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 시
1. 대지권(垈地權) 2. 양입지(量入地) 3. 직전(職田) 4. 지상경계의 설정기준 5. RDBMS(Related Data Base Management System) 6. 경위의(經緯儀)의 조정방법 7. 사표(四標) 8. 다각망도선(Traverse Network) 9. 지세명기장(地稅名奇帳) 10. 구 지적법 제37조(1950년 12월 1일 공포) 등록 11. 간주임야도(看做林野圖) 12. 기속측량(羈束測量) 13. 지번식별자(Parcel Number Identifier)
2 교 시
1. 축척변경사업의 시행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지적확정에 따른 예정지적좌표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토지이동 종목별 지번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 있는 지적공부상 토지소유자 정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적측량 성과검사 시 확인하여야 할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적복구의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등록전환과 분할에 따른 면적 오차의 허용범위 및 배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도로명 및 건물번호에 의한 새주소 체계의 도입배경과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적제도의 기본이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차세대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연속지적도 작성 시 발생된 오류의 유형과 그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적공부 전산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지적측량수수료 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토지이동정리에 따른 등기촉탁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지적측량의 대행전담제도와 경쟁제도에 대한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4. 지목의 기능과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적재조사사업에 따른 토지소유자협의회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토지경계의 결정원칙과 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필지식별인자(PID) 2. 양전척(量田尺) 3. 영상정합(Image Matching)
4. 평(坪)과 제곱미터(m²)
5. 구장산술(九章算術) 6. 측량소도(測量素圖) 7. 과세지견취도(課稅地見取圖)
8. 전제상정소(田制詳定所) 9. 에피폴라 기하(Epipolar Geometry)
10. 사지수형(Quadtree) 11. 경계의 결정방법
12. 지역권(地役權) 13. 초장기선간섭계(VLBI :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2 교 시
1. 지적정보화 발전을 위한 품질표준화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기초측량인 지적삼각측량의 근사법과 정밀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 지적위원회 적부심사의 업무처리 절차 및 발전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토지경계 측량의 복원 원칙과 표준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적공간정보 융복합 처리를 위한 공간정보 기술변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적측량에서 면적측정의 단위와 대상 및 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교 시
1. 빅데이터 시대 지적정보체계의 현안과제 및 발전모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등록사항정정의 측량대상 및 실시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공간위치를 표시하는 좌표변환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스마트워크 기반에서 지적기준점 전산관리의 발전모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한국형 지적전산 정보의 활용 및 응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지적재조사에 따른 지적공부의 공신력 확보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교 시
1. 도해지역 수치화를 위한 축척변경사업의 준비과정과 측량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우리나라 지목제도의 문제점과 개편모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건물등록을 위한 지적측량과 공간정보의 연계방안 모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분쟁해결 유형인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적측량시 발생하는 법률적 효력과 책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우리나라 토지등록과 토지등기의 제도적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2. 지역권 ( 地役權 )
3. 동경측지계
4. 개별공시지가
5. 공간보간법
6. 비송사건절차법
7. 측지선 ( 測地線 , Geodetic line)
8. 낙산임야 ( 落山林野 )
9. 기주 ․ 시주 ( 起主 ․ 時主 )
10. 사지수형 (Quadtree)
11.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12. 소관청
13. 도시계획시설
2 교 시
1. 고려시대 임시 양전 기구에 대해 설명하시오 .
2. 지적 재조사 사업시 경계 분쟁 해결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
3. 토지 소유권 보호차원의 3 차원 지적제도에 대한 개념과 도입 방안을 설명하시오 .
4. 세계 지적 측량 시장의 동향을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
5. 등기 공신력을 보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
6. 토지 경계분쟁 방지를 위한 지상 경계표지의 설치 및 관리제도 도입 방안에 대해 설명 하시오 .
1. G.P.S 오차에 대해 설명하시오 .
2. 지도 투영의 분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
3. 지적 삼각 측량의 조정 방법 중 근사법과 정밀법을 비교 설명하시오 .
4. 측판 측량시 발생하는 시오삼각형의 원인 및 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5. RTK 와 Network RTK 를 비교 설명하시오 .
6. 경계복원 측량의 의의 및 방법과 절차에 대해 설명하시오 .
4 교 시
1. 한국토지정보시스템 (KLIS) 의 Sub-System 에 대해 설명하시오 .
2. 공간 정보의 가격 결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
3.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PBLIS) 에 구축된 낱장 지적도면의 접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데이터베이스에서 3 단계 스키마 (Schema) 에 대해 설명하시오 .
