 분사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사용해서 시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 혼합방식

1. 플랜트 혼합식 : 플랜트에 아스팔트를 거품상태로 만들어 믹서에서 분사

2. 현장 혼합방식 : 스테빌라이저를 사용 현장에서 거품상태로 만들어 가열 아스팔트 노면에 분사

 

 

. 폼드아스팔트 공법 특성

1. 아스팔트의 용적이 510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혼합식에 골재를 피복하는 아스팔트의 피막이 얇게 되고 골재간의 결합력을 크게 한다.

2. 아스팔트의 점도가 감소하므로 필러와 토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혼합물에 대해서도 침투피복이 잘 되며, 또한 약간 젖은 골재에도 잘 부착한다.

3. 마샬시험에 의한 혼합물의 최적 아스팔트량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혼합물에 비하여 감소한다.

4. 포장시공에 있어 피니셔빌리티가 좋고, 다짐도 비교적 용이하다.

5. 아스팔트의 기포(거품)가 소실되면 아스팔트 원래의 성질로 돌아간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침입도란 어떤 조건에서 아스팔트가 얼마나 굳은가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규정된 굵기와 무게를 갖는 바늘()이 아스팔트속으로 관입(貫入)하는 깊이로 표시한다.

2. 같은조건에서 더 굳은 아스팔트는 칩입도가 작고 연한 아스팔트는 침입도가 크다. 이 값에 따라 아스팔트의 종류를 구분하다.

 

.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KS M 2252)

1. 개념

1) 목적 : 사용목적에 알맞는 굳기를 갖고 있는가를 판단

2) 단위 : 표준침이 시료중에 관입한 깊이를 표시하는 단위는 관입량 0.1mm를 침입도 1로 표시

3) 시험조건등 : 시험중량 100g, 시험온도 25, 관입시간 5초를 표준으로 함

 

 

2. 시험방법

1) 저온에서 시료를 고루 녹여서휘저어 공기방울이 없도록 한다. 연화점(軟化點)보다 90이상을 올라가지 않게 한다.

2) 침입도 시험은 온도 25, 하중 100g, 시간 5초일때를 표준으로 한다.

3) 시험은 같은 시료로서 3회이상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결과로 한다.침입도 10.1mm 관입량을 의미한다.

 

. 침입도에 따른 Asphalt의 분류

1. 포장용Asphalt의 분류

 

 

AC 40 - 50 단단한 상태 AP-7

AC 60 - 70 AP-5

AC 85 - 100 AP-3

AC 120 - 150 AP-1

AC 200 - 300 연한 상태 AP-0

2. 현행 AP-3을 적용하고 있으나 소성변형 방지를 위해 AP-5로 대체를 검토

 

.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규격(KS H 2201)

도로 포장용 석유아스팔트는 균질이고 수분을 함유하지 않고 175까지 가열하여도 거품이 생기지 않아야 하며 규정에 합격하여야 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Asphalt혼합물의 분류는 잔골재 비율에 따라 머캐덤, 개립도, 조립도, 밀입도, 세립도, 토페카등으로 분류한다.

또한 입도분포가 불연속적인 경우 갭Asphalt라 칭한다.

 

. 밀입도 Asphalt(Dense graded Asphalt concrete)

1. 특징

1) 2.5mm체 통과 백분율이 3550%의 밀입도 골재와 아스팔트와의 혼합물로서 아스팔트량이 통상 57%, 공극율은 36% 정도이다.

2) 골재입도는 최대입경에서 0.074mm까지 연속된 입도분포를 갖는다.

2. 이용

1) 표면이 비교적 치밀하여 아스팔트 표층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 개립도 Asphalt(Open graded Asphalt concrete)

1. 특징

1) 2.5mm체 통과 백분율이 1530%의 밀입도 골재와 아스팔트와의 혼합물로서 아스팔트량이 통상 3.55.5% 정도이다.

2) 표면이 거칠어 고속주행시 높은 미끄럼 저항성을 나타낸다.

2. 이용

1) 미끄럼 저항용 혼합물의 대표적인 것으로 마모층에 이용

 

. 유의사항

1. 개립도 Asphalt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음이 높으며, 빗물침투에 의해 박리가 일어나기 쉽다.

2. 설계 아스팔트량은 마샬시험보다 사전 시험시공이 중요하다.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폼드 아스팔트 포장 (Foamed Asphalt Pavement)  (0) 2019.12.15
침입도 시험  (0) 2019.12.15
광물성 채움재(Filler)  (0) 2019.12.13
내마모 혼합물  (0) 2019.12.13
폐타이어의 개질(CRM) 아스팔트 포장  (0) 2019.12.13
728x90
반응형

. 개 요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채움재는 석회암의 분말이 널리 쓰이며 대부분 0.075mm체를 통과하는 분말을 말한다.

 

. 채움재의 종류

1. 석회(lime),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플라이애쉬(Fly-Ash)

2. 회수더스트

3. 슬래그 파쇄 미립자

 

. 채움재의 역할

1. 아스팔트와 골재의 간극을 채워 혼합물의 강도를 증진시키고 교통하중 충격에 대한 저항을 크게하고 안정도를 높인다.

