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개 요

노체 혹은 노상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경우 기층안정처리층을 설치한다.

 

. 기층안정처리를 하여야 하는 경우

1. 지지력이 부족한 경우

1) 노상 설계CBR3이하인 연약지반

2) 노상이 흐트러진 상태로 있어 강도가 부족한 경우

3) 노상을 개량하는 것이 경제적인 경우

4) 부분적으로 연약지반이 존재하는 경우

2. 노상의 배수가 불량한 경우

3. 노상이 동결 및 융해를 받는 경우

 

 

. 기층 및 보조기층 안정처리공법의 종류

1. 물리적인 방법

1) 치환

2) 입도조절재료를 이용한 성토 다짐

3) 함수비를 조절하여 다짐 실시

2. 첨가제에 의한 방법

1) Cement안정처리 : 빈배합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Soil Cement를 만든 후 다짐실시

2) 석회안정처리 : 석회와 흙을 교반한 후 다짐실시

3) 역청재안정처리 : 역청재료와 흙을 교반한 후 다짐실시

4) 화학재료 : 화학재료와 흙을 교반한 후 다짐하여 지반을 고화시키는 방법

3. 기타

마카담 : 쇄석의 Interlocking현상에 의하여 지지력을 얻는 방법

 

 

. 입도조절기층에 의한 안정처리

기층안정처리는 대부분 입도조절층을 축조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하여 논한다.

1. 재료 선정

1) 강우에 의하여 과도한 함수비가 되지 않도록, 진흙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

2) 재료선정시험항목

- 함수량 - 입도(체가름) - #200체 통과량 - 다짐

- 골재비중,흡수량 - 비중 - 실내CBR - 마모시험

- 액성한계 - 소성한계

3) 재료선정시험빈도

- 골재원마다 - 재질변화시

2. 장비 선정

사용장비는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은 장비

3. 다짐

1) 다짐 후 20cm 이하가 되도록 포설

2) 다짐장비는 메커덤, 텐덤, 진동로울러, 타이어 로울러

3) 다짐은 최대건조밀도 95% 이상이 되도록

4. 품질관리시험

1) 시험항목

- 다짐시험 - 함수량 시험 - 현장밀도시험

- 평판재하시험(현장밀도시험 불가능시) - 프루프롤링 - 두께측정

 

 

2) 시험빈도

토질변화시

다짐전, 1,000m3마다

1,000m3마다, 층별 400m

2층 포설후 200m마다, 1,000m3마다

완료 후 전구간에 걸쳐 3회 이상, 필요시

3) 품질관리기준 및 조치

계획고와 비교하여 3cm이하 오차

3m 직선자를 이용시 2cm이하의 요철

두께는 구멍을 파거나 절단하여 측정, 설계두께보다 10%이상 차이가 있는 곳은 표면을 8cm이상 긁어 일으켜 재료보충 혹은 제거한 후 95%이상의 다짐

완성된 보조기층은 양호한 상태 유지, 손상발생시 즉시 보수, 공사차량 왕래 혹은 120일 이상

 

. 결론

1. 노상 및 기층의 안정처리는 대부분 물리적인 방법인 입도조절 재료를 이용한 성토다짐으로 시행하고 있다.

입도조절용 재료의 선택은 사용재료에 유해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강우등에 의한 과도한 함수비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안정처리공법의 선정시에는 경제성, 시공성 및 품질관리측면에서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여야하며 시험시공을 통한 공법의 선정이 바람직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편절성토 경계부의 문제는 신설도로 뿐만 아니라 특히 구도로의 확장공사 경우에도 발생되어 절성토 경계지점에서는 포장체에 종단 균열이 생기기 쉽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하자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설계, 시공시 특별한 주의와 별도의 대책이 요구된다.