5. 디지털 지적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도입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U(Ubiquitous)- 지적의 개념과 주요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간주임야도 ( 看做林野圖 )
2. 지적측량의 적부심사 ( 適否審査 )
3. 특정화의 원칙
4. 경계불가분의 원칙
5. 구분소유권
6. 지적측량의 피해 구상권 ( 求償權 )
7. DSM(Digital Surface Model)
8. Airborne GPS
9. 수치정사영상 지적도
10. 과잉수정계수
11. 신뢰타원
12.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13. 수치 영상의 재배열 (Resampling)
1. 공부상 지목을 현실과 일치시키기 위한 우리나라 지목체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설명하시오 .
2. 지적재조사를 위한 입법시 고려해야할 주요사항을 설명하시오 .
3. 외국의 지적재조사사업 중 모범사례와 특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지적측량 수행자의 업무발전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제도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5. 부번제도의 유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지번제도의 발전방향을 설명하시오 .
6. 독일의 지목제도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
1. 집합건축물을 지적도상에 등록하는 방안을 설명하시오 .
2. 3 차원 지적의 구현을 위한 건축물 등록의 자동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3. Laser Scanning 방식을 지적재조사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지적공부상 도서등록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미등록 및 비정위치 도서를 지적공부에 정확히 등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하시오 .
5. 우리나라 지적기준점망의 현황을 설명하고 , 세계측지계 기준의 지적측량기준점망 구축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지적측량 기준점 설치를 위한 삼각 ․ 삼변 결합조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
1. 현행 지적도 전산파일을 세계측지계를 기준으로 개편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 수치사진 측량에서 영상개선 방법을 설명하시오 .
3. KL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지적도와 지형도의 중첩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
4. 측량기준점이 없는 어떤 국가의 지적조사 업무를 수주하였을 경우 ,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기준점 확보방안을 설명하시오 .
5. 부동산정보센터의 기능을 설명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시오 .
6. 시 ․ 군 ․ 구 지적행정시스템과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통합방안을 설명하시오 .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고구려의 자
2. 로마의 촌락도
3. 우문충 ( 宇文忠 )
4. 둠스데이대장 (Domesday Book)
5. 가우스크뤼거 도법 (Gauss-krüger's Projection)
6. 구소삼각점
7. 지세명기장
8. 전제상정소
9. 도곽선
10. 세계측지계
11. 대안적 분쟁해결 (ADR)
12. 광역보정 위성항법시스템 (WADGPS)
13. Enterprise GIS
1. 지적측량업무의 일부 개방에 따라 새로이 제기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 현행 지적측량수수료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
3. 지적공부의 등록 효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토지이동정리의 행정처분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5.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토지조사사업에 관한 수탈론과 근대화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유비쿼터스시대에 부합되는 지적제도의 혁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3 교 시
1. 북한지역의 지적제도를 창설하기 위한 지적조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 「 대구시가지 토지측량에 관한 타합사항 」 의 주요 내용과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3. 우리나라 기준점의 +10.405 ″ 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
4. Digital 지적제도의 구현에 적합한 지적측량 현대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5. 지적측량성과 자료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GPS 측위기법별 정밀도를 비교 설명하고 , GPS 의 활용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교 시
1. 지적법 제 1 차 전문개정 (1975.12.31 법률 제 2801 호 ) 의 주요내용과 지적전산화사업의 연관성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
2. 지적행정조직의 변천연혁과 행정자치부 지적정책관 신설의 기대효과에 관하여 설명 하시오 .
3. 지적도면 전산자료를 세계측지좌표로 전환하기 위한 업무 절차를 설명하시오 .
4. GIS 를 이용한 연속지적도 오류검증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5. 한국토지정보시스템 (KLIS) 의 고도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국토통합정보시스템의 추진 배경과 추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효 율적인 토지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전자정부 구성원칙과 정보자원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과세지 견취도
2. 재결 ( 裁決 )
3. 미정계수법
4. 궤도력 (Ephemerides)
5.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6. 기복변위 (Relief Displacement)
7. 메타데이터 (Meta Data)
8. 지오이드 (Geoid)
9. 초장기선간섭계 (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
10. 가우스상사이중투영
11. 방위각과 방위
12. 사표 ( 四標 )
13. 관성항법체계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1.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향후 지적분야의 변화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 정부의 「 디지털지적구축 시범사업 」 을 설명하고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다른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3. 전자평판측량의 원리와 장 ․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지적측량 서비스 개선을 위한 「 바로처리센터 」 의 구축 배경과 역할을 설명하고 바로처리센터의 발전 방향을 서술하시오 .
