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교시

1. 복합단면에서의 등가조도계수(합성조도계수)
2. 감조하천과 밀도류
3. 취수원에 따른 취수시설 위치 선정 시 고려사항
4. 저사댐
5. 댐의 사토처리 계획 수립 시 유의사항
6. 수리모형실험에서의 왜곡모형
7. 잠수위어(submerged weir)의 유량공식
8. 지배유량
9. 재해영향평가의 사전검토 및 심의 단계 시 검토 내용
10. 홍수조절지·저류지 관리 시 관측·수집하여야 할 내용
1. 하상유지시설의 구조와 유지관리 시 점검 항목 및 내용
12. 하천법에 따른 홍수예보 시 홍수통제소장의 임무와 홍수특보 발령 및 해제 기준
13. 하천사업 시 설계 VE의 대상 사업 및 업무 내용

 

 

2교시

1. 수제의 종류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난류 흐름의 혼합거리(Mixing Length)와 마찰응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댐 부속 수리구조물인 저수지 물순환설비(수중폭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설계일반
2) 물순환설비 방식
3) 대상수면적 설정
4) 설계절차
4. 홍수추적방법 중 Muskingum 방법과 Muskingum-Cunge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제방 파괴의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물관리기본법의 목적, 기본이념 및 물관리의 기본원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하천기본계획 수립지침(2018)에 의한 다음 계획의 업무 범위와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2) 특정하천유역치수계획
3) 하천기본계획
4) 실시설계
2. 하천기본계획 수립에서 하천환경정비 및 관리계획 중 수환경 개선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친환경댐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에서 수리수문 항목의 평가 흐름도 및 단계별
세부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침수흔적 조사결과 등록 및 보고서 작성·제출 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5. 하도 유지관리계획 수립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계획홍수위 결정 시 기본방침 및 기점홍수위의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치수종합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각에 의한 배수영향과 수면상승고 계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수문조사시설별 설치기준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강수량 관측소
2) 수위·유량·유사량 관측소
3) 토양수분량 관측소
4) 공통사항
4. 재해영향평가 업무 수행에 있어서 재해유형별 재해영향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하천유지유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어도 설계 시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어도 형식 선정 시 고려할 사항
2) 종류 및 주요특징
3) 형식별 장·단점
4) 세부 설계요소

반응형
728x90
반응형

1교시

1. 하상계수(河狀係數)
2. 완성제방과 잠정제방
3. 안정하도
4. 필댐(fil dam) 중 균일형 댐의 정의 및 침윤선 저하방법
5. 개수로 흐름에서의 한계경사(critical slope)
6. 바람이 식물의 증산량에 미치는 영향
7. 유역형상계수가 큰 유역과 작은 유역의 유출특성 비교
8. 배수펌프장 운영측면에서 배수펌프장 용량과 유수지 용량의 상관관계
9. 우수침투시설 시공 전 주의사항
10. 소하천 유지보수 목적
1. 주간에 실시되어야 하는 지역 외 저류시설의 일반적인 유지관리 종류
12.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계획 수립 시 수립권자와 정비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13.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유형과 등급별 지정기준 (상습가뭄재해지구는 제외)

 

 

2교시

1. 물관리기본법 제27조에 의거, 환경부 장관이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2. 하천구역(하천법 제10조)과 홍수관리구역(하천법 제12조)의 지정요건을 설명하시오.

4. 우수침투시설의 유지관리 점검에 대한 내용을 기능점검과 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5. 소하천 제방 및 호안의 대표적인 손상유형과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 및 보수 내용을 설명하시오.
6. 제방재료로 흙을 사용 시 갖추어야 할 조건을 설명하시오.

 

 

3교시

1. 수로폭 1.0 m 및 수심 5.0 m인 직사각형단면 수평 수로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수문을 1.0 m 열었을 때,
1) 수문에 작용하는 힘을 산정하시오.
2) ③지점(도수후)에서의 수심을 구하시오.
3) 도수후 흐름이 안정된 후 수심 h4(④지점)를 구하시오.
(단, 수문을 통과하는 흐름에서 단면수축계수, 에너지보정계수 및 운동량보정계수는 각각 1.0으로 가정하고 수로는 고정하상이다.)

2. 소하천 폐천부지 관리사항과 용도폐지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의 필요성과 주요 내용을 설명하시오.
4. 하천법 제2조 제3호에서 분류한 하천시설 중 내진설계 대상 하천시설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천시설의 내진등급을 중요도에 따라 3등급으로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5. 제형단면 수로의 최량 수리단면은 정육각형의 절반이므로 윤변(P), 저면폭(b), 통수단면적(A)을 수심(y)의 항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6. 댐 설계 기준에서 수행되는 기상·수문조사 중 관측소의 설치(강수량, 하천수위 및 유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1. 다음과 같이 직사각형 유역내 우량계가 4개소가 있고 유역면적은 50km2이라 가정하고 티센(Thiesen)법에 의한 유역의 평균강우량을 산정코자 한다. 계측된 각 지점 강우량의 지속기간은 24시간이다.

1) 티센망을 작성하는 절차를 서술하고, 상기 유역 내 우량계의 티센망을 작성하시오.
2) 상기 유역의 평균강우량 산정공식과 티센법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2. NRCS 유효우량 산정 모형은 직접유출량(유효우량) Q, 총강우량 P, 유역의 최대잠재 보유수량 S 등과의 관계식이다.
1) NRCS 모형으로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공식을 유도하시오.
2) 유출곡선지수가 85이라 할 때 유효우량이 발생하는 한계강우량을 산정하시오.
3) 유출곡선지수가 10이라 할 때 잠재보유수량과 발생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3. 다목적댐 저수지에서 각 수위를 그려 설명하고 이수용량 및 홍수조절용량을 홍수기 및 비홍수기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4. 다목적댐의 여수로 설계에 있어서 주여수로 및 비상여수로에 대하여 설명하고 가능 최대강수량 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소하천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기준을 설명하고, 방재성능목표를 이용한 방재성능 평가절차를 설명하시오.

반응형
12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