 

. 성 경계부의 문제점

1. 단차 및 포장파손 발생

2. 절토부와 성토부의 지지력 및 침하량 차이

3. 절성경계부에 우수나 침투수 집중으로 연약화 발생

4. 경계부의 다짐 불충분

5. 기초지반과 성토의 접착 불량

 

 

. 성 경계부의 하자 발생 원인

1. 절토부와 성토부의 노상지지력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접속부에는 불연속이 생긴다.

2. 용수나 침투수 등이 절성토 경계부에 모이기 쉽고 이로 인해 성토부가 연약해지고 침하가 발생한다.

3. 성토부의 다짐 부족에 의한 압축침하가 생긴다.

4. 원지반과 성토부의 접착이 불충분하여 단차 또는 활동이 생기기 쉽다.

 

. 성 경계부의 설계시공시 대책

1. 설계상 대책

1) 불량토사 제거 및 연약지반 처리

2) 절토의 단부에 완화구간 설치

3) Bench Cut 실시

4) 지반경사가 1:4 이상인 경우는 표토제거후 층따기를 할 것

5) 지하배수구(맹암거) 설치

6) 지지력 시험 실시

2. 시공상 대책

1) 층다짐 실시

2) 비탈면 다짐실시(다짐장비 혹은 여성실시)

3) 절토와 성토층을 동시에 블도우저로 다짐(경계부 다짐)

4) 절성토 경계부에 철근 Con'c로 보강한다.

5) 맹암거를 설치한다.

6) 표면수나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처리를 할 것

7) 용수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접속부 절토면에 지하배수구를 설치

8) 비탈 끝에 배수층 설치

 

 

9) 시공시 가배수구 설치

강우시 가배수구 설치

편절, 편성부의 시공 절성토 경계부의 시공

절성토 경계부의 시공

 

3. 품질관리 철저

1) 뒷채움재료 : 입도, PI, 수침CBR

2) 현장밀도시험 : 매층마다 실시

3) 평판재하시험 : 부등침하량 예측

4) Proof Rolling : 성토완료 후

 

. 결론

1. , 성 경계부 설계, 시공시는 현지조사와 토질조사를 면밀히 실시하여 시공에 적합한 대책공법의 선정과 설계기법이 대단히 중요하며

2. 성토부와 절토부는 서로 다른 재료로서 지지력이 상이하므로 가능하면 절토부위의 토성과 비슷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성토하고 위와 같은 대책공과 병행하여 철저한 다짐관리를 하여야 하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유토곡선은 도로의 토공 계획시 적합하며, 특히 절성토량의 효율적인 배분으로 경제적인 토공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Mass Curve의 작성 목적

1. , 성토량의 효율적인 배분

2. 운반거리에 따른 토공 장비 기종의 선정

3. 평균운반거리 산출

4. 토취장, 사토장의 적정 위치 선정

 

. Mass Curve 작성 방법

1. 작성순서

1) 각측점의 횡단도에서 성토량과 절토량 계산

2) 토적표를 이용 누가토량을 구한다.

3) 횡축을 측점, 종축을 누가토량으로 Plot하여 그래프 작도

4) 기선을 정하고 이를 반복 최적인 토량 배분을 한다.

2. 개략작도()

 

 

 

. Mass Curve의 특징

1. Curve : 상향곡선 절토구간, 하향곡선 성토구간

2. 정점 : 절토에서 성토로 변하는 변곡점

3. 저점 : 성토에서 절토로 변하는 변곡점

4. 기선과 나란히 평행선을 그어 만난 두점간의 토량은 절, 성토량이 균형

1) 횡방향 거리 : 평균운반거리

2) 종방향 거리 : 운반토공량

5. 편절, 편성 구간의 횡방향 유용토는 미포함(유의)

6. 토공배분의 원칙

1) 운반거리는 가급적 짧게(시공성 감안)

2) 운반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3) 운반은 한 곳에 모아서 일시에

 

 

. Mass Curve의 이용

1. 운반거리에 따른 장비 기종의 경제적 선정

도쟈 : 70M 이내

스크레파 : 70 500M

덤프 : 500M 이상

2. 적정 운반 장비 선정으로 경제성 있는 장비 투입 계획 수립

3. 토공량의 적정 판단 -> 토취장, 사토장 선정

 