2. Asphalt Paste 상태로 골재의 피복

- 감온성을 적게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3. Asphalt 점성을 개선한다.

- 고온에서 유동방지, 겨울철 취성을 적게한다.

 

 

. 채움재 미사용시 문제점

1. 소성변형의 발생

2. 노화증진 및 마모발생

3. 포장체의 수명단축(국부적 균열 및 파손발생)

 

. 채움재중 회수더스트

1. Asphalt Paste에서 가열되는 골재로부터 발생되는 분말

- Bag filter2차 집진장치에서 포집 채움재로 환원

2. 회수더스트는 별도저장, 혼입량이 별도투입 채움재의 양보다 적은 범위로 관리

 

 

. 사용시 유의사항(Filler의 품질기준)

1. 비중이 적은 것은 비산에 유의

2. 비중 2.6 이상 사용

3. 석분의 성분

1) 석회암 분말, Cement, 화강암류 분쇄한 것

2) 먼지, 진흙, 유기물 등이 섞이지 않을 것

4. PI 6 이하

5. 수분 1% 이하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입도 시험  (0) 2019.12.15
Asphalt포장에서 밀입도, 개립도  (0) 2019.12.13
내마모 혼합물  (0) 2019.12.13
폐타이어의 개질(CRM) 아스팔트 포장  (0) 2019.12.13
개질아스팔트  (0) 2019.12.13
728x90
반응형

. 개 요

1. 적설지역이나 노면동결의 염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타이어체인이나 스파이크타이어에 의한 노면의 마모가 심하다. 따라서 적설지역에서는 내마모성이 높은 혼합물을 표층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2. 내마모용 혼합물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혼합물에 대해서는 세립도 아스팔트콘크리트나 세립도 갭아스팔트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좋다.

 

. 재료 및 배합

1. 아스팔트 량 : A/P량이 많을수록 내마모성은 향상된다.

2. 골재 : 골재가 강경할수록 마모감량이 적을수록 내마모성은 좋게 된다.

3. 내마모용 아스팔트의 종류

1) 개질 아스팔트

2)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3) 세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4) 세립도 갭아스팔트 콘크니트

 

 

5) 밀입도 갭 아스팔트 콘크니트

6) 내마모용 토페카

7) 구스 아스팔트

8) 롤드 아스팔트

4, 배합물 시험 : 라벨링 시험 또는 마샬시험 실시

 

. 시공

1. 마무리 두께 : 1.52.0cm로 상층에 포설

2. 하층의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후 빨리 마무리

3. 혼합물 포설후 온도강하전 신속다짐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개질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 및 내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개질재를 첨가하여 물성을 개선시킨 것

2. CRM(crumb rubber modified) 개질아스팔트는 폐타이어 고무가루와

아스팔트 시멘트를 혼합한 것

 

. 혼합물의 특성

1. 일반아스팔트에 비해 고온에서 높은 점도와 저온에서 낮은 강성을 가짐

2. 고온에서의 높은 점도는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큼

3. 저온에서의 낮은 강성은 저온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큼

4. 연화점이 높고, 일반아스팔트에 비해 탄성회복력이 우수

5. 폐타이어내에 존재하는 카본블랙은 아스팔트 산화 방지

 

 

. 혼합물의 생산 및 시공

1. 생산

1) 아스팔트를 200까지 가열한 후 고무분말과 혼합하여 숙성기를 이용,

175에서 45분간 교반 양생

2) 혼합물의 온도는 물리적 반응기간동안 163이상 유지

3) 45분 경과 후 점도 확인 및 조정을 거쳐 고무아스콘 생산

2. 시공

1) 시공중단이 없도록 운반차량 확보

2) 운반차는 보온덮개 이용

3) 운반차량 바닥에 이물질이 없도록 세정액 도포

4) 다짐장비 선정에 유의(8~12)

5) 타이어롤러는 아스콘이 달라붙으므로 사용금지

 

 

. 주요 용도

1. 교통량이 많고 소성변형 발생이 예상되는 도로

2. 노후콘크리트 덧씌우기(반사균열 억제)

. 결 론

1. 포장의 LCC분석 결과 일반 아스팔트포장 대비 약 88% 정도로

CRM 개질아스팔트가 경제적이고, 또한 5두께로 1차로를

1포설시 약 2,000개의 폐타이어가 소요되므로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공법임

2. 자원이 부족한 국내에서 그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됨

3. 향후 각 개질재 사용에 따른 공용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 검증이

필요하고, 또한 개질재 사용시 추가비용과 연장되는 공용성과의

편익비용비 분석이 수반되어야 함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물성 채움재(Filler)  (0) 2019.12.13
내마모 혼합물  (0) 2019.12.13
개질아스팔트  (0) 2019.12.13
구스아스팔트(Guss Asphalt)  (0) 2019.12.13
설계CBR(California Bearing Ratio)  (0) 2019.12.13
1···50515253545556···7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