5. 국토에 대한 종합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구축시 지적도면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토지기록전산화사업 시행이전의 토지대장 등록사항을 전산화하기 위한 구대장전산화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1. 측량오차를 성질에 따라 분류 ․ 기술하고 그 오차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 현재 법 제정 중인 「 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 의 골자를 설명하고 향후 지적제도의 변화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3. 시군구 지적행정시스템에서 토지대장정보의 논리오류 유형을 설명하고 정리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4. 지적측량적부심사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5. 토지이용현황이 반영된 지목운용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국가가 운영하는 있는 지적정보의 민간위탁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1. 항공 LiDAR 를 이용한 미등록 도서의 등록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 지적측량에 Network-based RTK 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3. 지적도면과 지적측량 성과의 세계측지계 전환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4.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구축과정을 설명하고 이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5. 도로명 및 건물번호에 의한 새 주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6. 연속지적도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고도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자오선수차와 진북방향각
2.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3. 정밀도 (Precision) 와 정확도 (Accuracy)
4. 수치지적 ( 좌표표시 지적 ) 의 의의
5. EDM(Electronic Distance Measurement) 의 원리와 오차
6. GPS 측량의 다중경로오차
7. 토지등록의 주체
8. 지적측량의 검사제도
9. 지도의 축척계수
10. 습산진벌 ( 習算津筏 )
11. 부동산공시제도
12. 원시취득 ( 原始取得 )
13. 경계의 기하학적 성질
1. 수치지형도와 수치지적도의 불부합원인과 유형 및 처리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 세계측지계를 기준으로 한 지적측량의 방안과 유의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3. 지적재조사 사업추진을 위한 최적의 지적기술인력 양성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4. 3 차원지적의 개념과 도입의 필요성 및 도입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기술하시오 .
5. 근대사적 관점에서 지적제도의 본질을 기술하시오 .
6. 지적에서 사용하는 기호에 대하여 한국산업규격으로 표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기술하시오 .
1. 지적도 제작을 위한 항공사진측량과 지상측량의 병행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 지적재조사측량시 RTK GPS 의 적용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3. 부동산 등기부의 토지표시가 지적공부에 의존하는 근거를 설명하시오 .
4. 지적의 기능을 사회적 , 법률적 , 행정적 기능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
5. 지 적법과 측량법의 목적 , 이념 및 성격 등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법의 통합에 따 라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책을 기술하시오 .
6. 지적공부 등록사항의 법률적인 효력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
1. 측지기준점과 지적기준점의 현 실태와 그 통합 활용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 지적측량성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3. 다목 적 지적제도의 완성을 위해 제도 ⋅ 법률 ⋅ 기술적으로 보완해야 할 선결과제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4. 가상기준점 (VRS) 활용을 통한 지적기준점체계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5. 도시주변 약 50 만 m² 규모의 택지개발사업을 시행하는 지구에서 개발 단계별로 실시하는 지적측량 종목과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
6. 등록 경계에서 지상경계로 전환할 경우 법적 , 제도적으로 필요한 사항들을 기술 하시오 .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1 교 시
1. 연직선 편차 2. 사진의 특수3점 3. 정사투영 4. 카메론(Cameron) 효과
5. 우가(牛加) 6. 구정도(邱井圖)
7. 공법(貢法) 8.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9. 토지소관법기초위원회(土地所關法基礎委員會) 10. 거렴(Roymond Edward Leo Krumm)
11. 축척종대의 원칙 12. 수치지형모델(Digital Terrain Model)
13. 도플러(Doppler) 변위
2 교 시
1. 토지이동(土地異動)정리의행정처분성을인정하여야하는사유에대하여기술하시오.
2. 지적공부의 등록사항과 등기부의 등기사항에 관한 추정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지적측량의 법률적 효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4. 토지조사사업(1910 ~1918)의 목적과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 해양지적(Marine Cadaster)제도의 의의와 도입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6. 경계의 특성과 물리적 경계 및 법률적 경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교 시
1. 토지공법(土地公法)과 토지사법(土地私法)의 의의와 해당 법령을 제시하고 이에 관련된 지적법의성격에대하여기술하시오. 2. 등기촉탁제도의 의의와 소관청의 등기촉탁제도 도입배경 및 발전과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일본의 지적조사사업 추진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지적재조사특별법 (가칭) 제정 시 반영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4. 지상경계(地上境界)를 새로이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 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의 데이터 특성 및 구축현황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6. 지계아문(地契衙門)의 설립배경과 주요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4 교 시
1. 도해지적(圖解地籍)제도의문제점과해결방안에대하여기술하시오. 2. 동경측지계와 세계측지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정오차의 원인과 보정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4. 수평각 관측방법 중 배각법에 대한 정의와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 대한측량총관회(大韓測量總管會)의 설립과 주요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6. 외국의 근대적인 지적제도 기원과 우리나라의 근대적인 지적제도 창설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