. 결 론

1. Mass Curve의 작성은 적정한 토량 배분으로 경제적인 시공 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운반거리별 장비기종의 선정, 운반장비별 토공량 산출등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2. Mass Curve의 작성은 절, 성토량이 균형을 이루도록 작성해야 하며 운반거리에 따른 적정한 장비조합과 토량변화율을 고려한 토공량 산정등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흙을 분류하는 목적은 성질이 다른 여러 가지 흙을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몇가지 무리로 나누고 그 흙의 공학적 성질을 알기 위한 것이다.

분류법은 흙의 일반적인 성질을 간단하게 표현하는 공통언어이고 그 방법은 다양하다. 공학적 목적을 위해 발전된 대부분의 흙 분류법은 입자의 크기, 분포 소성과 같은 간단한 指數的 특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분류하는 방법은 수많은 방법이 있으나 크게 구성상의 분류와 용도상의 분류로 나눌 수 있고, 구성상 분류의 대표적인 것으로 미국농무성(USDA)의 분류법인 삼각분류법이 있다. 용도상의 분류방법은 흙의 공학적 성질에 의한 분류로 AASHTO분류법과 통일분류법, CAA등이 있다. 여기서는 도로설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AASHTO법과 통일분류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노상지지력계수(SSV)‘72 AASHTO 잠정지침에서 포장설계 기본식의 입력변수로서 포장층이 설치되는 노상의 지지강도 또는 지지용량을 표시하는 가상적 척도이며 AASHO 도로시험을 통해서 개발된 지표이다.

 

. AASHTO 분류법

입자의 크기와 Atterberg한계를 고려한 분류법으로 미국내의 각주나 연방정부의 도로건설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이 흙의 분류법은 1929년 공도로국에 의해 개발되고, 1945년 고속도로 연구위에 의해 보완된 것으로 개정 PR법이라고도 한다.

 

 

1. 분류방법

이 분류법은 일곱 개의 주요그룹으로 분류된다. A-1에서 A-7의 범위이다.

1) A-1, A-2, A-3에 속한 그룹의 흙은 No.200체 통과량이 35%이거나 그 이하인 입상토이다.

2) A-4, A-5, A-6, A-7그룹은 No.200체 통과량이 35% 이상인 흙으로 대개 실트와 점토의 형태들이다.

2. 분류기준

1) 입경

자갈 - 275mm의 입자

모래 - 0.075(No.200) 2mm(No.10)의 입자

실트와 점토 - 0.075mm(No.200)를 통과하는 입자

2) 소성

실트질 - 세립토가 소성지수 10이하를 가질 때 적용

점토질 - 세립토가 소성지수 11이상일 때 적용

3) 크기가 75mm이상의 표석이 있다면 그것은 분류시 제외시키거나 그 재료의 백분율은 기록

4) 도로노상재료의 분류

일반분류

입상토(No.200체 통과율 35%이하)

실트질 점토(No.200체 통과율 35% 이상)

그룹분류

A-1

A-3

A-2

A-4

A-5

A-6

A-7 A-7-5

A-7-6

A-1-a

A-1-b

A-2-4

A-2-5

A-2-6

A-2-7

No.200체 통과백분율

15이하

25이하

10이하

35이하

35이하

35이하

35이하

36이상

36이상

36이상

36이상

(No.400체 통과) 액성한계

 

 

 

6이하

-

40이하

41이상

40이하

41이상

40이하

41이상

40이하

41이상

소성지수

NP

10이하

10이하

11이상

11이상

10이하

10이하

11이상

11이상

군지수

0

0

0

0

4이하

4이하

8이하

12이하

16이하

20이하

주요구성 재료

석편자갈,

모래

가는

모래

실트질 또는 점토질자갈, 모래

실트질 흙

점토질 흙

노상토로서 등급

우수 또는 양호

불가

5) 도로 노상재료로서의 흙의 특성을 수치화하기 위해서 군지수(GI)라하는 수가 주그룹 및 보조그룹과 결합된다. 이것은 주그룹이나 보조그룹 뒤에 오는 괄호속에 쓴다.

