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개 요

1. 현행 사업관리의 한 형태인 건설 감리제도는 공사 시행단계의 관리 형태로서 건설공사의 주기인 기획, 계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관리 즉, 시설물의 Life Cycle 동안 전반적인 사업관리의 형태가 아니다.

2. 따라서 설계감리, 책임감리 등 부분적 업무를 통합하고 정부에서 최근 발표한 공공사업 효율화 대책의 추진을 위해서도 CM제도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 CM의 개념 및 형태

1. 개념

CM은 건설사업 전 과정을 통해 건설사업을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각 부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통합된 관리기술을 발주자에게 서비스하는 행위를 말한다.

2. CM의 형태

1) 관리방식으로서의 CM

- 프로젝트 전체의 제반 기술, 방법, 절차에 대한 관리체계

ex) 견적관리, 계약관리, 품질관리, 공정관리, 장비관리 등

2) 계약(발주) 방식으로서의 CM

설계ㆍ시공분리방식, 설계ㆍ시공일괄 발주 방식과 다른 제3의 사업관리 계약방

ㆍ설계ㆍ시공분리발주 방식의 문제점인 시공과정의 문제점 사전예방 불가능, 발주자의 불신야기, 공기지연, 비용상승 등에 대응한 공사감리만을 수행하는 발주방식

ㆍ계약방식의 유형

) CM for Fee방식 (CM Agency방식)

) CM at Risk방식

 

 

3) CM의 종류

CM의 기본 형태로 Project Life Cycle 전단계에서 대리인으로 고용되어 발주자와 별개의 계약을 체결한 설계 전문가, 도급자 혹은 자신의 조직 일부가 계약에 가담하여 공사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XCM(Extended CM)

- CM의 본래 역활뿐만 아니라,

- 설계자, 시공자, 도급자로서의 복합적인 역활을 수행하는 방식.

OCM(Owner CM)

- 주자 자체의 내부능력을 활용 CM 및 설계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

- 전문적 수준의 자체 조직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운영상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는 방식이다.

- 이 방식은 CM방식의 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전통적인 방법에 가까운 방식이다.

 

. CM의 도입 및 발전방향

1. 도입시 주요 문제점

1) 발주자의 이해 없이는 달성 불가능

2) 발주자측에 충분한 지식과 능력이 있을 경우 굳이 CM방식 도입 불필요성

3) CM방식은 강력한 전문 하청업체가 있어야 가능

4) 우수한 품질의 시설물을 완성시키기 위한 분위기 조성 미흡

5) CM요원의 육성 미흡

6) CM에 대한 자료의 체계화 및 System 구축 미흡

7) 국내 건설업의 문제점

ㆍ한건주의와 부실시공의 만연화

ㆍ단순 시공위주로 인한 생산성 낙후와 기술경쟁력의 저하

ㆍ원하도급간의 대립적 관계 심화

ㆍ배분위주의 발주 관행으로 인한 산업구조의 고착화

2. 발전방향

1) CM 전문 인력의 육성 및 전문기관의 육성

2) CM 관련 자료의 체계화 및 연구개발의 활성화

3) 책임감리제도와 CM의 관계 정립

4) 발주방식으로서의 CM 방식 도입

5) 건설기술자의 professionalism

 

 

. 결 론

1. CM방식의 장점은

- 프로젝트 관련 조직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 업의 기획 및 조정능력 향상시켜 품질향상, 공기단축,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2. 미 국 : 총공사의 40%정도를 CM방식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 최근 건설시장의 개방과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라, 계약 및 관리방식으로 CM방식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임.

3. CM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유념해야 할 사항

. 발주자는 CMr에게 총사업비의 26% 수준의 CM 수수료를 지불해야 되므로,

기대효과가 추가수수료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CM제도 도입

. CM 방식은 발주자가 모든 도급자와 직접 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에 각 도급자는 모든 재정보증 요건을 구비해야 되므로 이 과정에서 중소전문업체의 참여가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 능력을 갖춘 업체가 시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 필요

. 순수 CM에 해당하는 CM for free 방식은 CMr과 도급자 사이에 직접적인 계약관계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CMr의 실질적인 조정통제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발주자는 계약조건 범위내에CMr에게 의사결정권을 일임하여야 한다.

. 러더십과 경영관리 능력이 뛰어난 CMr의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속적인 CM 제도의 발전과 개선에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