군지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

GI = (F-35)[0.2+0.005(LL-40)] + 0.01(F-15)(PI-10)

F = No.체 통과백분율

LL = 액성한계, PI = 소성지수

GI가 음의 값을 가지면 0로 한다.

계산된 군지수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한다.

군지수의 상한한계는 없다.

A-1-a, A-1-b, A-2-4, A-2-5, A-3의 군지수는 항상 0이다.

A-2-6, A-2-7에 속하는 구룹의 흙에서 군지수를 계산할 때 PI가 있는 군지수 부분식을 사용한다.

 

 

. 통일분류법(USCS)

이 분류법은 2차 대전중 미공병대의 비행장 건설에 사용된 것으로 1942Casagrande에 의해 제안되었다. 1952년 미국개척국에 의해 수정되었고 현재 기술자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분류의 기초는 입도와 Consistency에 두고 있다.

1. 분류방법

모든 흙을 조립토 8, 세립토 6, 유기질 1 종류의 15종으로 분류하고 각각 종류에 그 내용을 암시하기 쉽도록 알파벳 2문자로 된 명칭을 붙였다.

1) 1문자 - 흙의 형태

G : 자갈(Gravel) S : 모래(Sand)

M : 대단히 가는 모래 및 소성이 없는 무기질 실트

C : 무기질의 점토(Clay)

O : 유기질의 점토 및 실트(Orgnic)

Pt : Peat, 진흙, 고유기질토

2) 2문자

입도(G S와 같은 조립토에 사용)

W : 입도양호(Well graded)

P : 입도불량(Poorly graded)

M : 비소성 또는 소성이 적은 세립문을 포함한 조립토

C : 소성의 세립분을 포함하고 있는 조립토

압축성(조립토에 사용)

L : 액성한계가 50% 이하로서 압축성이 낮은 흙

H : 액성한계가 50% 이상으로서 압축성이 높은 흙

2. 분류기준

1) 조립토는 GW, GP, GM, GC, SW, SP, SM, SC로 나타내고 적절한 분류를 위해 다음 같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No.200체 통과 백분율(세립)

No.4체 통과 조립토 백분율

균등계수, 곡률계수(No.200체 통과율 012%를 가진 흙)

No.40체 통과 흙의 액성한계, 소성지수(No.200체 통과율 5% 이상 흙)

2) No.200체 통과 백분율이 5%12% 사이에 있을 때 GW-GM, GP-GM, GW-GC, GP-GC, SW-SM, SW-SC, SP-SM, SP-SC와 같은 2중 기호가 필요

3) ML, CL, OL, MH, CH, OH를 가진 세립토의 분류는 소성도상의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도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소성도의 대각선은 ATJS이라 하는데,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PI = 0.73(LL-20)

4) 피트(Peat)는 관찰에 의한 검증이 필요

 

 

. AASHTO분류법과 통일분류법의 비교

AASHTO 분류법과 통일분류법 둘다 흙의 구성과 소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1. No.200체에 잔류 또는 통과분포도에 의한 조립, 세립의 구분

1) AASHTO - No.200체 통과율 35% 이상일 때 세립

2) USCS - No.200체 통과율 50% 이상일 때 세립

35%의 세립토를 가진 조립의 흙은 세립질과 같이 거동할 것이고 이것은 조립토 사이의 간극을 채울만큼 충분히 세립이고 따로따로 그것들을 감싸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ASHTO분류법이 보다 적절하다.

2. 자갈, 모래의 구분

1) AASHTO - No.10

2) USCS - No.4

3) 흙을 분리하는 크기의 한계라는 관점으로부터 No.10체체는 모래에 대한 상한한계를 잘 나타내고 고속도로공사의 기초 기술에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4) USCS에서는 자갈질, 모래질 흙이 확실히 분리되지만 AASHTO 분류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3. GW, SM, CH등과 같은 USCS에서 사용되는 기호들이 AASHTO분류법에서 사용되는 기호들보다 흙의 특성을 더 잘 설명해 준다.

4. OL, OH, PT와 같은 유기질토의 분류는 USCS에서 나누어지고 AASHTO분류법에서는 유기질토에 대한 분류는 없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개 요

1. 세립토는 함수비에 따라서 반죽질기 또는 연경도(consistency)가 다르며 완전건조된 흙에 물을 계속해서 첨가하면 고체상태 반고체상태 소성상태 액체상태로 변한다.

2. 이와같이 흙의 반죽질기가 변화하는 상태를 시험하는 것을 Atterberg 한계시험이라 하며 흙을 분류하고자 하는 함수량 범위로서 액성한계에서 소성한계를 뺀 값을 소성지수(PI : Plastic Index)라 정의한다.

 

. 함수비변화에 따른 세립토의 거동특성(연경도) : Atterberg 한계

1. 점성토에서는 함수량이 변화하면 흙의 전단강도와 체적이 변함

2. 함수량이 많으면 액체상이 되고 흙의 체적은 최대로 증가

3. 함수량이 감소하면 소성으로 변화, 더욱 함수량이 감소하면 반고체상태, 고체상태로 된다.

4. 함수량이 많은 세립토가 건조되는 사이에 액성, 소성, 반고체, 고체 과정의 단계로 변화

5. 이들이 변화하는 한계를 Consistency한계 또는 Atterberg한계라고 한다.

 

 

1. 수축한계 (SL)

1) 고체상태에서 물이 첨가되어 체적이 늘기 시작한 순간

2) 반고체 상태의 최소 함수비

2. 소성한계 (PL)

1) 비소성상태에 도달한 순간의 함수비

2) 소성상태의 최소함수비

3. 액성한계 (LL)

1) 점성을 띠기 시작한 상태의 함수비

2) 액체상태의 최소함수비

 

. 소성지수 구하는 방법

PI = LL - PL

LL : 액성한계

PL : 소성한계

1. 접착력이 없는 흙의 소성지수 PI=0%이다

2. 모래 PI=0%, 시트 PI=10%, 점토 PI=50% 정도로 나타남.

 

 

. Atterberg한계 결과의 이용

1. 소성도흙의 판별 분류 에 이용

2. 전단강도 증가율 추정 : Skempton의경험식

3. 활성도(A) 구함.

-흙의 팽창성 구함

-도로 공항 등의 건설재료 로서 흙의 공학적 성질 판단.

-PI 수록활성도(A) 공학적 성질 불안정

-점토립자 크기 을 수록A

-유기질 함량 많을수록A 크다

A= PI

2 (0.002)이하의점토입자의중량백분율(%)

-몬모릴로나이트(벤토나이트): 활성도 대단히 크다.

4. 세립토 의 유동화 현상 규명

(1)액성지수 (IL또는 LI)=

-자연함수비( )LL(wL)(액성한계) 액성지수(IL)1

-액성상태 되고유동화 하기 쉽다.

-유동화 된 흙: 급격한 하중 증가,충격시 전단강도 상실.

5. 액성지수(IL=LI) 구하여 흙의 안정성 판단.

-액성지수가 0 에 가까울수록 공학적 안정 상태

-예민한 점토: IL1(0.6-1.0정도)

-정규압밀점토: IL1

-과압밀점토: IL=0 -1-

-극히 과압밀 점토: IL1

 

 

6. 연경도 (Consistancy Index=Ic) 구하여 점성토의 상대적 굳기 판단.흙의 안정성 판단.

(1)Ic=

(2) Ic0 에 가까울수록 불안정

(3) Ic1 에 가까울수록 안정

7.정지토압계수 추정토압계산

Alpan의제안식

K =0.19+0.233logIp(정규압밀점토)

8. 도로 포장 공사의 품질 기준으로 사용된다.

1) 노상 / 동상방지층 : PI < 10

2) 보조기층 : PI < 6

3) 입도조정기층 : PI < 4

 

. 결 론

1. 소성지수(PI)No. 200체 통과량, 점토분 함유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소성지수(PI)는 포장체의 구성요소, 즉 기층, 보조기층, 동상방지층 및 노상토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PI값을 일정값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2. 특히, 소성지수는 세립토의 거동특성을 크게 지배하는 요소로서 이 지수의 대소에 의하여 토공재료로서의 적합여부를 판정하며 소성지수 PI값이 작을수록 토공재료로서는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3. 따라서, 큰 강도가 필요한 도로의 노상재료 및 각종 안정처리 등 토공 및 포장재료의 적부를 결정하는데 소성지수(PI)를 사용하여 규제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토곡선(Mass Curve)  (0) 2019.12.21
흙의 분류법  (0) 2019.12.21
원위치시험의 종류 및 특징  (0) 2019.12.21
평판재하시험(PBT ; Plate Bearing Test)  (0) 2019.12.21
RQD / RMR  (0) 2019.12.21
728x90
반응형

. 개 요

1. 현장에서 흙의 역학적,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을 말한다.

2. 원위치시험의 종류

1) Sounding 2) Boring

3) Sampling 4) 지하수위조사

5) 물리탐사

 

 

. Sounding시험의 종류 및 특징

구 분

종 류

특 징

Sounding

1) 관입 : Cone Test

 

- Cone 지수 측정

- 연경도, 상대밀도, 전단정수, 지지력, 내부마찰각등을 추정

 

2) 인발 : 이스키메타

 

- 점착력 측정

- 전단강도 측정

 

3) 회전 : Vane Test

 

- 점착력 측정

- 전단강도 측정

 

4) 타격 : 표준관입시험

 

 

- N값 측정

- 연경도, 상대밀도, 전단정수, 지지력, 내부마찰각등을 추정

 

. Boring의 종류 및 특징

구 분

종 류

특 징

Boring시험

1) hand auger boring

 

- 시료 채취

- 토층상태 파악

 

2) 기계 boring

 

 

- 시료 채취

- 원위치 시험

- 토층 파악

 

3) Test Pit

 

 

- 시료 채취

- 원위치 시험

- 토층 파악

 

 

 

 

 

. 지하수위 조사

1. 종류

- 현장투수시험

- 간극수압측정

- 수질시험

2. 투수계수 측정

- 침투력, 양수량, 배수계획 수립

3. 간극수압측정

- 간극수압측정

- 유효응력추정, 과잉간극수압 추정, 지하수위아래의 지지력 산정

4. 수질시험

- 수질성분 분석

 

. 물리탐사

1. 탄성파속도

- 탄성파속도 측정

- 지반구조, 지반의 상대적 연경상태 파악

 

. 결론

1. 흙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으로 크게 구분되며 실내시험보다는 현장시험의 신뢰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2. 따라서 흙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장시험을 위주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현장시험식이 체계화 되지 않아 적용에 무리가 따르고 있음으로 우리나라 조건에 맞는 시험식에 관한 연구가 절실한 상태이.

728x90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의 분류법  (0) 2019.12.21
Atterberg한계 및 소성지수 (PLASTIC INDEX)  (0) 2019.12.21
평판재하시험(PBT ; Plate Bearing Test)  (0) 2019.12.21
RQD / RMR  (0) 2019.12.21
토량변화율  (0) 2019.12.21
728x90
반응형

. 개 요

현장에서 강성의 재하판을 사용 하중을 가하여 하중과 변위와의 관계에서 기초지반의 지지력이나, 지반계수 또는 노상의 지반계수, 지반반력계수를 구하고 허용지내력을 판정하는 시험이다.(KSF2310 규정)

 

. 평판재하시험 측정장치

1. 재하판 : 정사각형 또는 원형

2. 반력장치(일반적으로 실하중을 이용하는 경향) : 대형자동차등의 실하중

3. 재하장치(Jack) : 5 40t의 유압식 Jack 사용

4. 침하량 측정장치

 

 

. 평판재하시험 결과의 적용

1. 하중-침하량 관계곡선으로 극한지지력과 항복지지력 분석

2. 지지력계수(K) = 하중/침하량

침하량 : 아스팔트 포장 : 0.25cm

콘크리트 포장 : 0.125cm

3. 지지력 산정

1) 극한지지력(qu) = αㆍCNC + βㆍr1ㆍβㆍNr + 9Nq

2) 항복강도의 1/2, 파괴강도의 1/3 중 작은 값을 장기허용지지력으로 적용

3) 장기허용지지력의 2배를 단기허용지지력으로 본다.

 

 

. 평판재하시험결과 이용시 주의사항

1. 시험지점의 토질 종단면을 그려 토질구성상태 파악

2. 지하수위 위치와 그 변동을 알아야 한다.

3. Scale effect를 고려하여야 한다.

4. 근입심도를 고려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도로및공항 기술사 > 토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terberg한계 및 소성지수 (PLASTIC INDEX)  (0) 2019.12.21
원위치시험의 종류 및 특징  (0) 2019.12.21
RQD / RMR  (0) 2019.12.21
토량변화율  (0) 2019.12.21
표준관입시험 (SPT ; Standard Penetration Test)  (0) 2019.12.21
728x90
반응형

. RQD(Rock Quality Designation)

1. 정 의

시추공에서 회수한 Core10이상되는 NX크기 Core 길이의 합을 총 시추길이에 대한 백분율을 나타낸 암반상태 지수

2. RQD의 적용

1) 암반의 균열이나 절리의 발생정도를 개략적으로 판단

2) 심도별 암반의 단층도를 작성

3) 절취의 난이도 판단

3. 신뢰성 있는 RQD 얻는 방법

1) 암석 시추장비 상태(코아배럴, 비트, 시추장비의 종류)

2) 시추장비 활용능력과 채취기술(TCR을 높이는 숙련도)

 

 

4. 암 판정 기준

R Q D(%)

Rock Quality

< 25

25 - 50

50 - 75

75 - 90

90 <

매우불량

불 량

보 통

양 호

매우양호

참고

Core Recovery는 총회수된 Core의 길이를 시추길이의 백분율로 표시한것 (RQD와 다르다)

암반의 풍화도, 균열이나 절리의 발달정도를 추정

 

. RMR(Rock Mass Rating)

1. 정 의

암반상태의 등급화를 위하여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절리간격, 절리상태, 절리방향, 지하수 조건, RQD를 조사하고 중요도에 따라 평가점수를 부가하고 평가점수의 합계로 암반을 5등급으로 분류

2. RMR분류의 공학적 활용

1) 암반의 특성 분류

2) 터널에서 무지보 유지시간과 강도정수 등 산정

3) 필요한 지보공법과 지보하중 계산

3. RMR 분류법

1) 5Factor를 수치(N)로 환산 : = N1 N2 N3 N4 N5

구 분

배 점

1) RQD

20

2) 일축압축강도

15

3) 절리간격

10

4) 절리상태

30

5) 지하수 상태

15

 

 

2) 판별 기준

등 급

등급

등급

등급

등급

등급

RMR

81 - 100

61 - 80

41 - 60

21 - 40

0 - 20

상태

매우 우수

우수

양호

불량

매우 불량

4. 적용성

1) 경암질 암반을 대상으로 하는 터널 암반분류이고 취약층에는 부적합

2) Q-System에서 고려하는 현장응력은 고려하지 않음

3) 조사항목이 비교적 간단하여 오차가 적다

4) 보강방법이 개략적으로 제시되는 단점

728x90
반응형
1234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